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 현대/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시즌 24. 이규성.png|width=100%]]}}} || ||<-2> '''{{{#ffffff 울산 현대 No. 24}}}''' || ||<-2> '''{{{#003F98 {{{+1 이규성}}}}}}''' [br] '''{{{#003F98 {{{-2 Lee Kyu-seong}}}}}}''' || ||<|2> {{{#ffffff '''출생'''}}} ||[[1994년]] [[5월 10일]] ([age(1994-05-10)]세) || ||[[경기도]] [[양평군]]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 || {{{#ffffff '''신체'''}}} ||176cm, 67kg || || {{{#ffffff '''학력'''}}} ||안양초등학교 {{{-2 (졸업)}}}[br]안양중학교 {{{-2 (졸업)}}}[br][[안양공업고등학교]] {{{-2 (졸업)}}}[br][[홍익대학교]] || || {{{#ffffff '''소속 구단'''}}} ||'''[[부산 아이파크]] (2015~2020)''' [br] → {{{-1 '''[[상주 상무 FC]] (2018~2019 /^^ 군 복무^^)'''}}} [br] '''[[울산 현대]] (2021~ )''' [br] → {{{-1 '''[[성남 FC]] (2021 / ^^임대^^)'''}}}[* [[울산 현대]] 이적 직후 임대 이적]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 현대]] 소속 미드필더. == 선수 생활 == === [[부산 아이파크]] === 2015년 K리그 신인드래프트에서 부산 아이파크의 자유선발선수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등번호는 13번. 초반 [[윤성효]] 감독 시절에는 아예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경질 이후 거의 주전으로 활약했다. 비록 팀은 강등당했지만 프로 데뷔 시즌, 그것도 K리그 클래식 무대에서 20경기나 뛰며 1골 2도움을 기록, 긍정적인 신인 시즌을 보냈다. 영플레이어상 후보가 [[이재성]], [[황의조]], [[권창훈]]으로, 맹활약하던 [[손준호(축구선수)|손준호]]도 후보 조차 들지 못할 만큼 경쟁이 치열했기 때문에 영플레이어상 후보에는 들지 못했다. 이듬해부턴 등번호를 22번으로 옮겼고, 입대 시즌인 2018년엔 6번을 달았다. 2016년부터 2018년 5월까지 부산에서 주전급 미드필더로 분류되며 많은 경기에 나섰고, 라운드 베스트 11과 MVP를 기록할 정도로 두각을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세 시즌 연속 부산이 승격에 실패하며 계속 2부리그에 머물렀다. 2018년 5월, 상주 상무에 입대하며 K리그1 무대로 복귀하게 됐다. ==== [[상주 상무 FC]] (군 복무) ==== 2018-2019 시즌 동안 [[상주 상무 FC|상무]] 소속으로 군복무를 했다. 이 기간 [[김태완(축구)|김태완]] 감독과 [[정경호(축구)|정경호]] 코치 아래서 잠재력을 꽃피우는 모습을 보이며 상주의 연속 시즌 1부 잔류에 기여했고, 리그 팬들의 주목을 받는 미드필더 중 하나가 되었다. ==== [[부산 아이파크/2020년|2020 시즌]] ==== 2020시즌을 앞두고 전역하여 부산으로 돌아왔다. 등번호는 상주시절 말년에 달았던 번호이자, [[주세종]]의 번호인 24번. 루머로는 이적설이 적지 않게 돌았지만, 1부에서 통하는 게 확인된 유일한 미드필더 전력을 갓 승격한 부산이 놓아줄 리가 없었고, 결국 부산에 남아 새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결국 3년 연속 1부 리그에서 활약하게 됐다. 출장하는 경기 대부분에서 킬패스, 크로스, 드리블, 탈압박 모두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핵심 미들자원으로 활약중이다. 9라운드 성남과의 경기에서 호물로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해 부산으로 돌아온 후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거의 모든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박종우(축구선수)|박종우]]와 중원을 이끌었고, 파이널 라운드 2차전 FC 서울과의 경기에서 선취골을 기록하며 팀의 7경기 만에 승리를 이끌었지만, 끝내 팀의 강등을 막지 못했다. 리그에서 22경기 1골 1도움, FA컵 2경기 출전했다. 시즌이 끝나고 2021년 1월 8일 [[성남 FC]]에 합류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 [[울산 현대]] === 총 5개의 구단이 엮인 5각 트레이드를 통해 2021시즌 겨울이적시장에서 [[울산 현대]]에 입단했다. ==== [[성남 FC]] (임대) ==== 트레이드 내용에 따라 바로 [[성남 FC]]로 임대되었다. 실제로 성남은 [[김동현(1997)|김동현]]의 대체자로 시민구단의 적은 예산에도 불구하고 5억을 투자하려고 할 정도로 강력히 원하였지만 울산이 영입을 시도하면서 틀어졌다고 한다. 다만 이규성이 과거 상주시절 함께 활약하던 정경호 코치와 다시 만나고 싶다고 강력히 원하여 임대가 성사되었다고 한다. 인터뷰에 따르면 가장 자신있는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이고 때로는 공미, 수미 포지션까지 뛸 수 있다고 한다. 등번호는 5각 트레이드 상대였던 김동현의 번호인 14번을 배정받았다. 시즌 초반부터 거의 전 경기에서 풀타임을 뛸 만큼 [[김남일]] 감독과 [[정경호(축구)|정경호]] 수석코치의 신임을 한몸에 받고 있다. 6R에서 맹활약으로 시즌 첫 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13R 서울전에서 간결한 패스로 박용지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본인의 시즌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골키퍼 [[김영광(축구선수)|김영광]], 수비수 [[리하르트 빈트비힐러|리차드]], 공격수 [[뮬리치]]와 함께 팀의 코어라인을 맡고 있을 정도로 준수한 활약을 하고 있다. 결국 팀의 잔류에 큰 기여를 했다. 2021시즌 [[성남 FC|성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에서만 32경기 출전 2도움. ==== [[울산 현대/2022년|2022 시즌]] ==== 2022시즌을 앞두고 원소속팀인 [[K리그1]]의 [[울산 현대]]로 임대복귀했다. 선수 소개 멘트는 '''Welcome Back, 중원의 연결고리.''' 2월 20일 개막전 [[김천 상무 FC]]와의 홈 경기에서 [[원두재]]와 함께 투 볼란치로 선발 출전해 중앙에서 공격과 수비, 그리고 연계플레이에서 모두 합격점을 받았다. 다만, 팀은 골 결정력 부재로 0:0 무승부를 거뒀다.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아마노준]]과 함께 관중들의 탄성을 자아내는 플레이를 많이 선보였다. 2월 26일 2라운드 [[성남 FC]]전에 선발 출전해 좋은 활약을 펼쳤다. 지난 경기와 마찬가지로 좋은 탈압박 능력을 선보이며 공격 전개 과정에서 도움을 주었고, 팀은 [[아마노 준|아마노]]의 멀티골에 힘입어 2:0 승리를 거뒀다. ACL PO 포트전에서 센스있는 장거리 로빙 패스로 [[최기윤]]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울산 이적 후 첫 공격 포인트를 올렸다. 6R 포항과의 동해안 더비에 선발로 나와 73분을 소화했고, 후반 26분 날카로운 스루패스로 레오나르도의 선제 결승골에 크게 기여했다.[* 레오나르도의 터치가 5회를 넘어가 어시스트로 기록되진 않았다.] 현재까지 [[울산 현대|울산]]의 3미들 조합의 주전으로 나서 활약하고 있으며, 특유의 왕성한 활동량으로 홀딩 스타일의 [[원두재]] 혹은 [[박용우(축구선수)|박용우]] 10번 롤을 맡은 [[아마노 준]]의 플레이에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 작년에 바로 합류하지 않고 성남 임대를 떠난 것에 아쉬워하는 팬들도 많다.[* 작년 울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최전방 공격수이긴 했으나, [[신진호]]가 떠난 하드워커 스타일의 중앙 미드필더 부재 또한 영향이 적지 않았다.] 22R [[수원 삼성]]과의 홈 경기에서 후반전 51분 구석을 노린 정확한 중거리 슈팅으로 선제골이자 [[울산 현대|울산]]에서의 데뷔골을 만들어냈고 팀은 2:1로 승리했다. 10월 8일 35R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과의 [[현대가 더비]]에 선발 출장했고, 전후반 내내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여기서 후반 추가시간 10분에 올린 정확한 코너킥으로 '''마틴 아담의 극장 역전골을 어시스트하며''' 팀의 역전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이번 시즌 내내 중원에서 분투했던 그의 킥 한방이 마지막 순간에 빛을 발한 것. 2022년에 보여준 활약으로 인해 2022 K리그 대상 베스트 11 미드필더 부문의 후보에 들었다. 2022년 [[울산 현대|울산]]에서의 최종 기록은 39경기 출전 1골 2도움.[* 리그 31경기 출전 1골 1도움, FA컵 2경기 출전, AFC 챔피언스리그 6경기 출전 1도움.] ==== [[울산 현대/2023년|2023 시즌]] ==== [[박용우(축구선수)|박용우]], [[이명재(축구선수)|이명재]]와 함께 2023 시즌 부주장으로 선임되었다.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박용우와 짝을 이뤄 주전 3선 미드필더로 나설 전망이다. 개막전인 [[현대가 더비]] 홈경기에서 [[박용우(축구선수)|박용우]]와 짝을 맞춰 88분을 활약하다 [[김민혁(1992년 8월)|김민혁]]과 교체 아웃됐다. 전반에는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의 거센 압박에 힘겨워하는 모습이었으나 후반에는 안정을 되찾고 준수한 활약을 펼쳤다. 13라운드 서울전에서 후반 4분 정확한 컷백으로 바코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18라운드 제주전에서 후반 24분 유리의 압박에 당하는 바람에 패스미스로 만회골을 내주는 실수를 범하고 말았지만, 후반 추가시간 바코의 쐐기골을 어시스트하며 본인의 미스를 결자해지했다. 인종차별 징계에서 돌아와 FA컵 8강 제주와의 경기에서 복귀했으나 실망스러운 경기력으로 팀의 탈락에 일조했다. 호흡이 잘 맞던 파트너 박용우의 중동 이적으로 한동안 과부하가 걸릴 전망이다. 이후 박용우에 이어 이적을 갈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 해외로 어디를 가든지 해외에서 인종차별이나 들으라는 여론이 대부분이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울산 현대]] * [[K리그1]]: 2022, 2023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울산 현대 선수 및 매니저의 사살락 인종 차별 사건|사살락에 대한 인종 차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울산 현대 선수 및 매니저의 사살락 인종 차별 사건)] === 경기 중 [[문지환|상대 선수]]를 향한 가격 행위 === 2023년 7월 12일 22 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패스이후 몸싸움 경합했던 [[김도혁]]이 아니라 [[문지환]]을 향해 주먹으로 얼굴을 가격하면서 해당영상이 공론화되었다. 심판이 근처에 있었는데도 파울을 안불었고 논란이 예상되고 연맹은 해당장면을 현재 보고있다고 한다.[[https://news.koreadaily.com/2023/07/13/sports/soccer/20230713010747842.html|기사]],[[https://biz.chosun.com/sports/football/2023/07/13/O63XG6RG57YNJZF444QWUALC5A/|2]],[[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307131556774254O&pDepth1=sports&pDepth2=Stotal&page=1&type=outlink&ref=https%3A%2F%2Fwww.google.com#_enliple|3]] 하지만 연맹이 심판위와 상벌위원회를 열어서 징계 수위를 결정한 결과 이규성에게는 '''아무런 징계가 내려지지 않았다.''' 연맹 측에서도 이번 사건은 사후징계감이라고 생각했고 2차례나 심판위에게 질의했음에도 심판위는 "이규성의 반칙은 가격이 아닌 밀침이기 때문에 퇴장이 아니라 경고성 반칙이다."라는 황당한 답변을 내놓았었다. 심지어 강창구 협회 전임심판강사는 17일 “이규성의 손목과 팔의 회전속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주먹이 아닌 전완(아래팔)이 닿았다고 판단했다. 당시 주심이 VAR실과 교신하며 내린 판정이라는 점도 감안했다”라는 아주 과학적인 해명을 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중앙 미드필더가 주 포지션이며, 174cm, 68kg의 작은 체격이지만 몸이 다부진 편이다. 이 체격을 활용한 수비력이 제법 준수하고, 왕성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여기에 볼을 다루는 기술과 공격 전개 능력, 탈압박도 제법 준수하다. 특히 롱킥의 정확도가 상당해서 수비형 미드필더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많은 활동량을 가져가는 플레이 스타일 상 어느 정도 로테이션을 돌려주지 않으면 폼이 다소 하락한다. 성남에서 그의 자리는 대체할 수가 없었기에 휴식 없이 많은 경기를 나와야 했고, 때문에 후반기에 기복을 보이는 경기가 많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울산 현대)] [[분류:1994년 출생]][[분류:양평군 출신 인물]][[분류:안양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울산 현대/현역]][[분류:성남 FC/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