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외척]][[분류:조선 개국공신]][[분류:1398년 사망]][[분류:고성 이씨 도촌공파]] [include(틀:조선 개국공신)] 李懃 ? ~ [[1398년]] ([[태조(조선)|태조]] 7년) [목차] == 개요 == [[여말선초]]의 문신으로 조선의 개국공신.본관은 [[고성 이씨|고성]](固城)[* 도촌공파. 도촌공 이교(李嶠)의 손자]. [[이림(고려)|이림]]의 조카로, [[근비 이씨]]는 사촌 누이이다. == 생애 == 아버지 이희필(李希泌)과 어머니 [[무안 박씨]] 박천무(朴天茂)의 딸 사이의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388년(우왕 14)에 좌부대언이 되고, 1389년(공양왕 1) 우왕·[[창왕]]이 서인(庶人)으로 될 때 숙부 이림과 함께 원지에 유배, 얼마 뒤 석방됐다. 이듬해 1390년 3월 좌상시(左常侍)에 임명됐다. 같은 해 5월에 윤이·이초의 옥사가 있었는데, [[김사형]]이 [[형조]]의 관원들을 부추겨 찬성사 [[정몽주]]를 탄핵[* 당시 윤이와 이초의 당인 우현보 등이 사면으로 비교적 가벼운 벌을 받고 조정에 남아있었다. 김사형과 사헌부, 형조에서는 이들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정몽주는 홀로 이들을 처벌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하게 한다. 먼저 형조판서 안경공, 성석연 등이 파직되고 이근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데, 이근도 마찬가지로 정몽주를 비롯해 좌상시 정우(鄭寓), 좌사의(左司議) 최운사(崔云嗣)를 탄핵한다. 낭사들이 "탄핵은 형조의 임무가 아닙니다."[* 彈劾非刑曹之任.]라고 하니 이근은 역으로 낭사들을 탄핵하면서 이는 정몽주가 대신을 음해하려는 것으로 마땅히 국문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이근은 파직되고 10월에 염문계정사(廉問計定使)가 되어 경상도에 파견, 1392년 개경으로 돌아와 이조판서에 이어 우대언이 됐다. [[이성계]]를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개국공신 3등에 녹훈되고 좌승지가 됐다. 1393년에 대사헌이 되어 동국 역대 여러 현인들의 비록을 두루 상고하여 요점을 추려서 바치기도 했다. 1396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종묘감독관에 이르렀다. 1398년 [[1차 왕자의 난]]에 관련되어 주살되고 관직도 추탈됐다. == 대중매체 == [[육룡이 나르샤]]에서 단역으로 출연하였는데 왕자의 난 당시 송현방을 기습한 이방원의 군대를 피해 도망치다가 이방간에게 잡혀 패대기 쳐졌다가. 박포에게 이근 인 것을 확인 한 후 방간의 철퇴를 맞고 사망 하였다.[[https://youtu.be/IWw-i5szlV8|#]][* 이후 동명 이인인 [[이근]] 대위와 엮여 이근 관련 드립이 댓글로 달리기도 하였다.] 이게 유일한 출연 분이며, 왕자의 난을 다룬 여러 매체를 다 봐도 이게 유일한 등장 분이다. [[정도전(드라마)|정도전]]과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에서 심효생과 함께 살해당하는 관료들 여럿이 등장해 이근, 장지화가 살해당하는 연출은 나오지만 명확히 이름 자막은 뜨지 않아 누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근(동명이인), version=126,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