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 목조의 아들, rd1=안흥대군)]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이구수}}}[br]李龜洙}}}'''}}}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구수.jpg |width=100%]]}}} || ||<|2> '''출생''' ||[[1912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5960|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1913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4월 18일]]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가동면 암곡리[br](현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대가면(고성)|대가면]] 암전리[* [[이상근(1953)|이상근]] 고성군수도 이 마을 출신이다.] 암곡마을) || ||<|2> '''사망''' ||[[1967년]] [[6월 6일]] (향년 55세) || ||[[북한]] || || '''본관''' ||[[함안 이씨]](咸安 李氏)[* 운포공파(雲圃公派) 24세 수(洙) 항렬.] || || '''자''' ||현거(玄擧)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본관은 [[함안 이씨|함안]](咸安), 자는 현거(玄擧). == 생애 == 1912년 4월 18일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가동면 암곡리(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대가면(고성)|대가면]] 암전리 암곡마을)에서 아버지 이진효(李鎭孝, 1879. 7. 28 ~ 1924. 11. 9)[* 자는 진언(進彦).]와 어머니 [[의령 남씨]](1880. 9. 25 ~ 1931. 7. 11)[* 남상철(南相哲)의 딸이다.] 사이에서 5형제 중 셋째 아들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5960|태어났다]]. 고향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 [[니혼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법학과|법률과]]를 졸업하고 귀국 후 [[기자]]로 4년간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고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1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민국 부통령]] 2차 투표에서 1표를 받았다. 참고로 당선자는 [[이시영(정치인)|이시영]] 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위원장이었다. 이후 무소속구락부를 결성하였으며 미국과 소련 양군의 완전 철수, 통일 자주 독립을 주장했다. 1949년 5월 [[국회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김약수]], [[노일환]] 등과 함께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거되었다. 1950년 3월 14일 징역 3년형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0031500329202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0-03-15&officeId=00032&pageNo=2&printNo=1106&publishType=00020|선고받았다]]. [[6.25 전쟁]]이 일어나자 납북되었다. 이후 [[북한]]에서 재북평화통일협의회 상무위원을 역임했으나 1958년 12월 [[http://db.history.go.kr/id/im_108_30705|숙청되었다]]. 1967년 6월 6일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5960|사망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2>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남 고성군[* 제23선거구] ||<|2> [include(틀:무소속)] || '''11,321표 (23.78%)''' || '''당선 (1위)''' || '''초선''' || || [[제1대 대통령 선거|제1대 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표 (0.51%) || 낙선 (3위) || || [[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고성군(경상남도) 출신 인물]][[분류:함안 이씨]][[분류:1912년 출생]][[분류:1967년 사망]][[분류:제1대 부통령 선거/후보]][[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납북자]][[분류:니혼대학 출신]][[분류:재북인사릉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