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사일]][[분류:군사기술]][[분류:군 장비]][[분류:군용차량]] {{{+1 '''TEL(Transporter Erector Launcher)'''}}}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cud-launcher-scotland1.jpg|width=100%]]}}} || || 스커드 미사일의 TEL 차량 || [[미사일]]의 생존성 향상을 목적으로 발사진지를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운반차량과 발사장치를 하나의 차량에 결합한 차량 혹은 발사장비. == 상세 == 유도탄을 발사관 속에 넣어 둔 채로 보관하며, 기동시에는 발사대를 수평상태로 내리고 발사 시에는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발사대로서 전후좌우 어느 방향의 표적과도 신속하게 교전할 수 있는 이동식 조립 발사장비이다. 1948년 소련이 [[T-34-85]] 전차의 차체를 개조해 10X 순항미사일[* [[V1 로켓|V1 순항미사일]]의 소련 복제형]의 발사대를 결합한 '''"오비옉트 N"'''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대형 트럭 또는 궤도형 장갑차/전차 차대를 개조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북한에서는 '자행발사대'라고 한다. [[:파일:KN-08 명칭 확인.jpg]]을 참조할 것. 이 외에 2022년 11월 27일에는 '《화성포-17》형발사대차 제321호'라고 하여 '발사대차'라고 부르는 것도 식별되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 17형 시험발사 1.jpg|width=100%]]}}} || || TEL에서 발사되는 화성-17 || 한편, 역사상 TEL로 쏘아올린 가장 큰 미사일(정확히는 액체연료 사용 추진체)은 북한의 [[화성-17]]이다. ([[https://twitter.com/nktpnd/status/1507106291646406660|#]]) 다만 위 사진 속 화성-17은 한미측에 따르면 실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공개되지 않은 1차와 2차 발사는 성공적으로 발사 되었기 때문에 평가절하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3차 발사도 TEL에서 발사하는 것은 성공적이었고 고각발사로 인한 부담으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한편 바퀴가 여러 개 달린 TEL을 두고 12×12, 16×16등으로 부르는 표현은 [[사륜구동]]의 '4×4'와 마찬가지로 축 12개, 16개가 모두 회전가능하고 모든 바퀴에 동력이 있다는 의미이다. 안킷 판다에 따르면 북한의 대형 TEL은 이런 세심한 조향기능까지는 검증되지 않았으며, 정확히는 12×16 등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냥 '8축 16륜'이라고 하면 문제의 소지가 적을 것이다. === 엄밀한 의미 구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asset.dr.dk/missil_rejst.jpg|width=100%]]}}} || || TEL이 아닌 'TE'에서 발사되는 화성-14 || 영문 의미를 분석해보면 'Transporter+Erector+Launcher'이다. 즉 미사일을 이동시키고, 기립시킨다음, 발사까지 마쳐야 한다. [[화성-12]]의 4, 5차 발사나 [[화성-14]]의 1, 2차 발사와 같이 차량이 미사일을 기립시키고 현장을 떠나는 형태로 발사하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TE(Transporter Erector)'''이지, TEL이 아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더 큰 TEL에서 미사일 발사도 보여주었으므로 엄밀히 따지면 저렇다는 것이지 언론이나 군사전문가들도 TEL이라고 부른다. 어쨌든 북한의 목표는 온전한 TEL일 것이니 틀린 것도 아니다. TEL에 [[레이더]]가 연동되는 차량을 TELAR(Transporter Erector Launcher And Radar)라고 하며, 여기에 기립 기능이 없을 경우 TLAR(Transporter Launcher And Radar)이라고 한다. TLAR를 기용하는 대표적인 경우는 [[9K330 토르]]가 있다. 발사 전 기립이 아닌 [[VLS]]로 애초부터 미사일이 세워져 있는 특이한 케이스. === 미사일 기립 각도의 차이 === 미사일의 발사 목표나 특징에 따라 기립시키는 각도가 다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71bce7dc8381.jpg|width=100%]]}}} || || 30도 정도로 비스듬히 세운 파테-313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살-2 1차 시험발사.jpg|width=100%]]}}} || || 45도 정도로 비스듬히 세운 북한 [[화살-2]]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S-350E_Vityaz_-_MAKS2013part4-14.jpg|width=100%]]}}} || || 90도 정도로 완전히 세운 S-350 || [[대공 미사일]]의 경우 [[VLS]]와 유사하게 수직으로 기립시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한다. 발사 후폭풍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상형 대공미사일인 [[패트리어트 미사일]], [[S-200]]은 수직발사를 적용한 [[S-300]], [[S-400]]보다 확보되어야 하는 발사구역의 면적이 좀 더 커서 전개 시간이 더 길고, 발사 구역 선정면에서 조금 더 제약이 있다. 그리고 경사형 발사대는 표적 방향으로 발사대를 틀어줘야해서 즉응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VLS, version=133)] == 유명한 TEL 차량들 == * [[MAZ|MZKT]]-7930 * [[MAZ-7310|MAZ-543]][* [[스커드]] ] * [[MAZ-7310|MAZ-547]][* SS-20 파이오니어, [[화성-12]]] * [[MAZ-7310]] * [[MAZ|MZKT]]-79221[* [[토폴-M]], RS-24 야르스 ] * [[MAZ]]-7917[* SS-25 토폴] * [[M977 HEMTT#s-3.3|M983]][* [[MGM-31 퍼싱]]. 재미있게도 퍼싱이 전부 퇴역한 현재 미군은 역으로 이런 공격용 미사일들을 방어하는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트랙터로 쓰는 중이다.] == TEL을 사용하는 발사체 == === TEL을 사용하는 [[미사일]] === 사일로 발사 미사일이나 VLS를 이용하는 함대공 미사일,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SLBM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지상발사 미사일은 TEL을 쓸 수 밖에 없다. * [[9K720 이스칸다르]] * [[스커드]] * [[토폴-M]] * [[MGM-31 퍼싱]] * [[MGM-52 랜스]] * [[현무 미사일]] * [[화성 미사일]]: 공개된 화성 미사일의 모두가 TEL을 사용한다. * [[북극성-2]] * [[Kh-35]]/[[금성-3]]/[[R-360 넵튠]] === TEL을 사용하는 위성 발사체 === *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 통상적인 우주 발사체가 고정식 [[발사대]]를 사용하는 것과 대비된다. 실상은 북한이 미사일과 미사일 TEL을 개조해서 정찰 위성 발사에 동원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 관련 문서 == * [[이동형 미사일 발사차량/대한민국 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