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 [include(틀:제2작전사령관)]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 [include(틀:제1군단장)] ---- [include(틀:제15보병사단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A24, #993334 20%, #993334 80%, #801A24)" {{{#ffffff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fff 대한민국 제19대 합동참모의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1e31, #ec1e31 20%, #ec1e31 80%, #ec1e31)"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대한민국 제24대 국방부 장관}}}]][br]{{{#fff {{{+1 이기백}}}[br]李基百 | Lee Gi-bae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기백 장군.jpg|width=100%]]}}} || ||<|2> '''출생''' ||[[1931년]] [[10월 20일]]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면[[http://m.mk.co.kr/onews/1982/646707|#]][br](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2> '''사망''' ||[[2019년]] [[12월 16일]] (향년 88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1충혼당 3층-302실-172호|| || '''본관''' ||[[고성 이씨]][* 사암공파 30세 기(基) 항렬.]|| || '''호''' ||석관(石寬) || ||<|4> '''재임기간''' ||제19대 합동참모의장 || ||[[1983년]] [[6월 3일]] ~ [[1985년]] [[6월 3일]]|| ||제16대 국방부 장관 || ||[[1986년]] [[1월 8일]] ~ [[1987년]] [[7월 14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형렬(생부)·이원렬(양부)[br][[어머니]] 류창렬(생모) || || '''형제자매''' ||4남 6녀 중 차남 || || '''배우자''' ||전경연 || || '''자녀''' ||딸 이재영 || || '''학력''' ||[[조치원대동초등학교|조치원공립보통학교]] {{{-2 (졸업)}}}[br][[한밭대학교|대전고등공업학교]] {{{-2 (졸업)}}} || || '''경력''' ||제24대 국방부 장관[br]민주정의당 국책평가위원[br]민주자유당 촉탁위원[br]신한국당 특임위원[br]한나라당 특임고문[br]자유민주연합 특임고문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1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5년 ~ 1985년 || || '''최종 계급''' ||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 '''주요 보직''' ||[[제2작전사령관|제2야전군사령관]][br][[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br][[제1군단|제1군단장]][br][[제56보병사단|제60훈련단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 생애 == [[1931년]]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면 (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서 아버지 이형렬(李亨烈)[* 이명 이풍열(李豊烈).]과 어머니 [[문화 류씨]] 류창렬(柳昌烈)의 딸 사이의 4남 6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자식이 없던 큰아버지 이원렬(李元烈)[* 이명 이명렬(李明烈).]에 입양되었다. 육사 졸업당시 성적은 중간(59등)이었으며 소령 시절에 물에 빠진 육사 동기 [[김복동]]을 살린 이력이 있다. [[하나회]] 출신은 아니었음에도 육사 11기 동기인 전두환이 12.12 군사반란을 통해 실권을 잡자 하나회 견제 및 육사 전체가 참여한다는 상징을 곁들여 3차 진급자인 이기백을 기용하여 국보위 운영위원장에 임명했다. 이후 요직인 [[제1군단]]장과 육군참모차장을 거쳐 4차로 [[대장(계급)|대장]] 진급하였다.[* 1차 대장진급자는 당연히 셀프진급한 전두환이었고 2차는 전두환이 군복을 벗긴 노태우였다. 3차 진급은 정호용, 4차 진급은 이기백, 5차 진급은 이상훈으로 비하나회 11기 2명은 대장진급을 선두로 하지 못 했다.] 하지만 권력이 약했던 [[제2작전사령관|2군사령관]]과 당시 기준으로 실권이 없던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을 지낸 점을 보아, 하나회가 구색맞추기로 임명한 비하나회 장성 중 한 명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기백 대장이 어느 정도 능력이 있었으니 진급할 수 있었던 것이지만. ===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 === [[1983년]] [[6월]], 1기수 선배인 [[김윤호(군인)|김윤호]]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에 임명되었다. 이후 [[1983년]] [[10월]] 전두환 대통령과 함께 버마(現 [[미얀마]])에 수행원으로 갔다가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인해 생명에 지장이 갈 정도로 큰 [[부상]]을 당하였으나, 다행히 그가 입고 있던 [[장교]] [[정복(의복)|정복]]과 정복에 달린 [[약장]]과 [[훈장(상훈)|훈장]][* 엄밀히 말하면 30년 근속훈장]이 [[방탄복]] 역할을 하여 살아남았다. 그의 뒤에 도열해 있던 [[최재욱]] 당시 공보비서관과 더불어 단 둘 뿐인 생존자. 그리고 수행했던 [[전속부관|합참의장 전속부관]] [[전인범]] [[중위]][* 이쪽도 훗날 중장으로 진급해 [[특전사령관]]과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내고 전역한다.][* 이기백 1군단장은 소대장을 마친 전인범 중위를 전속부관으로 발탁했으며(중장의 전속부관은 중위이다), 그가 육군참모차장, 2군 사령관, 합참의장 순으로 계속 승진하는 중에 계속 데리고 갔다. [[전인범]]이 1984년에 대위로 진급하면서 새 전속부관이 소령으로 바뀌게 된다.]에 의해 구조되었다. 귀국 후 그 정복을 육군사관학교에 기증하여 육군사관학교 내 [[박물관]](육군박물관)에 고스란히 전시되어 있다. [[파일:external/www.iusm.co.kr/309763_125357_1119.jpg|width=100%]] 당시 입었던 정복. === 국방부 장관~말년 === 이후 [[1986년]] [[1월]]부터 [[1987년]] [[7월]]까지 [[국방장관]]을 지냈다. 이 때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이 벌어지자 [[남재희]] 의원에게 사과전화를 하고 하나회 인사였던 [[정동호(1935)|정동호]] 육군참모차장을 강제 전역시켰다.[* 하지만 정동호는 한국도로공사 사장으로 이동하면서 여전히 잘 나갔다. 애초에 정동호 중장은 이 사건만 없었더라면 대장 진급이 유력했던 인물인지라...] 그리고 [[북한]]이 [[금강산댐]]을 건설하여 [[서울특별시]]가 물에 잠길 것이라고 과장하여서 [[평화의 댐]] 사건의 주역 중 한 명이 되었다. ||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41106121635231.jpg]] || || 노년의 모습 || 이후 정치권에서 특임고문 정도의 자리만 맡았고 정치에 관여하지 않았다. 한동안 소식이 없었는데, 2006년에 전인범 대령이 한미연합군사령부에서 표창을 수여받자 수여식에 참석했으며, 2016년에 1983년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에서 목숨을 걸고 구해준 당시 [[전속부관]]이었던 [[전인범]] 장군이 33년이란 긴 세월이 흘러 중장 전역식[* [[https://youtu.be/dtNloQOY18U|관련 전역식 영상]].]을 할 때 찾아와서 직접 훈장을 달아주며 그동안 구해준 거에 대한 고마움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평생 나는 내 생명을 구해 준 전인범 장군을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모든 내 성의를 다해서 아껴왔습니다." >--------- >[[2016년]] [[7월 28일]], [[경기도]] [[이천시]] [[특수전사령부]] >전인범 장군 전역식에서 기자와 인터뷰 中 [[2019년]] [[12월 16일]]에 향년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공화국의 국무위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기백, version=29)]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931년 출생]][[분류:고성 이씨 사암공파]][[분류:2019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테러 피해자]][[분류:국방부 장관]][[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한밭대학교 출신]][[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