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가]][[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 ||<-2>
'''{{{+1 이동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동준(음악가).jpg|width=100%]]}}} || || '''출생''' ||[[1967년]] [[2월 5일]] ([age(1967-02-05)]세) [br] [[부산광역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대한민국]] || || '''직업''' ||[[음악가]] || ||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졸업]])^^ || ||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이동준_(작곡가)|[[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영화]] 음악계에서 거장으로 손꼽히는 인물'''이자 충무로 영화 음악가 1세대이다. 헐리우드 스타일의 오케스트레이션과 한국적인 정서를 결합하여, 그간 수준이 미미했던 한국 [[오리지널 스코어|스코어 음악]]의 퀄리티를 높이는 데에 큰 기여를 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대표작은 [[태극기 휘날리며]], [[쉬리]], [[7번방의 선물]] 등. == 상세 == [[영화 음악]] 데뷔는 대학 재학 시절이던 1989년 [[인신매매]]를 다룬 영화 <매매꾼>. 하지만 영화 자체는 흥행이나 평은 묻혀졌으며 [[아르바이트]] 하듯이 맡았던 음악이라서 이동준은 그다지 언급을 하지 않는다. 1990년 서울예술대학 실용음악과를 졸업하자마자 1991년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을 수상하면서(수상작은 황조가) 이름을 알렸다. 그 뒤 군 복무를 마치고 1994년 영화 계약커플, [[구미호]] 음악을 맡았고 결혼 이야기 2,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소설)|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1995)로 꾸준히 영화 음악을 작곡했지만 죄다 흥행 및 평에서 참혹하게 실패를 거두며 음악도 덩달아 묻혀졌다. 그래서 [[영화 음악]]을 보류하고 다른 분야로 음악을 맡으며 연극 및 단편 영화 음악을 맡았다가 그의 출세작이 되는 [[은행나무 침대]]를 맡으면서 영화 음악가로서 이름을 날리게 된다. 사실 [[강제규]] 감독은 원래 미국 영화 음악가에게 맡기려 했는데, 어느 날 스태프들이 식사를 하던 중 이동준이 시험 삼아 작곡한 음악을 듣고는 매료 되어 감독에게 들려줬다. 그리고 충격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 영화 [[사운드트랙]] 속지에 나온 강제규 감독의 글을 봐도 '''이동준의 음악을 듣자 '그래 바로 이 사람이다'''' 라며 숨이 막혔을 정도로 딱 맞았다고 한다. 그리고 즉석에서 계약을 검토하던 미국 아무개 영화 음악가에게 사과글이 담긴 팩스를 보냈고 그 다음은 이동준을 찾아가 계약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영화 흥행과 평가도 대박이었지만 OST도 20만장이 팔리는 등 상당히 대박을 거두면서 청룡영화제 음악상도 수상했다. 개봉한지 20년이 훨씬 지난 현재에도 많은 이들에게 거론하는 작품이다. [[국악]]과 [[양악 #s-2|양악]]을 접목시켜 영화와 잘 맞아떨어졌다는 평가와 함께 지금 들어도 결코 촌스러움을 찾아볼 수 없을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영화 음악]]으로 손꼽힌다. OST를 낸 [[LG]]미디어[* LG그룹 계열로 음반 제작,게임 발매 같은 일을 하던 부서인데 IMF 이후인 1999년에 부서를 정리하며 사라졌다. 비슷한 시기에 [[삼성그룹]]도 같이 영화 및 게임 발매 부서를 정리했다.]가 사업이 정리 되면서 지금은 몇 십 만원의 거금으로도 구입 하기 힘들정도로 희귀 음반이 되었다. 그 후, [[초록물고기]]로 대종상과 청룡영화제 음악상을 수상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 음악상을 훱쓸었으며 그가 작곡한 [[영화 음악]]의 [[영화]] 목록은 '''지상만가, [[유령(1999)|유령]], [[퇴마록(영화)|퇴마록]], [[태극기 휘날리며]], [[가족(영화)|가족]], [[지구를 지켜라!]], [[쉬리(영화)|쉬리]], [[7번방의 선물]], [[포화 속으로]], [[아이 캔 스피크]]''' 영화가 있다. 그 외에도 [[미망(드라마)|미망]],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를 비롯한 [[드라마]] 음악 작곡도 담당 했다. 이동준이 활동 하기 전 [[한국 영화]]계에서 그나마 이름 값을 했던 영화 음악가가 가수 [[김수철(가수)|김수철]]이었는데, [[김수철(가수)|김수철]]이 그간 선보인 [[영화 음악]]은 국악이 중심인 스코어 이였다면, 이동준은 순수 영화 음악가로 이름을 알렸고 국악과 양악을 고루 활용하여 선보이고 있다. [[은행나무 침대]] 스코어 외에도 [[퇴마록]]의 경우에는 영화보다 OST가 더 인기를 얻은 사례. 사상 최초로 PART 1.2로 나뉘어 발매 되었고, 지금도 [[영화 음악]] 수집가들 사이에서는 명반으로 통하고 있다. [[아시아 축구 연맹]] 공식 주제가를 작곡을 했고, [[2015년]]부터 AFC 주관 경기의 선수 입장 곡으로 활용 되고 있다. == 기타 == * 그의 조카로 [[자동(인터넷 방송인)]]이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동준, version=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