[[분류:조선의 문관]][[분류:1577년 출생]][[분류:1640년 사망]][[분류:호조판서]][[분류:전주 이씨 덕천군파]][[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 이름은 이경직(李景稷), [[자(이름)|자]]는 상고(尙古), [[아호|호]]는 석문(石門), [[시호]]는 효민(孝敏)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로, [[정종(조선)|정종]]의 10남 [[덕천군]]의 6대손[* [[덕천군]] → 신종군 이효백 → [[완성군(1454)|완성군]] → 함풍도정 이계수 → 이수광 → 이유간 → 이경직]이다. == 생애 == 1577년([[선조(조선)|선조]] 9년)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이항복]]의 밑에서 글을 배웠으며 나중에는 [[김장생]]의 문인이 되었다. 1601년(선조 34년)에 사마양시에 합격하여 생원 및 진사가 되었고, 4년 뒤에는 생년시와 증광별시에 합격했다. 이후 승문원 권지부정자를 거쳐 [[광해군]]이 즉위한 후에는 [[승정원]] 주서[* [[승정원일기]]문서에 이 양반 깡을 증명하는 일화가 하나 있다.], 시강원설서, [[홍문관]] 정자, [[병조]] 정랑 등을 역임했다. 1614년(광해군 6년)에는 [[황해도|황해]]도사를 지냈고[[http://sillok.history.go.kr/id/kob_10607015_013|#]] 1617년(광해군 9년)에는 국서를 보낸 [[일본]]에 회답하는 사절로 정해진 오윤겸의 종사관 자격으로 일본에 다녀왔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1017_003|#]] 1년 뒤인 1618년(광해군 10년)에는 [[왕대비]]였던 [[인목왕후|소성대비(인목왕후)]]를 폐모하자는 논의가 일자, 정청에 불참했는데 이 일로 탄핵을 받아 한동안 야인으로 지냈다. 1622년([[광해군]] 14년)에는 [[철산군|철산]]부사 직을 지냈다. 1623년(인조 원년)에 [[인조|능양군]]이 [[인조반정|반정]]을 일으켜 인조로 즉위하자, 의주부윤을 거쳐 [[전라도|전라]]병사로 임명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0103020_008|#]][[http://sillok.history.go.kr/id/kpa_10201025_004|#]] [[이괄의 난]] 당시에는 피난간 인조를 옆에서 모셨고, 인조에게 반란군과 싸우겠다고 했으나 인조가 "님은 책만 읽은 선비잖음? 여기서 기다리셈" 하면서 말렸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0202007_009|#]] 한때 반란군의 기세가 강해지자 조정에서는 일본에 다녀온 적이 있던 그를 청왜사로 삼고, 동래에 머물던 왜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했으나, 자칫 잘못하다가 [[임진왜란]]과 같은 일이 벌어질까봐 무산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0202010_001|#]] 이후 수원부사와 개성유수 직을 맡았고, [[한성부|한성]]으로 돌아온 후에는 [[장례원]] 판결사, [[병조]] 참판, [[비변사]] 제조를 맡아 봉무했다. 1627년(인조 5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따라 [[강화도]]로 갔다. 이때 후금(후일 [[청나라]])에서 인조에게 직접 [[강화]]를 맺고 충성맹약을 할 것을 강요하자, 이경직은 "강화를 하되 맹약은 대신이 대신하게 하면 좋겠다.--유상무상무--"고 건의했다. 현실적으로 강화를 피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최대한 인조의 권위를 지키려고 한 것이다.[*A 출처: 이남옥 著,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내력과 지역적 전개》, 한국양명학회, 2020, p.157.] 그러나 이를 두고 국가적 치욕을 끼쳤다는 이유로, 이경직을 삭탈관직하라는 청이 올라오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0503003_006|#]] 이후 [[호조(조선)|호조]] 참판으로 있으면서 청나라 사신들을 접대하는 일을 맡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pa_10512024_002|#]][[http://sillok.history.go.kr/id/kpa_10612003_002|#]] [[경기도|경기]]감사를 거쳐 지금의 [[대통령비서실장]] 급인 도승지로 임명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0905003_006|#]][[http://sillok.history.go.kr/id/kpa_11208019_003|#]] 호군과 비변사 당상을 겸하던 1636년(인조 14년)에 [[병자호란]]이 발발했다. 이때 이경직은 다른 신료들과 함께 [[청나라]] 군진에 가서 장수들을 만나 이야기를 했는데, 이들이 작정하고 쳐들어왔음을 확인하고 곧장 [[인조]]가 피난가있던 [[남한산성]]으로 갔다. 직후 도승지로 다시 임명받아 인조가 항복하기 직전까지 청나라와의 교섭에 힘썼다. [[삼전도의 굴욕]] 이후 [[숭덕제|청태종]]이 청나라로 돌아갈 때 인조가 배웅하러 나가자 유일하게 그만 따라갔으며, [[조정]]이 [[환도]] 후인 1637년(인조 15년) 2월에 [[호조판서]]로 임명받았다. 그러나 몇 달 뒤에 종각을 만들 때 [[스님]]을 불러 권선문에 인신을 찍어주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우의정]] [[최명길(조선)|최명길]]의 건의로 파직당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1506009_004|#]] 얼마 뒤에 도승지로 다시 제수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1509026_002|#]] 1640년(인조 18년) 2월에는 강화유수 직을 맡아 봉무하다가[[http://sillok.history.go.kr/id/kpa_11802002_005|#]] 과로로 종기를 앓더니 그해 7월 19일에 부임지인 [[강화도]]에서 사망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1807019_001|#]][*A] 향년 64세였다.[*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를 적용한 기준이다. 만으로는 63세이다.] 사후 23년 뒤인 1663년([[현종(조선)|현종]] 4년)에 [[시호]] '효민(孝敏)'과 [[우의정]] 직을 추증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rb_10409029_001|#]] == 가족 관계 == * 조부 : 이수광(李秀光) * 아우 : 문충공 백헌 [[이경석]](文忠公 白軒 李景奭) * 아우 : 금구현령 이경설(李景卨) * 부 : 이유간(李惟侃) * 모 : [[고씨|개성 고씨]](開城 髙氏) - 고한량(高漢良)의 딸 * 정부인 : [[오씨|보성 오씨]](寶城 吳氏) - 오경지(吳景智)의 딸 * 장남 : 이장영(李長英) - 이진정[* 필명 이문정, [[숙빈 최씨]]의 영웅소설 《농수 수문록》의 저자]의 조부 * 며느리 : [[연일 정씨]](延日 鄭氏) - 정직(鄭溭)의 딸 * 손자 : 이집성(李集成) * 손자 : 이민성(李敏成) * 손자 : 이구성(李九成) * 손자 : 이관성(李觀成) * 손자 : 이노성(李老成) * 손자 : 이현성(李玄成) * 손녀 : [[풍양 조씨|조상우]](趙相愚)의 처 * 손녀 : [[양주 조씨|조태동]](趙泰東)의 처 * 차남 : 이후영(李後英) * 며느리 : [[창녕 조씨]](昌寧 曺氏) - 하녕군 조문수(夏寧君 曺文秀)의 딸 * 손자 : 이익성(李翼成) * 손자 : 이덕성(李德成) * 손녀 : [[평택 임씨|임봉지]](林鳳至)의 처 * 손녀 : [[여흥 민씨|민사로]](閔師魯)의 처 * 손녀 : [[청주 한씨|한세보]](韓世輔)의 처 * 3남 : 효간공 서곡 [[이정영(1616)|이정영]](孝簡公 西谷 李正英) * 며느리 : [[청송 심씨]](靑松 沈氏) - 심장세(沈長世)의 딸 * 손자 : 이만성(李晩成) * 손녀 : [[여산 송씨|송광연]](宋光淵)의 처 * 며느리 : [[문화 류씨]](文化 柳氏) - 류기선(柳基善)의 딸 * 손자 : 이대성(李大成) * 손녀 : [[안동 김씨|김창국]](金昌國)의 처 - [[영빈 김씨]]의 모친 * 손녀 : [[남양 홍씨|홍치상]][* [[숙안공주]]의 아들](洪致祥)의 처 * 손녀 : [[파평 윤씨|윤지인]][* 윤지완의 아우, [[민진원]]의 처숙부](尹趾仁)의 처 * 손녀 : [[창녕 조씨|조하언]][* [[정명공주]]의 외손자](曺夏彦)의 처 * 손녀 : [[청송 심씨|심정보]][* [[숙명공주]]의 아들](沈廷輔)의 처 * 손녀 : [[풍천 임씨|임사원]](任士元)의 처 * 장녀 : [[경주 이씨|이시중]](李時中)의 처 * 차녀 : [[진주 강씨|강홍익]](姜弘益)의 처 * 계부인 : [[고성 이씨]](固城 李氏) - 이성길(李成吉)의 딸 * 3녀 : [[해평 윤씨|윤세장]](尹世章)의 처 이경직의 자손들 중에는 후일 '육진팔광(六眞八匡)'이라 불릴 정도로 학문적으로 뛰어난 사람들이 많았으며[* 출처: 이남옥 著,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내력과 지역적 전개》, 한국양명학회, 2020, p.155.] 고위 관직을 지낸 사람도 더러 있었다. 육진은 이경직의 증손자 대의 '진(眞)O'자 돌림을 쓰는 사람 6명이며, 팔광은 현손자 대의 '광(匡)O'자 돌림을 쓰는 사람 8명이다. == 묘역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04호 ||<|2> ← || '''105호''' ||<|2> → || 106호 || || [[강사상#s-4|정정공 강사상 묘역]] || '''효민공 이경직 묘역''' || [[영해군(1435)#s-4|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5호}}}]]''' || ||<-2> {{{#fff {{{+1 '''효민공 이경직 묘역'''}}}[br]{{{-1 孝敏公 李景稷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산 57,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관악구)|남현동]] 산 57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2基, 석물 8基, 토지 302㎡ || || '''{{{#fff 지정연도}}}''' || [[1997년]] [[12월 31일]]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전주 이씨]] [[덕천군|덕천군파]] 우곡공 종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경직신도비.jpg|width=100%]]}}} || || {{{#F0AD73 ''' 이경직 묘역에 있는 신도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88&ccbaKdcd=21&ccbaAsno=0105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현재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관악구)|남현동]]에 이경직의 묘가 있다. 아버지 이유간의 묘는 윗쪽에, 장남 이장영의 묘는 아랫쪽에 있다. 묘의 동쪽에는 이경직의 일생과 업적이 적힌 신도비가 세워져있다. 1668년([[현종(조선)|현종]] 9년)에 세웠으며 친구였던 [[김류]]가 글을 짓고, 3남 [[이정영(1616)|이정영]]이 글을 썼다. 비는 사각 받침돌 위에 비신이 있고 그 위에 팔작지붕 형태의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비를 보호하기 위해 비각도 세웠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정영(1616), version=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