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낙연)]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HandsomelyOpenLowlyStatement)] || {{{#ffffff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등재기준 * 제도권 언론에서 1회 이상 보도된 경우 (사설 혹은 기고 등 주장이나 의견만을 담은 글은 제외) * 토론을 통해 기재하기로 합의된 경우 * 단, 위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토론을 통해 기재하지 않기로 합의할 수 있다. }}} ||}}}}}}}}} || [include(틀:이낙연)] [목차] == 긍정적 별명 == === 어대낙 === '''어'''차피 '''대'''통령은 이'''낙'''연의 줄임말로 이낙연 대표가 한창 대권 주자 지지율 선두를 달리던 시절에 자주 쓰이던 별명이다.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politics/amp/2020082904847|#]] 하지만 대선경선에서 탈락한후 지금은 잘 사용되지 않는다. === 사이다 총리 === 총리 재임 시절 국회 대정부 질의 때 야당 의원들의 질문을 매우 간단하면서도 명쾌하게 논파하여 붙여진 별명이다. 이처럼 상대방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반박을 구사할 수 있는 이유는 이낙연이 언론인 출신이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이낙연은 민주당 대변인을 많이 맡아 '5선 대변인'이라는 별명이 있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3886445?sid=100|#]] == 중립적 별명 == === 낙/연/여니 === 성씨인 이의 경우 과거 [[이명박]]이나 현 경쟁자인 [[이재명]]과 겹침으로 가운데 글자인 '낙'으로도 많이 불려진다. 이재명의 '명'과 함께 [[민주당 대선 경선]]상의 양자대결을 뜻하는 '명낙대전'이라는 용어도 있다. [[https://news.v.daum.net/v/20210822080024608|#]] 다만 이낙연 지지자들은 이낙연의 '낙([[洛]])'자에 포함된 의미는 아니지만 '낙'이라는 한글 글자에서 쉽게 연상할 수 있는 한자 [[落]]의 의미가 떨어진다, 하락한다 등 안 좋은 의미의 단어들이 연상되는 면도 없지 않아 있기에 '낙' 대신 '연'이라는 글자를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이낙연 캠프의 이름이 [[필연캠프]]인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이낙연의 마지막 글자인 연을따서 여니라고 부르기도 한다. 문재인의 긍정적 별명인 이니의 다른 버전인 셈. 여초카페에서는 문재인의 긍정적 별명인 이니와 합쳐서 '이니여니'로 부르기도 한다.[* 특히 2030 여성들이 주류인 쭉빵카페, 소울드레서 등에서 자주 나타난다. 한편, 이러한 여초 커뮤니티는 대체로 [[친문]] 성향을 강하게 띄고 있다.] [[문을 여니 조국이 보인다]]와 같은 밈에서도 사용되었다. [[https://www.fmkorea.com/3507628441|#]] === NY === YS([[김영삼]]), DJ([[김대중]]), MB([[이명박]])처럼 이름 영문표기의 머리글자('''N'''ak '''Y'''eon)를 딴 별명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527457?sid=100|#]] === 밀랍총리 === 총리 시절 이낙연이 귀빈들과 사진을 찍을 때마다 마치 밀랍인형같이 늘 같은 표정과 같은 자세를 취하여 붙은 별명이다. 이낙연 본인에게는 그 표정이 본인 할 수 있는 가장 나은 표정으로, 나름의 고민 끝에 나온 것이라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8/0000223135?sid=100|#]] == 부정적 별명 == === 사면발의([[赦]][[免]][[發]][[意]])/[[사면바리]] === [[이낙연 이명박, 박근혜 사면 발언 논란|이낙연 대표의 이명박, 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면발의 발언]] 이후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10317390003987|#]] 클리앙, 보배드림, 딴지일보 등 비 이낙연계 친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생긴 별명이자 멸칭으로 기생충 [[사면발니]]에 빗대어 만든 별명이다. === [anchor(엄중)]엄중이/엄중 낙연 === 이낙연이 대정부 질의에서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자주 말한것에서 비롯된 별명이다. 당대표 시절 행보와 재보선 패배 이후에는 '[[엄중]]'을 강조하면서 정작 아무것도 하지않았은것을 비판하는 부정적인 별명이다. 이제는 엄중이, 엄중낙엽, 엄중낙지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등장하고있다.[[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7365|#]] 한편, [[김두관]]은 이낙연을 두고 당대표 시절 야당의 공격을 "엄중하게" 막아낸 것 밖에 없다고 비판했다.[[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4096349800443253&id=100002048201700&sfnsn=mo|#]] === 기름장어 === [[파일:i15062762522.jpg|width=300]] [[반기문]]에게도 붙었던 별명으로, 미꾸라지처럼 모든 사안에 명확한 찬반을 밝히지 않고 늘 엄중하다면서 애매모호하게 답변하며 어느 한쪽에게 책잡히지 않고 자신이 책임지지 않으려는 발언만 해서 붙어진 별명이다. 간을 보며 이미지와 이득만 챙긴다고 마치 '[[안철수|간철수]]'처럼 '간낙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6/202005060283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 이낙엽 === 이낙연의 '낙'자와 낙엽의 엽을 합성한 별명으로, 이명박/박근혜 사면발의와 재보궐 패배로 지지율이 급락한 모습이 마치 낙엽과 같다고 해서 만들어진 별명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527674|#]] === 추풍낙연/추풍낙엽 === "[[추미애]] 바람에 이낙연이 지다"란 뜻으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2020년을 대표하는 사자성어 후보군으로 올리기도 했다.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0/12/1301832/|#]][* 최근에는 추미애를 지지하고 이낙연을 비판하는 민주당 지지층들이 이 단어를 많이 쓰고 있다.] 이낙연의 지지율이 내려가는 등 이낙연에게 부정적인 현상이 있을 때 언론에서 사용하곤 한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66086626003440&mediaCodeNo=257&OutLnkChk=Y|#]] === [[전과(범죄)|전과]] 2범 === 주로 82쿡등 여초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별명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ouldresser&no=22212|#]] ,[[https://bada.io/post/6316470|#]] 이낙연을 줄곧 [[도덕]]성 도덕성을 부르짖지만, 실은 자신도 범죄경력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 [[1978년]] [[예비군 훈련]] 무단불참으로 벌금형을 선고받고, [[2004년]]에 선거법 위반 혐의로 벌금 50만원형을 선고받은 엄연한 '''전과 2범'''이다.[[http://www.womansense.org/790|#]][[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1705122145025|#]] === [[똥파리(정치)|똥파리]] === 주로 민주당 지지층에서 사용하는 별명으로 이낙연 본인 뿐만 그 지지자들을 일컫는 멸칭으로도 곧잘 사용된다. [[https://www.khan.co.kr/politics/election/article/202109250907001|#]] === [[낙지]]/[[낙지 탕탕이]]/이낙지 === 이낙연이 하는 행보가 마치 낙지와 같다면서 그의 이름중 한자인 글자인 낙자를 낙지에 빗댄별명[[https://www.asiae.co.kr/article/2023071210281212624|#]],[[https://www.nocutnews.co.kr/news/5975297|#]] === [[수박(동음이의어)#s-6|수박]]/수박왕 === [[수박]]의 색이 껍질은 초록, 알맹이는 빨강인것에 빗대어 겉과 속의 색깔이 다르다는 의미. 원래는 [[김진표]], [[박병석]] 등 더불어민주당 내 일부 보수파 정치인들이나 더불어민주당의 주류 계파로 일컬어지는 [[친문계]], [[친명계]]를 비판하는 [[조금박해]] 등 소장파 의원들에 대한 멸칭이었으나 이후 이낙연계 인사들이나 이낙연을 일컫는 멸칭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3021629001#c2b|#]],[[https://www.ytn.co.kr/_ln/0101_202306261639065077|#]] [각주] [[분류:이낙연]][[분류:정치인 별명]][[분류:인물별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