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球 (? ~ 263년) [목차] == 개요 == [[고대]] [[중국]]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이회(삼국지)|이회]]의 조카.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촉나라|촉]]이 [[멸망]]하기 이전에는 우림우부독이라 [[황궁]]을 [[금군|경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림우부독이 되어 263년에 [[촉한멸망전]]에서 [[제갈첨]]을 수행해 쳐들어오는 [[등애]]가 이끄는 [[위(삼국시대)|조위]]의 군을 막았는데, 전쟁터에서 명령을 받고 싸우다가 면죽에서 사망했다. == [[삼국지연의]] == 제갈첨과 [[제갈상]]이 죽고 [[등애]]가 제갈첨, 제갈상 부자의 충성을 갸륵하게 여겨 둘을 합장한 뒤에 빈 틈을 노리고 면죽을 공격하자 [[장준#s-1]], [[황숭]]과 함께 각기 한 무리씩 군사를 이끌고 나아갔지만 촉군은 적고 위군은 많아 싸우다가 전사했다. == 기타 미디어 믹스에서 == 정사나 연의에서 유일하게 비중있는 행적이 촉한멸망전에서의 전사 밖에 없는 장면을 충실히 반영하기 때문에 [[사망전대]]이다. [[이문열 평역 삼국지]]에서는 촉군이 적은 것 뿐만 아니라 세력이 외로워 모두 전사했다고 서술된다.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에서는 장준, 황숭과 함께 일군을 이끌고 나와서 전사했다고 하면서 촉의 병사는 수도 적고 용맹도 등애를 당할 수 없어 전사했다고 했다. || [[파일:external/kongming.net/liqiu.jpg]] || || [[삼국지 9]] 일러스트 || [[코에이]]의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며, 출생년도는 227년으로 설정되어 247년부터 재야 장수로 건녕에 등장한다. 삼촌에 비하면 무력은 높지만 나머지 능력치와 병법은 [[영 좋지 않게]] 등장한다. 66 / 71 / 53 / 58. 분전, 제사, 투석, 배반을 가지고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구, version=123)] [[분류:촉한의 인물]][[분류:263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