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 현대/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 이동경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K리그1|[[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height=40]]]] [[파일:K리그 이달의 선수상 패치(홈).svg|height=45]][[파일:K리그 이달의 선수상 패치 (원정).svg|height=45]][br]{{{#FFF '''2021 이달의 선수상 수상자'''}}} || || '''9월'''[br][[조영욱]][br]([[FC 서울]]) || {{{+1 →}}} || {{{#fff '''10월'''[br]'''이동경'''[br]([[울산 현대|{{{#fff 울산 현대}}}]])}}} || {{{+1 →}}} || '''11월'''[br][[홍정호]][br]([[전북 현대 모터스]])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시즌 14. 이동경.png|width=100%]]}}} || ||<-3> '''울산 현대 No. 14''' || ||<-3> '''{{{+1 이동경}}}[br]李東炅 | Lee Dong-Gyeong''' || ||<-2><|2> '''출생''' ||[[1997년]] [[9월 20일]] ([age(1997-09-20)]세)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본관''' ||[[평창 이씨]] || ||<-2> '''신체'''[* [[https://www.bundesliga.com/en/bundesliga/player/dong-gyeong-lee|분데스리가 공식 웹 사이트 프로필]]] ||[[키(신체)|키]] 175cm / [[체중]] 72kg || ||<-2>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중앙 미드필더]][* [[4-1-4-1]]에서 메짤라 역할로 뛴다.] || ||<-2> '''주발''' ||왼발 || ||<|2> '''소속''' || '''유스''' ||[[대구화원초등학교]] (2008~2010) [br] 현대중학교 (2010~2013) [br] [[현대고등학교 축구부|현대고등학교]] (2013~2016) [br]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학부/산업스포츠학과|산업스포츠학과]] 중퇴] (2016~2018) || || '''프로''' ||'''[[울산 현대]] (2018~ )''' [br] → {{{-1 [[FC 안양]] (2018 / ^^임대^^)}}} [br] → {{{-1 [[FC 샬케 04]] (2022 / ^^임대^^)}}} [br] → {{{-1 [[FC 한자 로스토크]] (2022~2023 / ^^임대^^)}}} || ||<-2> '''국가대표''' ||8경기 1골[* 2023년 9월 8일 기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19~ )^^ || ||<-2> '''링크''' ||[[https://www.instagram.com/hilee__d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2020년에 다시 개설한 계정.] [[https://blog.naver.com/edk3002|[[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8]]]][* 2021년 10월부터 개설한 블로그이며, 샬케 이적 후 독일에서의 생활기를 올리며 본격적으로 블로그를 시작했다.]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부모님[br]배우자 박예린^^(1995년생, 2022년 6월 14일 결혼)^^[br]딸^^(2024년 출산예정)^^ || || '''종교''' ||[[무종교]][* [[https://youtu.be/rD8qT5uZ_vE|영상 7분 7초]]] || || '''에이전시''' ||[[Creative Artists Agency|[[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width=50]]]] || || '''등번호''' ||[[울산현대고등학교]] - 10번[br][[홍익대학교]] - 17번[* 2016 시즌], 8번[* 2017 시즌][br][[울산 현대]] - 23번[* 2018 시즌], 15번[* 2019 시즌], 14번[* 2020~][br][[FC 안양]] - 36번[br][[FC 샬케 04]] - 14번[br][[FC 한자 로스토크]] - 17번[br][[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 10번[* [[2020 AFC U-23 챔피언십]], [[2020 도쿄 올림픽]]], '''18번'''[* '''현재 A대표팀 번호''']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울산 현대]]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동경/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국가대표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동경/국가대표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상당히 공격적인 성향의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상황에 따라 [[윙어|윙포워드]]도 가능하며, 왼발 [[공격형 미드필더|공미]]라는 특수성 덕분에 더 높은 평가를 받고있다. 가장 큰 장점은 양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드리블을 하는 것과 빠르고 정확한 슈팅과 롱패스 능력이다. 또한 직접 빠른 스피드를 통한 돌파를 하여 공격에 가담하기도 하고, 중거리슛 실력이 좋아 자주 코너킥이나 [[https://youtu.be/tjYiYDmQGts|프리킥]]을 담당한다. 주발인 왼발에 걸리면 위협적인 슈팅을 보여주며, 약발인 오른발로도 슈팅을 잘찬다. 이러한 이유들로 [[FIFA 온라인 4]]에서 [[https://m.inven.co.kr/fifaonline4/player/?code=504245054|20KL]], [[https://m.inven.co.kr/fifaonline4/player/?code=507245054|21KL]], [[https://m.inven.co.kr/fifaonline4/player/?code=300245054|라이브]] 시즌 이동경 카드는 양발 선수로 구현되어 있다. [[https://youtu.be/t56qO9zz29Q|브라질전 중거리슛 득점1 (오른발)]][*2분 29초] [[https://youtu.be/haOiVKv17lM|아르헨티나전 중거리슛 득점1]] [[https://youtu.be/jGL11diyNE8|멕시코전 득점1]] [[https://youtu.be/oG1ExF5tveM|멕시코전 득점2]] [[http://naver.me/5izG4Rgz|210829 인천전 중거리슛 득점]] 1997년생이라는 어린 나이에도 벌써 경기를 읽는 눈이 있고,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올림픽 대표팀]]에서는 전방 플레이 메이킹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게다가, 프로에 어느 정도 적응한 이후부터는 킬패스를 넣어주는 실력도 많이 올랐다. 다만 소속팀 [[울산 현대]]에서는 워낙 뛰어난 [[중앙 미드필더|중미]]와 플레이 메이커가 많아서,[* [[박용우]], [[믹스 디스커루드]], [[윤빛가람]],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 [[이청용]], [[고명진(축구선수)|고명진]], [[원두재]], [[신진호]], [[신형민]], [[바코(축구선수)|바코]] 등 19-21 시즌 울산의 중원은 K리그 탑급으로 평가받는다.] 역할이 한정되고 본인의 100% 모습을 다 보여주지 못하는 느낌이다. 단점은 과감해져야 할 때랑 그렇지 않을 때를 잘 구분하지 못해 판단을 잘못 내리는 경우가 가끔씩 있으며, 수비 시 아직은 미숙한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데뷔 초부터 2021년 초반까지는 몸싸움과 체력 문제도 지적받았다. 그러나 도쿄 올림픽을 다녀온 뒤로 몸싸움과 체력 부분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내며 엄청난 압박과 적극적인 수비 가담은 물론이고 전후반동안 엄청나게 뛰어다녀도 문제가 없을 수준으로 체력이 올라왔다. 다만 수비력이 개선되지 않으며 전술 이해도가 낮고, 가능한 포메이션이 한정적인 전형적인 [[공격형 미드필더]] 역할만 수행 가능하며, 유럽 리그에서 지속적으로 뛰기엔 피지컬적 요소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전형적인 공격형 미드필더의 플레이스타일 자체는 현대 축구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좁은 공간에서 펼치는 팀 단위의 조직적인 압박이 대세가 되고, 공격형 미드필더가 포진되는 상대의 수비진-미드필더진 사이의 공간에 수비형 미드필더를 포진시키는 포메이션이 보편화되며 대부분의 공격형 미드필더들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진화한다. 예를 들어 중앙보다 상대 측의 압박에 대한 부담이 덜한 측면에서 드리블과 패스로 측면 공격을 이끄는 [[윙어]], 보다 낮은 위치에서 많은 활동량으로 공수 모두에 적극 가담하는 [[중앙 미드필더]], 보다 높은 위치에서 팀의 공격 전개와 득점을 동시에 노리는 [[폴스 나인]] 유형의 [[중앙 공격수]]로 포지션의 저변을 넓히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공격형 미드필더로 배치돼도 [[세컨드 스트라이커]]처럼 적극적인 침투로 득점 또한 노리는 유형, 높은 위치에서의 압박과 수비 가담에 적극적인 유형도 예로 들 수 있다. 각기 다르지만, 공격형 미드필더가 수행해야 하는 기존의 역할인 전방 플레이메이킹 뿐만 아니라 변경된 포지션에 맞게 다른 역할들도 시시각각 수행한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전형적인 공격형 미드필더 및 변칙적인 윙어 포지션만 소화할 수 있다는 점은 공격형 미드필더가 포진된 전형적인 포메이션인 [[4-2-3-1]], 다이아몬드 [[4-4-2]], 3-4-1-2에서만 자신의 경기력을 온전히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마저도 피지컬적 열세와 아쉬운 수비력으로 제자리에서조차 100%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은 분명 좋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유럽리그의 경우 공격 포지션을 가진 선수들도 수비 가담을 하는 등 수비력이 중요한 편이다.[* 대표적으로 손흥민은 윙 포워드로서 공격이나 슈팅 등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였지만, 분데스리가 시절이나 토트넘 입단 초창기를 보면 수비력에 문제를 보이면서 상당히 고전한 적이 있다. 현재는 오프더 볼과 더불어 수비 능력까지 향상되면서 토트넘 뿐 아니라 프리미어리그 탑 클래스 선수가 되었다. 이제는 한번 나가면 돌아오지 않거나 공기인형 수준인 토트넘 측면 수비를 종종 커버링하느라 고생하는 단계끼지 온 상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보완하지 못해 FC 샬케 04에서는 수비 미숙, 다양한 포지션 불가 등을 이유로 벤치 자원으로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명단제외를 당하였다. 이후 이적한 2부팀 FC 한자 로스토크에서도 아직 기회를 많이 얻지 못하고 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울산 현대]] (2018~ ) * [[AFC 챔피언스 리그]]: 2020 * [[K리그1]]: 2023 * [[FC 샬케 04]] (2022) * [[2. 분데스리가]]: 2021-22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AFC U-23 챔피언십]]: 2020 === 개인 수상 === *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폭스 스포츠]] 선정 베스트 11 * [[게토레이]] G MOMENT AWARD - 2020년 7월[* 200725 K리그1 13라운드 [[상주 상무|상주]]전 득점으로 수상]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vod/index?id=689297&category=kleague&gameId=20200725230173&date=20200725&listType=game|#]] * [[K리그/이달의 선수상|K리그 이달의 선수상]] - 2021년 10월 == 논란 == [youtube(MFHk0CGmBp0)] 2021년 7월 22일 [[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B조#s-3.1|뉴질랜드와 치러진 조별 1차전]]에서 패배한 후 뉴질랜드 선수 [[크리스 우드]]의 악수를 거절하는 상황 때문에 논란이 일었다. 원칙적으로 도쿄 올림픽에서 [[코로나19]] 우려를 이유로 악수 등의 선수 간 접촉은 금지되었다. 하지만 이동경은 자신을 향해 온 뉴질랜드 골키퍼를 물러낸 직후 우드가 악수를 청하는 걸 본체만체 하다가 왼손으로 우드의 오른손을 툭 치며 지나갔다. {{{-1 [[https://youtu.be/FaXeCmRo16s|영상(SBS)]]}}} 이후 우드는 이동경의 거절에 머쓱했는지 어색한 미소를 보이다가 [[정태욱]], [[송범근]] 등과 악수를 나눴다. 설령 몸도 마음도 지쳤더라도 악수를 제안한 상대가 무안하지 않게끔 눈이라도 마주치는 최소한의 배려 정도는 할 수 있는 게 아니냐는 측면 때문에 '매너에서도 졌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나마도 완전히 접촉을 피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방역지침 준수를 위한 행동이라고 보기에는 갸우뚱한 측면이 있다. 한편 이동경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은 경기 직후 뉴질랜드 선수들, 스태프들과 악수를 나누며 인사를 했다. 다음날 보도에 따르면, 이동경은 경기 직후 필드를 빠져나오다 뉴질랜드 감독 데니 헤이와 주먹 하이파이브를 나눴다고 한다. {{{-1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17&aid=0003519158|기사(마이데일리)]]}}} [[대한축구협회]]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상대 선수와의 접촉을 자제하라고 교육했으며, 그걸 잘 따른 이동경의 태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1 [[http://naver.me/F8KOgkCn|기사(서울신문)]]}}} 하지만 상대팀 선수가 아닌 상대팀 스태프만 접촉한다고 해서 사람 가려가며 코로나19에 안 걸린다는 보장은 없는 거고 실제로 뉴질랜드 감독과 접촉한 것 때문에, 애초에 간간이 흘러나오던 방역지침 준수라는 옹호 목소리가 무색해져 버렸다. 더구나 축구협회의 해명은 악수를 나누며 상호 접촉한 다른 선수들이 모두 방역지침을 무시한 셈이 되어버린다는 점에서 궁색한 변명일 수밖에 없다. 이동경 하나 지키겠다고 다른 선수들을 모두 이런 식으로 만든 축구협회의 해명은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안 하느니만 못한 것이 되어버렸다.]] 또한 올림픽에 참가한 대부분 선수들은 개인 자격으로 대회에 참가한 게 아니라[* 간혹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는 경우가 있다. 가령 몇몇 대표 선수들이 [[도핑]]하여 메달을 따냈다가 걸린 [[러시아]]의 경우에는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이라는 이름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적이 있으며, [[2020 도쿄 올림픽]]에서도 같은 명의로 출전했다. 물론 특수한 사정이 없었다면 '국가대표'로서 출전했을 것이었기 때문에, 그에 걸맞는 처신이 요구되는 건 크게 다르지 않다.] 어디까지나 [[국가대표|국가를 대표하는 선수]]로서 참가한 것이기 때문에, 사소한 언행 하나하나가 국격과 직결되므로 그에 걸맞는 처신이 요구된다는 걸 망각해서는 안 된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일부 몰상식한 네티즌들이 이동경의 [[인스타그램]] 내 게시물에 테러를 하며 분노 섞인 비난의 댓글을 달기도 했다.[* 다만 해당 계정은 이동경이 더 이상 이용하는 계정이 아니라 사실상 벽에 대고 욕을 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개중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과격한 표현을 사용한 댓글이 발견되면서 역으로 무례한 행동을 범하기도 했다. 애초에 선수 개인의 SNS에 악성 댓글을 남기는 건 '''그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 >이렇게까지 문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보다 이성적으로 대응했어야 했다. 내 입장에서는, 팀이 졌는데 웃으면서 거절할 수도 없었다. 사실 너무 실망스러워서 아무 생각도 들지 않았다. >---- > [[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5497839|이동경의 공식 입장{{{-2 (2021년 7월 23일 16:29 공개)}}}]][* [[대한축구협회]]를 통해서 전해진 입장이다.] 다음날 오후에 이동경은 [[대한축구협회]]를 통해 '경기에 대한 실망감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대한축구협회도 '실망감이 커서 다소 무례하게 행동이 나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면서 다소 바뀐 입장을 드러냈다.[* 무례라는 표현까지 쓸 정도면 어느 정도 사태의 심각성을 축구협회도 인지한 걸로 보인다.] 이동경에 대해 좋지 않았던 넷상 여론은 멕시코와의 8강전에서 대표팀이 죽을 쑤는 가운데 홀로 2골을 기록하는 분투를 보이며 어느 정도 불식되었다. 동년 9월 19일 이동경은 이 사건과 관련해 [[뉴스1]]과의 [[https://www.news1.kr/articles/?4439118|인터뷰]]를 통해서 이후 반성과 성장에 대한 속마음을 밝혔다. == 병역 문제 == 이동경은 2022년 기준으로 현재 만 24세로 [[김천 상무 FC]]에 입대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만 27세에 해당하는 2024년 여름 이적 시장에 국내로 복귀해야 한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당시에는 명단에 뽑히지 못했고,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주전 공격형 미드필더로 나서서 팀의 에이스로 맹활약하며 고군분투하였지만 요코하마에서 대한민국이 멕시코에 6대3으로 대패하며 8강에서 탈락해 결국 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물론 본인 입장에서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혹은 [[2024 파리 올림픽]] 와일드카드를 노리며 유럽 커리어를 계속 이어가는 방법도 있으나 각각 탄탄한 2선 연령대 멤버[*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 [[송민규]], [[엄원상]]''', [[정상빈]], [[엄지성]], '''[[이강인]]''', [[양현준]], [[강성진(2003)|강성진]], '''[[고영준]]''' 등 현역 A대표팀 소속의 U-23 멤버들이 모두 모여 있다. 볼드체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다.]와, [[2024 파리 올림픽|올림픽]] 기간이 K리그 여름 이적시장 종료 후 열린다는 변수가 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으로 1년 연기된 상황이고, 2023년에도 확산된다면 최악의 경우에는 대회 취소도 가능한 상황이었다.] 같은 시기에 독일로 진출한 동갑내기 [[이동준(1997)|이동준]][* 이동준은 2월생으로 빠른 생일을 적용하여 이동경보다 학번이 1년 빠르다. 하지만 이동준이 이동경 및 [[원두재]]와 함께 [[이스타TV]]에 출연한 적 있는데, 이동준은 빠른 생일임에도 같은 1997년생인 이동경과 원두재와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는 것으로 볼 때 1997년생과 친구로 지내는 듯하다.]은 부상으로 [[헤르타 BSC]]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자 [[김천 상무 FC]] 입대를 위하여 국내 복귀를 선택하였다. 이동경도 국내 복귀 의사가 있었지만, 소속팀 감독인 파트리크 글뢰크너가 자신의 구상에 있음을 이유로 국내 복귀를 막았다고 한다. --현재로서는 이번 시즌을 마치고 여름 이적시장에서 국내 복귀를 추진해볼 수는 있겠지만 그때에도 감독이 가용 자원이라는 이유를 들어 국내 이적을 반대한다면 최악의 경우에는 상무 입대 시기를 놓쳐버릴 수도 있다--. 이동경은 임대 신분이라 울산에서 임대 연장을 하거나 다른 팀으로 보내주는 것이 아니라면 돌아올 수밖에 없다. 2023년 여름에 [[울산 현대]]로 복귀한 이동경은 [[박진섭(1995)|박진섭]], 동갑내기 [[백승호]], [[2020 도쿄 올림픽|올림픽]] 동기 겸 [[울산 현대]] 동료인 [[설영우]]에게 밀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와일드카드(스포츠)|와일드카드]]로 선발되지 못했다. 따라서 2024년에 무조건 상무에 지원해서 합격하는 것만이 축구선수 커리어를 이어 가면서 병역을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루트가 되었다. == 여담 == * 롤모델은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레전드인 [[알렉산드르 흘렙]] 선수라고 한다. 흘렙 선수가 하는 플레이의 거의 전부를 보고 따라 연습했다고 한다. * '''울산의 준우승을 5번씩이나 경험한 적이 있다.''' 2013년 12월 1일 [[동해안 더비]] 최종전에서 [[볼보이]]를 맡았다고 한다. 그 참극을 보고 나서는 프로 선수가 되고 꼭 이겨야겠다고 생각했다고. 그러나 정확히 6년 후 복수할 기회가 생겼을 때에는 경기 당일 [[김도훈]] 감독이 엔트리에서 갑자기 빼 버리는 바람에 본인의 출전도 무산되고 팀의 트라우마도 더 큰 트라우마로 남게 되었다. 다음 해에는 비록 팀이 리그 우승에 실패했으나 이동경 본인은 울산의 2020시즌 리그 마지막 골을 넣는 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울산이 결국 FA컵에서도 전북에게 패해 더블 준우승을 달성했는데, 이때 너무나도 서럽게 오열하는 모습이 팬들 마음을 안타깝게 했다. 그리고 홍명보 2년차에 울산은 드디어 꿈에 그리던 우승을 해내고 말았으나, 본인은 독일 임대로 인해 그 기쁨을 나누지 못했다(...). 그리고 2023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임대 복귀하며 드디어 첫 리그 우승을 경험하게 되었다. * 2019 K리그 1 34라운드 [[대구 FC]] 원정에서 선수 입장 직전 상대 팀의 친구 [[정태욱]]으로부터 뽀뽀를 받고 진심으로 어이없어 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대구 FC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정태욱의 [[https://www.youtube.com/watch?v=ESh0lODtymc&t=3m57s|댓터뷰]]에 따르면 '동경이가 워낙 귀엽게 생겨서', '카메라가 있었는지 몰라서' 그랬다고... 평소에도 다른 사람들보다 이동경에게 더 스킨십을 건다고 한다.] [[https://theqoo.net/square/1234776035|#]] * [[아스날 FC]]의 서포터즈이며 언젠가는 꼭 아스날에서 뛰어보고 싶다고 전했다. * [[축빠]]들 사이에서는 '도쿄리'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이름 동경이 일본의 수도 [[도쿄]]의 한자 독음 '동경(東京)'과 같은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지만, 이동경 본인은 서울 경(京)이 아닌 빛날 경(炅)을 쓴다. 그리고 2020 U-23 챔피언십에서 대표팀의 도쿄 올림픽 본선 진출을 견인한 주역이 되면서 이름값을 했다.[* 본래 인스타그램 아이디도 도쿄였으나 [[한일 무역 분쟁]]으로 인한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여파 이후 영문명의 약자인 dk15_official로 변경했다. 샬케 공식 SNS에서 이동경을 영입하여 한글로 '도쿄리 이동경 선수 샬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라고 하면서 도쿄리로 언급한 건 덤.] * 울산 시절 강릉으로 전지 훈련을 갔을 때 운전 면허 시험을 봤는데, 시험장에 친구들을[* [[정태욱]], [[이상민(1998)|이상민]], [[원두재]], [[한찬희]]] 모조리 다 데리고 갔다고 한다. * 프로 초기에는 코어가 약점이었지만 많은 훈련과 웨이트를 통해 개선이 되었다. * 처음 울산 현대 시기 동료였던 [[원두재]]와 아빠와 아들 케미를 선보였다. 이동경이 아빠, 원두재가 아들에 해당한다. [[https://youtu.be/1Itds1h00Bo|영상 1]] [[https://youtu.be/iW_ZFpKsY3U|영상 2]] * 대표팀에 처음 발탁 받았을 때 주장 [[손흥민]]과 자주 연락하려고 전화번호를 교환했다고 한다. 다만, 본인 입장에서는 매우 기뻐했지만 언론에서 자꾸 물어봐서 조심스러워 하는 듯 보인다. * [[크러쉬]]와 외모가 닮았다. [[인천 유나이티드]]의 [[김도혁]]과도 많이 닮았다. * [[2022년]] [[6월 14일]]에 개인 블로그를 통해 결혼 소식을 발표하면서 정식으로 유부남이 되었다. [[https://blog.naver.com/edk3002/222774764445|#]] 참고로 결혼 소식을 알린 날은 [[벤투호]]가 이집트전을 치른 날로, 결과는 4대1로 크게 이겼다. * [[WAGs|아내의 미모로 인해]] '지상 최악의 축구선수' 라는 별명을 얻었다. * [[프랑스 요리]]를 가장 좋아한다고 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부야베스]]를 좋아한다고 밝혔다. * [[분데스리가]]에 진출한 뒤로 꾸준히 [[독일어]]를 배우고 있는데 난이도가 무척 높아 고생한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울산 현대)] [include(틀: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분류:1997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평창 이씨]][[분류:현대고등학교(울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윙어]][[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울산 현대/현역]][[분류:FC 안양/은퇴, 이적]][[분류:FC 샬케 04/은퇴, 이적]][[분류:FC 한자 로스토크/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