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에 이름이 '이난향'이었던 안녕 자두야의 등장인물, rd1=김난향)]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난향 (李蘭香) 일제강점기의 [[기생]]. 당대의 이름난 예인이자 기생이었다. 당시 활동하는 예인 중 유명한 가객(歌客)[* 전통음악인 [[정가(국악)|정가(正歌)]] 중 [[가곡]]을 부르는 사람을 말한다.]이기도 했다. 본명은 이선비(李仙妃)로, 1900년에 [[평양]]에서 1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좌수였기에 집 형편은 넉넉했지만, 물산 객주업을 하다 실패하여 가세가 기울었다. 나이가 찬 자식들을 모두 [[결혼|출가]]시킨 그녀의 어머니는 12살인 막내를 기생 양성소라 불리는 이름난 노래 서재로 보냈다. 이후 13살에 상경하여 다동기생조합의 기생이 되었고, 궁중 진연에 참가하여 [[순종(대한제국)|순종]] 앞에서 춤을 선보였다. 그 후 대정권번에 소속되어 [[가곡]]의 거장인 하규일(1867~1937)에게 [[국악|정악]]과 [[정가(국악)|가]][[춤|무]] 일체를 배웠다. [[정가(국악)|정가]]인 [[가곡]], [[가사]], [[시조(문학)|시조]] 뿐 아니라 서도잡가도 불렀으며, 국악기인 [[양금]]과 일본 악기인 [[샤미센]]을 연주할 줄 알았고, 정재48종무, 승무, 검무, 서양무도 등 춤에도 능했다. 춤추는 태가 빼어났다. 스승인 하규일 역시 자신의 모든 제자 중 그녀가 가장 빼어나다고 하였으며, 한번에 연달아 노래 네 바탕을 배울 정도로 열의 넘치는 제자였다고 한다. 모든 노래를 잘 했으며, 춤도 잘 췄고, [[양금]]도 잘 연주한데다 외모까지 빼어났고, 목소리도 곱고, 하나를 물으면 열을 대답할 정도로 만능 재주꾼이었으며, 소문이 금세 퍼져 많은 인기를 얻었다고 한다. 이후 십수 년을 인기있는 기생으로 살았지만, 31세에 결혼하여 살림에 전념했다. 처음으로 [[가곡]] 레코드판을 녹음했다. 인터넷에서는 [[설리(1994)|설리]]의 닮은꼴로 알려졌다. 그런데 보정한 사진이라는 설도 있다. == 가곡 == [youtube(RPHAvEvecqg)] == 기타 == 이난향 얼굴에 대한 생생한 얼굴을 아래 영상 6:47부터 볼수있다. 이난향 나이 든 사진은 이난향이 아닌 손병희 부인 주옥경이다. [youtube(OYs8mMIkUMI)] 이 영상에서는 명월관을 대표하는 기생 12명도 함께 볼수있다. [각주] [[분류:일제강점기의 인물]][[분류:1900년 출생]][[분류:1979년 사망]][[분류:평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