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大雨 [[1942년]] [[2월 2일]] ~ [[2009년]] [[9월 13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교육인 및 정치인이다. 본관은 [[성주 이씨|성주]](星州)[* 시중공파 23세 우(雨) 항렬.]이다. == 생애 == 1942년 2월 2일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현 [[상주시]])에서 아버지 이근호(李根澔, 1921. 4. 10 ~ 1998. 5. 1)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순득(金順得, 1922. 6. 10 ~ )[* 김영화(金永和)의 딸이다.] 사이의 4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1973년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225808|第二共和國 崩壞原因에 對한 한 考察 : Almond의 發展理論을 中心으로]](제이공화국 붕괴원인에 대한 한 고찰 : Almond의 발전이론을 중심으로, 1973).], 1981년 2월 [[국제관계학|국제관계연구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839489|「矛盾論」 視角에서 본 毛澤東-劉少奇 葛藤에 關한 硏究 : 1959年-1969年]](「모순론」 시각에서 본 모택동-유소기 갈등에 관한 연구 : 1959년-1969년, 1981. 2.).]를 각각 취득했다. 경북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1960년 [[2.28 학생민주의거]]를 주도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후 [[부산대학교/학부|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부임해 근무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금정구(선거구)|금정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김진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1942년 출생]][[분류:2009년 사망]][[분류:성주 이씨]][[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출신]][[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