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include(틀: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목차] == 실존 인물 및 단체 == {{{+1 '''<주의사항>'''}}} * '''실제로 헷갈릴 수 있는 것만 써야 하며 상식적으로 헷갈릴 수도 없는 말 같지도 않고 유치한 말장난은 절대로 쓰지 말 것''' '[[솔로몬]]은 [[솔로]]가 아니었다', '[[노숙(삼국지)|노숙]]은 [[노숙자]]가 아니었다' 등. * '''왕자의 칭호는 단어가 행적이나 성품과 비교할 수 있을 경우에 한정할 것''' [[왕자]]들의 칭호는 지명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은데, 봉건제 시절에는 통치하는 행정구역이나 고향과 관련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중앙집권제로 전환된 이후로도 이 관습이 남아 왕자의 칭호가 통치구역이나 고향과 관련없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 '''지명과 이름의 발음이 같은 사례도 절대 쓰지 말 것''' '[[SUPER JUNIOR]]의 [[동해(SUPER JUNIOR)|동해]]는 [[동해시]] 출신이 아니다', '[[안산(양궁)|안산]]은 [[안산시]] 출신이 아니다', '[[치바 에리이]]는 [[치바현]] 출신이 아니다', '[[사나(TWICE)|사나]]는 [[예멘]] [[사나(예멘)|사나]] 출신이 아니다', '[[버락 오바마]]는 [[오바마시]] 출신이 아니다', '[[박인천]]은 [[인천광역시]] 출신이 아니다' 등. * '''국명과 이름이 같은 사례도 쓰지 말 것'''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는 [[라오스]] 출신이 아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리히텐슈타인]] 출신이 아니다', '[[비오사 오스마니]]는 [[오스만 제국]] 출신이 아니다' 등. * '''위인의 이름을 가져온 단체나 기업 등은 쓰지 말 것''' '[[에이브러햄 링컨]]은 [[링컨(자동차)|링컨]]을 타지 않는다', '[[니콜라 테슬라]]는 [[테슬라]]를 타지 않는다', '[[알프레드 노벨]]은 [[노벨상]]을 받지 않는다', 등. * '''정당은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정치]] 문서에 서술할 것''' * '''이름을 통해 단체나 인명을 __비하하는 예시는 작성하지 말 것__''' * '''혼동의 여지가 없는 사례는 [[별난 이름]] 문서에 작성할 것''' === 개인 === * [[가세로]] 민선 7, 8기 충남 태안군수는 유튜버 [[가로세로연구소]]와 전혀 관계가 없다. * [[가충]] - 가충의 이름과 그의 자는 [[충려지경|집 안에 손님이 가득 차는 경사]]지만 정작 본인은 반대로 되었다. * [[감녕]]의 이름(甘寧) 뜻은 '달콤하고 편안하다'는 뜻이지만, 실제로 그는 수적 출신인데다 [[능통|주요 동료 중 하나]]와 철천지 원수지간으로 지내는 등[* 둘이 화해했다는 것은 연의의 창작이다.] 굴곡진 삶을 살았다. 뭣보다 [[삼국지|시기]]가 시기였기도 하다. * [[강백호(야구선수)|야구선수 강백호]]의 이름은 [[강백호(슬램덩크)|슬램덩크 강백호]]를 보고 지어진 것이 아니다. 아버지가 직접 지어주신 이름이라고 한다. 농구도 잘하지 않는다고.[* 반면 [[백호(가수)|가수 백호]]는 슬램덩크 강백호에서 따온 예명이 맞다. 소속사 선배였던 [[유이(배우)|유이]]가 그와 강백호가 닮았다며 지어준 예명이라고 한다.] * 낚시를 잘하는 사람들을 두고 [[강태공]]이라 한다지만, 강태공은 낚시를 실제로는 잘하는 편이 아니었다고 한다. 쪽지가 나온 월척들을 잡기 직전까지는 하도 고기가 안 잡혀서 그만두고 일어나려던 것을 누군가가 좀 더 있어보라고 해서 더 기다리다가 월척들을 낚게 된 것. * [[개구릿대(유튜버)|유튜버 개구릿대]]의 채널명은 그가 자칭할 때 개구릿대가 아닌 자신의 주요 아이디인 산림청'''개구리'''로 해서 이에서 채널명이 유래됐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동명의 식물에서 유래했다. * [[배틀그라운드]]를 주력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인 [[걸뽀_]]의 닉네임 뜻은 [[걸어다니는 보너스]]다. 실제론 굉장히 뛰어난 실력을 자랑한다. * 명나라 황제인 [[만력제]]의 별명이었던 [[고려천자]](高麗天子)는 진짜로 [[고려]]의 [[천자]]라서 붙여진 게 아니라 비꼬는 의미로 만든 것이다. * [[고봉민김밥人]] 브랜드의 대표의 이름은 고봉민이 아니다. [* 고봉민은 대표의 '''부인''' 이름으로, 이 브랜드에서 감사직을 하고 있다. 본인도 어릴 적 이름으로 놀림을 많이 받았다고 하며, 지금은 중년 이상의 남성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다.] * [[고준 황후]]의 시호의 뜻은 '향기롭고(香) 순박하다(淳)'는 뜻이며 본명인 나가코(良子)도 '어진 아이'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미치코 상황후|큰며느리]]에게 매우 고된 시집살이를 시킨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 [[공승연]]은 공씨가 아닌 유(兪)씨다. 이 예명 때문에 그녀의 막내동생 [[정연]]도 공씨로 오해받았다. * [[교린대 병원 나무 젓가락 사망 사건]]의 당사자 어린이 스기노 슌조(衫野 隼'''三''')는 3남이 아닌 차남이었다. [[http://blog.livedoor.jp/mory00/archives/51361482.html|#]] * [[프라임킹즈]] 소속 댄서 교영주니어의 본명은 교영이 아니다. 아버지의 성함에서 따왔으며, 아버지를 존경하는 뜻에서 이름을 지었다. * [[한국계 미국인]] 유명인 [[권율(동명이인)#s-2|권율]]은 [[권율]] 장군을 보고 지어진 이름이 아니다. 혼혈 배우 [[율 브리너]]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본인도 이런 질문을 아주 많이 받았다고 한다. * [[극단레코드]]는 팀이나 단체에 자주 붙이는 이름인 극단과 레코드가 들어갔으나, 작곡 팀이 아닌 1인 작곡가의 예명이다. * [[금성무]]는 금(金)씨가 아니다. 본명이 카네시로 타케시(金成 武)인 만큼 金城 씨이지만, 중화권에서도 그의 성씨를 헷갈려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 [[김건희(1995)|1995년생 축구선수 김건희]]는 제20대 대통령 영부인 [[김건희]]와 아무 관련이 없다. 애초에 후자는 개명한 이름이다. 그러나 전자의 당시 소속팀이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후원사 중 하나가 도이치모터스인지라 후자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과 맞물려 드립으로 자주 엮인 탓에 전자가 매우 속상해하기도 했으며, 그가 해외로 이적한 지금에야 비로소 사그라든 상태. * 제2대 국민의힘 당대표 [[김기현]]을 비난하는 별명 중에는 그의 지역구인 [[울산광역시]] 검찰청의 고래고기 반환 관련 의혹에서 유래된 [[고래고기]]가 있으나, 사실 이 사건과 김기현은 관련이 없다. 그의 앙숙인 [[황운하]]도 이 두 사건을 확실하게 구분해서 이야기한다. * [[트위치]] 스트리머 [[김도]]의 본래 성은 이씨이다. * 밴드 [[아소토 유니온]]과 [[윈디시티]]의 보컬 겸 드러머 [[김반장]]은 실제로는 '김'씨가 아닌 '유'씨이다.[* 이름에 대해서는 인터뷰마다 달라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김새해]] - 이름은 새해인데 정작 태어난 시기는 연말이다. * [[김수학#s-3]] - 과거 [[EBSi]] 소속이었으며 이름은 수학이지만 [[국어교사]]이다. * [[김소월]]은 여성이 아닌 남성 시인이다.[* 보통 월(月) 자가 끝에 오는 이름들은 여성 이름인 경우가 많다.] 본명은 김정식. * 배우 [[김혜자]]는 자신의 이름을 딴 [[김혜자 도시락]] 등으로 맛도 좋고 양도 많아 가성비가 좋은 음식을 정성껏 해 주시는 어머니의 이미지가 굳어져 인터넷 유행어까지 됐지만, 실제로는 배우 일에 너무 열중하느라 음식 솜씨가 뛰어나지는 않다고 한다. 그래도 식품 관련 사업을 하는 아들이 해당 도시락의 품질관리에 관여했다. * [[나몰라패밀리]]는 2022년 기준 [[김경욱(코미디언)|김경욱]] 1인체제이다. * [[나지완]]의 별명 [[나비]]는 원래 곤충 나비와 관련이 없었다. '나지완 비만'의 줄임말로 그를 욕하는 별명이었는데[* 그의 소속팀인 [[기아 타이거즈]] 2군의 훈련지가 나비축제로 유명한 [[함평군]]인 것도 있다.] 본인이 이 별명을 좋아해 나비 스티커를 헬멧에 잔뜩 붙이고 나오는 등 하며 의미가 좋게 변형된 것. * 유튜버 [[냥이아빠]]는 고양이가 아니라 고슴도치랑 미어캣을 기른다. 예전에는 햄스터도 있었으나 해씨별로 떠났다. * [[니노미야 카즈나리]]의 이름을 지어주신 그의 할아버지는 실제로는 그를 '카즈히코'라고 부르셨다고 한다.[* 이 이름은 DQN 네임은 아니다. 이름자 '和也'의 '也'를 '나리'로도 읽을 수 있기 때문. 그리고 일본의 국민 아이돌이 된 지금도 간혹 그와 초면인 이들에게 카즈'''야'''로 혼동되어 불리기도 한다고. 그도 그럴 게 그와 이름자를 공유하면서 '카즈야'로 읽는 [[카메나시 카즈야|후배]]가 [[오오하시 카즈야|둘]]이나 있다.] * [[니콜 셰르징거]]에게는 독일계 혈통이 없다. 어머니가 독일계 미국인과 재혼하면서 새아버지의 성씨로 개성(改姓)한 것이다. * [[닛몰캐쉬]]는 경제 분야와는 아무 관련이 없고 틱톡커다. * [[다비드 실바]]의 별명은 중국인이란 뜻의 엘 치노(El Chino)인데, 실제로는 중국이 아닌 일본 혼혈이다. * [[다테 마사무네]]는 외눈이었던 것 때문에 [[독안룡]]이라 불리며 호전적인 맹장 이미지가 강하지만, 사실 그는 군사적 재능이 별로 없었다. [* 게다가 외눈이었던 것을 본인은 아주 싫어해 초상화도 두 눈을 모두 멀쩡하게 그리도록 주문했다고 한다.][* 비슷한 예로 바로 [[하후돈]]이 있다.] * [[대도서관(방송인)|대도서관]] - 이름은 책과 관련된 콘텐츠로 방송 할 것 같은 유튜버이지만 실제는 책이 아니라 게임을 방송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이다. * [[데날리]]의 옛날 이름인 매킨리 산은 [[윌리엄 매킨리]]의 이름을 붙였는데 옛날에 매킨리 산이라고 불렸던 데날리는 높이가 6118m로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높은 산인데 반해 정작 윌리엄 매킨리는 키가 170cm로 [[존 애덤스]]와 함께 미국에서 가장 작은 대통령 공동 3위다. * 비건 채식이 주 분야였던 전직 네이버 블로거 '도로시엄마'는 미혼이었다. 도로시는 그녀가 키우던 강아지의 이름으로[* 당연하지만 실제로 이 이름의 딸을 두고 있는 뮤지컬배우 [[홍지민]]과는 다른 인물이다. 다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 중에 실제 본인의 미혼·기혼여부에 관계없이 'OO엄마', 'OO아빠'의 별명이 있는데 여기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본인 역시 출간했던 책에 이를 언급했다. * [[뒤태미인 이블린 Evelyn]]의 룩북 영상은 [[뒤태]]보다는 앞태를 주로 보여 준다. * [[디바인]] - 드랙퀸 배우로, 예명의 뜻은 '신성한'이지만 정작 디바인은 영화 역사상 추잡한 역은 다 맡아보았다고 정평이 나 있는 배우. * [[디아(가수)|솔로가수 디아(DIA)]]와 걸그룹[[DIA(아이돌)|DIA]], 혼성그룹 [[DIA(혼성그룹)|DIA]]는 아무 관련이 없다. 실제로 중자가 데뷔할 때 전자, 후자와 이름 표기가 겹친다며 논란이 일었다. * [[라나 델 레이]](Lana Del Rey)는 스페인계 미국인이나 히스패닉이 아닌 스코틀랜드계 미국인이다. [* 이름의 뜻도 스페인어로 '왕의 양털'이라는 별난 뜻이며 본인도 아무 의미 없는 예명이라고 밝혔다.] * [[라나(프로레슬러)|프로레슬러 라나]]는 'The Ravishing Russian'이라는 별칭과 달리 [[러시아]]와 아무 관련이 없다. 남편 [[루세프]]도 러시아인이 아니다. 다만 어릴 때 아버지의 선교사 일 때문에 러시아의 이웃 국가 중 하나인 [[라트비아]]에 가서 산 적이 있기 때문에 동유럽식 억양을 내는데 익숙하다. * [[라자 나잉골란]]은 아시아계 혼혈이라며 별명이 [[닌자]]이지만, 그는 [[일본]]이 아닌 [[인도네시아]] 원주민 혼혈이다. * [[러블리즈]]의 [[이수정(가수)|베이비소울]](이수정)은 큰수정(줄여서 큰뚜), [[류수정]]은 작은수정(줄여서 짝뚜)으로 불리는데 이유는 [[이수정(가수)|베이비소울]]이 [[류수정]]보다 생년월일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키는 [[류수정|작은 수정]]이 [[이수정(가수)|큰 수정]]보다 약 12cm 가량 더 크긴 하지만, 형제 중 동생의 키가 형보다 크고 작음과는 상관없이 형을 '큰 애', 동생을 '작은 애'로 부르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봐야 한다. * [[레닌 모레노]] - 소련인도 러시아인도 아닌 에콰도르인이다. 그의 아버지가 생전에 레닌을 너무 존경하여 아들 이름을 레닌으로 하였다. 그래도 모레노의 정치 성향이 좌파이기는 하다. 여담이지만 그가 2017년에 에콰도르 대통령이 되었을 때 딱 러시아 혁명 발발 100주년이라서 러시아 등지에서 SNS 상에서 소련 군가와 함께 블라디미르 레닌을 언급하거나, 러시아 혁명 같은 것을 언급하는 드립들이 줄을 이었다는 후문이 있다.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이 맞긴 하지만 실제 혈통은 [[독일]]계에 가장 가깝다고 한다. 레오나르도라는 이름은 어머니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초상화를 보고 따온 것. * [[로베르토 인글레세]](Inglese=English)는 [[잉글리시 프리미어 리그]]에서 뛴 적이 없다. * 유튜버 [[리뷰엉이]]는 리뷰가 아니라 과학 내용을 올린다. 다만, 초창기에는 영화 리뷰를 하긴 했다. [[인터스텔라]] 이후로 과학 유튜버로 전환한 것. * [[릴리 제임스]]의 실제 성은 제임스가 아닐뿐더러 미들네임 중에도 제임스가 ~~당연히~~ 없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이름에서 따 왔다고. [* 사실 영국 배우 협회에 이미 자신의 본명인 '릴리 톰슨'이란 이름으로 활동하는 동명이인이 있던 것도 있다.] * [[마돈나(가수)|마돈나]]의 이름은 [[성모 마리아]]란 뜻이지만, 실제로는 잦은 선정성 및 신성모독 논란으로 인해 [[카톨릭]]과 충돌하다 다른 종교를 가진 적도 있었다. * [[마르퀴스 튀람]]의 현지 별명 티쿠스(Tikus)는 '작은(ti) 마르쿠스(Marcus)'라는 뜻이지만, 그는 192cm의 장신이다. [* 덧붙여 그의 가족 [[릴리앙 튀람]]('''Lilian''' Thuram)은 남성으로, 그의 아버지다. Lilian은 보통 여성 이름으로 많이 쓰인다. 그나마 퍼스트 네임이 남성적인 뤼디(Ruddy)라서 어느 정도 커버가 된다.] * [[막스웨우]](Maxwell)는 커피 브랜드 [[맥스웰하우스]][* 그래서 국내 한정으로 별명이 커피 관련이었다.]나 물리학자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아닌 이모의 미국인 남자친구의 이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 가수 [[마릴린 맨슨]]은 남성이다. [[마릴린 먼로]]의 아름다움과 [[찰스 맨슨]]의 추악함을 모두 갖고 있는 인간의 양면성을 나타낸다는 의미로 지었다고 한다. * [[망이]], [[망소이]] 형제는 망씨 성이 아니라 그냥 통으로 된 이름이다. * [[머라이어 캐리]]의 아들 모로칸(Morrocan)은 [[모로코]] 혈통도 아니고 모로코와 아무 관련도 없다. 부모가 프로포즈를 한 호텔 방의 이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 [[먼데이 키즈]]는 2010년대 중반부터 그룹이 아닌 솔로 프로젝트가 됐다. * 일본의 여성 성우 [[모리나가 리카]](森永 '''[[이과|理科]]''')는 철학과를 나온 문과생이었다. * [[모리모토 신타로]] - 하술한 스즈키 이치로처럼 장남이 아닌 차남이다. 형은 [[헤이세이점프]]의 옛 멤버였던 모리모토 류타로로 '타로'를 돌림자처럼 쓰는 듯. * 가수 [[모세(가수)|모세]]는 무종교인이다. 이건 본인이 만든 예명이 아니라 개신교 신자인 소속사 사장이 기적을 일으켜보자며 이름을 이렇게 지은 것.[* 대신 팬클럽 이름은 '기적'이다. 합쳐서 '[[모세의 기적]]'] 하지만 예명을 성경 인물에게서 따오는 사례는 보통 실제 기독교 신자인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BE'O]], [[심규선]](2016년까지 세례명 [[루시아]]로 활동.) 등이 있다.] 예명만 보고 기독교 신자라는 오해를 많이 받았으며, 기독교 신자들 중에 '모세'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털어놓았다. * [[무토 토무]]의 이름 뜻은 '10개(十)의 꿈(夢)'이란 뜻이지만, 방송에서 그녀에게 10개의 꿈을 이야기해보라고 했을 때 꿈을 10개까지 이야기하지 못했다. [* 참고로 농담조로 말한 것까지 합해서 겨우 7개 말했다고 한다.] * 미국의 레인(Lane) 가에는 위너(Winner)와 루저(Loser)라는 형제가 있는데, 정작 위너는 전과 30범이 넘는 범죄자로 전락하고 루저는 경찰을 하다가 탐정으로 전직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동료들에게 더 좋은 다른 이름으로 불린 건 덤. [[https://www.chicagotribune.com/news/ct-xpm-2002-07-31-0207310310-story.html|#]] * 래퍼 [[미란이]]의 본명은 '미란'이 아니다. 예명의 유래는 [[명탐정 코난]]의 [[모리 란]]의 한국식 현지화 이름인 '유미란'으로, 유미란 캐릭터를 좋아해서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 * [[민무구]]·[[민무질]]·[[민무휼]]·[[민무회]] 사형제는 이름의 뜻이 재앙이 없음, 질병이 없음, 불쌍함이 없음, 후회가 없음이지만 모두 재앙이 닥치고, [[오랜 지병이었던]] [[외척]]으로 찍히고, 불쌍하게 되고, 처신을 잘못한 걸 후회하게 되었다. * [[밀란 슈크리니아르]]의 소속팀은 [[AC 밀란]]이 아니라 연고지만 같은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였다. [* 팀 공식 영상에서 자신의 이름을 가지고 말장난을 한 적이 있다.][* 한편 그가 인테르와의 재계약을 거부했고 애인이 밀라노를 떠나기 싫어한다고 해서 AC 밀란 이적 가능성도 제기됐던 적도 있지만, 밀란이 아닌 [[파리 생제르맹]]으로 향했다.] * [[TWICE]]의 [[모모(TWICE)|모모]]는 본인의 본명인 '히라이 모모'에서 따온 것으로 미하일 엔데의 소설 '모모'에서 이름을 차용한 그룹 [[모모랜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다만 [[모모랜드를 찾아서]]에 출연을 한 적이 있었는데, 이는 당시 출연중이던 [[데이지(1999)|데이지]]가 과거 [[JYP엔터테인먼트]]에서 연습생을 한 인연 때문.] * 자동차 미생의 미생은 '''미'''국 '''생'''활의 줄임말로,[* 그래서 영문 명칭도 Auto Engineer American Life이다.] 흔히 알려져 있는 [[미생]]과는 관련없다. * [[대한민국 공군]]의 월간지인 <월간공군>에 실렸던, 이름과 관련된 특집을 다뤘던 코너에 소개된 인물로 '''박격포''' 중사가 있다. 아버지가 육군의 박격포를 보고 지은 이름이라고 하는데, 공군에는 [[박격포]][* 이름에 포가 들어가는 공군 병과로는 방공포병이 있으나 방공포병도 발칸 등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포가 아닌 [[미사일]](유도탄)을 운용하는 병과이다.] 자체가 없으며 앞에 서술했다시피 육군은 더더욱 아니다([[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출신) * [[박근혜]]를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녀를 [[닭]]이라고 부르지만 그녀는 닭띠가 아니다. [* 비슷하게 [[이명박]] 역시 [[쥐]]를 닮았다며 이런 류의 별명으로 불리지만 그 역시 쥐띠가 아니다.] * 댄서 [[베이비슬릭]]은 베이비가 아니며, 심지어 소속 크루인 [[울플러]] 내에서도 최연장자이다. * [[손권]]의 후계자 [[손량]]의 생모 [[반숙]]의 이름 뜻은 맑다(淑)는 뜻이지만, 그녀의 성격은 주변 사람들을 매우 함부로 대했다가 원한을 크게 사 교살당했을 정도로 아주 탁했다. * [[반하나]]도 [[오마이걸 반하나]]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전자는 [[리메즈엔터테인먼트]] 소속 솔로고, 후자는 [[WM엔터테인먼트]] 소속 [[오마이걸]]의 유닛 그룹이다. * [[베이브 루스]]는 어린애(babe)라는 별명 뜻과는 달리 거구였고, 전설적인 야구 선수였다. [* 게다가 이것은 그가 신인 시절 감독만 따라다녔던 것을 보고 비꼬는 의미로 붙여진 별명이라고 한다. 상술한 나지완의 나비와 비슷한 예.] * [[다니엘서]]에서 바빌론 왕 중 하나로 나오는 [[벨사자르]]의 이름 뜻은 '벨이여, 왕을 보호하소서'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벨사자르는 왕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 부왕 나보니두스가 원정을 간 동안 태자로서 바벨론을 대신 다스린 것. * [[브루노 브루니 주니어]]는 아버지가 [[이탈리아]]인이라 이탈리아식 이름을 갖고 있지만 [[독일]]인이다. 실제로 그가 한참 활동할 때 이탈리아인으로 오해를 많이 받았다고 한다. * [[브리 라슨]]은 [[스웨덴]]보다는 [[프랑스]]와 관련이 더 많다고 한다. 아버지가 [[프랑스계 미국인]]이라 프랑스어를 할 줄 알기도 하고, 실제 성씨도 디소니어스(Desaulniers)로 프랑스식이다. [* 다만 아버지와는 어릴 때 헤어져 어머니와 더 연대감이 있다고 한다.] 라슨은 증조할머니의 성씨. *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이름(Britney) 뜻은 영국식(of Britain)이란 뜻이지만, 외할머니가 영국인일 뿐 영국과는 밀접한 관련이 없는 삶을 살고 있다. * [[빌라왕]]은 실제로는 바지 사장이었다. * [[Tyga]], 롭 카다시안 등과 사귄 적이 있는 블랙 차이나(Blac Chyna, 본명 안젤라 르네 화이트(Angela Renee '''White'''))는 중국 혼혈인 흑인은 아니다. [* 클럽에서 만난 어떤 남성에게 그의 예명 Black China를 빌려달라고 했고, 나중에 본인이 철자를 변형한 것.] * [[빈첸초 이탈리아노]]는 이탈리아 사람(Italiano)이 맞지만 출생지는 서독이다. * 서진의 황족 [[사마예]] - 장사려(厲)왕으로 봉해졌다. 려(厲)자는 죄없는 사람을 살육한 악인에게 붙는 시법이지만 실제로는 팔왕 중 정상인에 가까웠다. *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 - 사울이라는 뜻은 히브리어로 구함, 요청함이라는 뜻이 있는데 즉위한 후 초창기에는 이름에 걸맞게 야훼를 잘 섬겼지만, 나중에 [[사무엘]]의 명령을 어긴 것을 시작으로 야훼에게 구하지도 요청하지도 않게 되고 야훼에게 버림받고 나서야 뒤늦게 갈구하고 요청했지만, 이미 야훼는 그의 후임자 [[다윗]]을 진작에 지명했고 그는 버림받아 전쟁에서 패하여 자결한다. * [[사채업자|인호네]] - 현재는 '''인호네'''로 이름을 바꿨지만 이름을 바꾸기 전에 '''사채업자'''였는데 이름과는 달리 [[사채|사채업자]]는 아니었고 [[BJ]],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였다. * 일본의 만화가 [[사토 후미야]]는 남성이 아닌 여성으로 본명도 사토 후미'''코'''다. [* 나무위키에서는 한동안 본명이 사토 '''아야코'''로 기재됐다. 文이 '후미'로도 '아야'로도 읽힐 수 있기 때문.] 실제로 일본에서도 여성 만화가치고는 꽤 거친 화풍이라 남성인 줄 알았다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 이탈리아계 스웨덴인 가수 산드로 카바차(Sandro Cavazza)[* [[아비치]]의 'Without You'를 피처링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는 이탈리아식 이름을 갖고 있지만 사실은 스웨덴 혈통이 가장 많다고 한다. 친할아버지가 볼로냐 태생. * [[살찐 고양이]]는 인간 여성 음악인의 예명이며, 그녀의 체구 역시 뚱뚱하지 않고 날씬하다. 자신이 뚱뚱했을 때 누군가가 자신을 보고 살찐 고양이를 닮았다고 해서 예명을 저렇게 지었다고. * [[말론 브란도]]의 딸 [[샤이엔]] 브란도는 [[아메리카 원주민]]이 아닌 [[폴리네시아]] 원주민 혼혈이었다. * [[서태후]]는 서씨가 아니다. 서태후라는 별칭은 처소가 [[자금성]] 서쪽이라 붙여진 것.[* [[효정현황후|동태후]]도 마찬가지.] 실제 이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 [[세종]] [[묘호]]를 받은 [[명나라]] 황제 [[가정제]]는 '''[[조선 세종]]''', [[한무제]], '''[[청세종]]''', '''[[시영|후주 세종]]''' 등의 명군과 다르게 명나라에서 만력제에 버금가는 희대의 암군 중 하나였다. [* 마찬가지로 [[세종(요)|요나라의 세종]] 역시 암군이었다.] * 미국의 두 여성 아이돌 스타 [[셀레나 고메즈|셀레나 마리 고메즈(Selena '''Marie Gomez''')]]와 [[Becky G|레베카 마리 고메즈(Rebecca '''Marie Gomez''')]]는 아무 혈연 관계가 없다. [* 둘 다 [[멕시코계 미국인]] 혈통이 있어 Marie가 ~~의외로~~ 부계 성으로 오인받는 경우가 있는 듯하다.] * [[크리스 [구 소련여자] ]] - 정확한 출생 연도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확실한 건 [[소련]] 해체 이후에 태어났다는 것. 즉 소련 시절은 전혀 겪어본 적이 없다. 그런데도 소련여자[* 현재는 크리스로 채널명을 변경하였다.] 라고 한 이유는 서울 지하철 1호선에서 어르신들에게서 "소련에서 왔냐?"는 질문을 받은 이후로 소련이란 말을 자주 사용하게 되어서라고 한다. 여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에게 “[[헬조선|헬XX]], [[헬조선|헬XX]] 하는 니들은 [[조선]] 사람이냐?”라고 반문한 바 있다.[* 심지어 [[https://www.youtube.com/watch?v=D2owR_F5yrM|DNA 검사]] 당시에는, 스칸디나비아가 40%이며 정작 러시아는 5.5% 나왔다. ~~와중에 한국인은 0.02% 나왔는데,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던 [[https://www.wikitree.co.kr/articles/528568|트러플 감자칩의 트러플 함량]](0.0000007%) 보다 많다며 한국 사람이라고 우기고 있다.~~] * 2대 소련여자 [[크리스 [구 소련여자]#샌즈|샌즈]] - 러시아와 전혀 상관없는 [[인도]] 출신 [[남자]]이다. 그리고 [[언더테일]]의 [[샌즈]]가 아니라 Sanj다. * [[순화군]] - 해당 문서에서 행적을 보면 알겠지만 (왕자의 명칭을 지명에서 따오는 걸 감안하더라도) 윗사람을 잘 따르고(順) 타인과 화목하게(和) 산 적이 없는 사이코패스이다. * 가수 [[스무살]]은 데뷔를 스무살에 하지도 않았으며, 2022년 기준으로도 스무살이 아니다.[* 출생년도는 1987년으로, 데뷔한 2013년에는 27살로 이미 스무살이 넘었다.] 예명의 뜻은 '인생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인 스무살 같은 음악을 추구하겠다는 의미이자, 어른이면서 동시에 소년이기도 한 스무살처럼 다양한 감성의 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스즈키 이치로]]([[일본]] [[야구]]선수) - 일본식 남자아이 작명법으로 첫째는 이치로(一郞) 또는 타로(太郞), 둘째는 지로(二郞, 次郞), 셋째는 사부로(三郞), 넷째는 시로(四郞), 다섯째는 고로(五郞)인데, 실제로는 [[장남]]이 아니라 [[차남]]이다. 한국의 야구 선수 이대호도 원래 이대호의 형 이차호가 '대호'라는 이름을 가지고 이대호가 '차호'라는 이름을 가질 예정이었는데, 마침 이대호 형제의 할머니가 [[출생신고]]를 하러 갔는데 실수로 그만 둘의 이름을 바꾸어서 등록했다는 [[도시전설]]이 있다. * [[스탈린 카스트로]]는 [[이오시프 스탈린]]처럼 [[조지아인]]도 아니며 [[피델 카스트로]]처럼 [[쿠바인]]도 아닌 [[도미니카 공화국]] 사람이다. 물론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탄 이름은 국적 상관없이 쓰이기도 하므로 마냥 특이한 일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성경]]의 인물들을 들 수 있다. 성경 인물들의 주무대는 서아시아이지만 유럽, 아메리카는 물론 동아시아에 있는 한국조차도 성경의 위인으로부터 이름을 따오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그리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경우 Stalin, 스탈린 카스트로의 경우 Starlin이라 철자가 다른 관계로 정말로 이오시프 스탈린으로부터 따온 건지도 알 수 없다. * [[스티브 바우어]]는 독일계 성씨를 쓰지만 전형적인 [[히스패닉]] 외모와 컨셉의 배우다. 외할아버지가 2차대전을 피해 쿠바로 피난했던 독일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바우어는 그 외할아버지의 어머니의 성씨인지라 독일계로서의 정체성이 거의 없는 것은 당연하다. * [[스파르타쿠스]]는 [[스파르타]]인이 아니라 [[트라키아]] 출신 검투사이다. * [[승리(인물)|승리]]는 2019년 [[버닝썬 게이트]]로 인해 몰락하게 되면서 이름과 실제가 다르게 되었다. [* 비슷한 예로 [[황영웅]]이 있다.] * 일본의 아이돌 [[시로이와 루키]]의 이름 뜻은 유리(瑠) 공주(姬)라는 뜻이지만 이 인물은 남성이다. 다만 공주에 대응되는 남성형인 왕자 기믹을 밀고 있기는 하다. * [[EXO]]의 멤버 [[시우민]]과 [[첸(EXO)|첸]]은 본토 중국인도 조선족도 아닌 대한민국 태생의 순수 한국인들이며, 이 예명들은 각자의 본명의 실제 중국어 발음과도 별 관련이 없다. [* EXO는 초창기에 한국에서 활동하는 EXO-K와 중국에서 활동하는 EXO-M으로 나눠져 활동했는데, 이 둘은 후자에서 활동했고 그 때 지은 예명들을 지금까지 쓰고 있는 것이다.] * [[신세계(축구선수)|축구선수 신세계]]는 [[신세계(기업)|신세계]] 브랜드 광고를 찍은 적이 없다. * [[정치깡패]] [[신정식(1928)|신정식]]은 [[별명]]이 [[돼지(동음이의어)#s-5|돼지]]였는데, 뚱뚱하기는 커녕 오히려 [[한민관]]이나 [[이윤석]]과 비슷한 급의 극단적으로 깡마른 [[약골]] 체형이었다. * [[아마쿠사 시로 토키사다]]는 실제로는 아마쿠사 씨가 아니라 마스다(益田) 씨였고, 넷째 아들(四郞)도 아니었다. 누나 2명과 여동생 하나가 있어 순서로 따져도 셋째였다. * [[아메이]]는 [[아미족]]이 아니라 푸유마족이다. * [[아베 신조]](安陪 晋'''三''')는 3남이 아닌 차남이다. * [[아울 시티]]는 도시 이름이 아니라 1인 밴드의 이름이다. * [[안락공주]]는 '편안하고 즐겁다'는 뜻과 달리 매관매직과 수탈을 일삼고, 어머니와 짜고 자신을 총애해 주던 아버지 [[당중종]]까지 독살하여 조정에서도 적을 많이 만들어 [[당륭정변|편안하고 즐겁지 못한 최후]]를 맞았다. [* 그녀의 고모 [[태평공주]]는 태평성대가 아닌, 역시 어머니 [[측천무후]]로부터 시작된 정쟁 속에 살다가 안락공주 모녀를 함께 파멸시킨 [[당현종]]에게 [[선천정변|태평하지 못한 최후]]를 맞았다.] * [[멕시코]]의 가수 알래스카는 미국의 [[알래스카]]주와 전혀 관련이 없다. 예명의 유래도 [[루 리드]]의 Caroline Says 2 중의 가사에서 따 왔다고 한다. * [[알레시오 로마뇰리]]('''Roma'''gnoli)는 어린 시절을 보내기도 했던 [[AS 로마]]가 아닌 지역 라이벌 [[SS 라치오]]의 팬이라고 하며, 2022년 그 꿈을 기어코 이뤘다. * [[알바로 레코바]]의 별명은 중국인이란 뜻의 엘 치노(El Chino)인데, 실제로는 아시아계 혈통이 아니다. * [[압살롬]] - 이름의 뜻이 아버지의 평안이지만, [[다윗|아버지]]가 몽진을 할만큼 불안하도록 모반을 저질렀다. [* 덧붙여 이 인물의 흑화를 유발한 인물인 요나답은 '하나님은 고귀하시다'는 의미의 이름이다. 실상은 압살롬의 이복 형 암논에게 압살롬의 동복 여동생 타마르를 성폭행하도록 사주해 놓고는 암논이 압살롬에게 당하자 자기는 아무 상관 없는 척하는 등 아주 간악했다.] * [[야마모토 이소로쿠]](山本 五十六)는 56번째 자식이라는 뜻이 아니라, 생부가 56세에 낳은 아들이어서 지은 이름이다. 이름에 서열을 나타내는 숫자를 넣는 일본식 작명법을 생각한 미군들도 56번째 자식으로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 [[얀 조머]]의 성씨(Sommer)의 뜻은 독일어로 여름이지만 그는 여름이 아닌 겨울에 태어났다. * [[양병장]] - 계급이 [[병장|병장(兵長)]]이 아닌 [[원사(계급)|원사(元士)]]이다. 현재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해병대주임원사]](27대)에 재직중이며 애초에 [[부사관후보생|민간 부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하였기 때문에 병장(兵長)이었던 적이 없다. * [[양현석]]은 별명이 '양군(YG)'이고, 이 별명을 따서 [[YG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지만, 2019년 6월 14일 [[버닝썬 게이트|불미스러운 사건]]으로 [[YG엔터테인먼트]]에서 물러났다. *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에스마일린 카리대|에스마일린 카리다드]]에서 카리다드(Caridad)는 자선, 자비를 뜻한다고 한다. 하지만 본인은 삼성에게서 자선, 자비, 돈까지 다 빨아먹고 팔 아프다고 집으로 튀었다. 이 정도면 계획적 사기. * [[에이브릴 라빈]]은 4월생이 아닌 9월생이다. 프랑스어로 4월이 Avril. * 성경 [[룻기]]의 발단이 되는 인물 엘리멜렉의 이름 뜻은 '하나님은 왕이시다'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흉년을 이유로 [[모압]] 땅으로 이주했다[* 모압과 암몬 사람들은 야훼의 성막에 영원히 들어오지 못한다는 계시가 있었을 정도로 이스라엘과 적대적인 관계였고, 모압 왕의 간계로 모압 여인들이 들어와 이집트를 나왔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혼란에 빠지기도 했다. 그리고 이스라엘에서 모압으로 가려면 직진이 아니라 갈릴리 바다 쪽을 삥 돌아서 가야 했던 만큼, 영구 이주를 작정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가 그곳에서 객사했다. 그의 부인 나오미의 이름은 '기쁨'이란 뜻이지만, 남편도 모자라 아들들까지 모두 잃은 후 한동안 불행한 시간을 보낸 적이 있다. 본인이 스스로를 나오미 말고 '쓰다'는 뜻의 '마라'라고 부르라고 했을 정도. * 조선 [[선조(조선)|선조]]의 왕자 중 한 명인 [[영창대군]] 군호의 한자 뜻은 '[[永|영원히]] [[昌|창성하다]]' 즉, 장수의 의미가 담겨 있지만, 이름과 달리 이복형인 [[광해군]]에 의해 9살에 사망했다. * [[오구치 오니우]] - [[일본]]계스러운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나이지리아]]계 미국인이다. * [[올라이즈 밴드]]는 그룹이 아닌 1인 밴드이다. * [[와타나베 마유]]의 이름 뜻은 마(麻)처럼 쑥쑥 자라고 친구(友)를 많이 사귀라는 의미지만, 그녀의 키는 크지 않고 교우관계에 어려움을 겪던 시절이 있었다. * [[요시다 아야노 크리스티]]는 [[일본]]계 서구권 인물이거나 혼혈이 아니라 일본에서만 태어나고 자란 순수 일본인이다. 아버지가 한때 하와이 이민을 고려하실 때 미리 지어주신 이름이라고 한다. * [[요코야마 유이(2001)|아오모리의 요코야마 유이]]의 별명은 연구생인 요코야마 유이라는 의미에서 '연듭', '연드브'였으나[* 연구생+[[슨드브]]. 본인도 이 별명을 한국 팬들에게 들어 알고 있다.], 지역별 대표 미소녀를 뽑아 활동시키는 [[AKB48 팀 8]] 출신이라 실제로 연구생이었던 적은 없다. * [[용감한 형제]]의 시작은 실제로 형제 2명이었다(친형과 친동생). 용감한 형제(강동철)가 실제로는 친형과 같이 음악을 시작하면서 이 이름을 지었다가 형이 안 하게 되어 혼자 음악을 하게 되는데, 용감한 형제라는 이름은 원래 형과 함께 지었던 소중한 이름이니 계속 쓰기로 하면서 강동철 1명이 '용감한 형제'가 되었다. 원래 처음에 아마추어로 시작할 때는 강동철의 친형과 같이 형제 둘이서 용감한 형제라는 이름을 쓰며 음악을 시작했었다. * [[우주소녀]]의 [[여름(우주소녀)|여름]]은 이름 때문에 생일이 여름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겨울이 생일(1월 10일)이다. 참고로 데뷔 초까지의 본명은 '이진숙'이었는데, 이미지와 안 맞는 너무 옛날스러운 느낌 때문인지 활동명을 따라 개명을 하였다. * [[우주소녀]] 출신 [[성소]]의 실제 성씨는 바로 정(程)씨이다. * [[위즈 칼리파]]는 아랍계가 아닌 미국 흑인이다. 비슷하게 [[미아 칼리파|칼리파를 예명으로 쓰는 진짜 아랍계 미국인]]이 있어서 더 아랍계로 혼동된 듯. 다만 위즈의 할아버지는 무슬림이 맞다고 한다. * [[유상철]]은 생전 유씨라는 이유로 별명이 [[유비]]였는데, 사실 그는 유비처럼 유(劉)씨가 아니라 유(柳)씨였다. * [[위르겐 힌츠페터]]는 별명이 '푸른 눈의 목격자'이지만 실제로 홍채가 파랗지 않다. 그럼에도 이런 별명이 붙은 것은 한국에서 서양인에 대해 금발벽안이라는 스테레오타입이 형성되었기 때문. 국제사회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한 지금도 이런 인식이 남아있을지언대 과거에는 어떠했을지 안 봐도 뻔하다. * 유튜브 채널 [[우파푸른하늘]]은 [[우파]]와 무관한 자동차 전문 채널이다. 참고로 해당 채널의 이름 '우파'는 '[[우만동]] 파'의 줄임말이다. * 유튜버 [[입짧은햇님]]은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는 먹방 때마다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는다. 다만 음식 한 종류만 갖다놓으면 많이 못 먹는다고 하며, 그래서 이름을 저렇게 지었다고 한다. * 유튜버 [[maru 마루]]의 이름 유래는 도쿄의 마루노우치 역이라고 하나, 도쿄에는 마루노우치 역이 없다. * 유튜버 [[Travel Tube]]는 원래는 채널 이름처럼 '''여행 정보만''' 다루는 게 아니라 국제 정치, 외교, 경제를 다루기도 했는데,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국수주의적인 영상을 업로드하게 되었다. * 유튜버 [[속풀이짬뽕알뜰세트]]의 주요 콘텐츠는 [[짬뽕]]과는 전혀 무관하며 짬뽕 관련 방송을 하지 않는다. * [[윤후덕]]은 이름과 달리 뚱뚱하지 않고 오히려 나이대를 생각하면 적절한 체형이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 카이사르라는 이름의 뜻은 '''머리칼이 풍성하다'''는 뜻이지만[* 이건 주로 역사학자들의 견해로, 그 외에도 카르타고어로 코끼리를 뜻하기도 한다.], 정작 본인은 '''유전성 탈모로 인한 [[대머리]]'''였다. 해당 문서 참고. * [[Weeekly]]의 [[먼데이]]는 예명과는 달리 월요일이 아닌 금요일에 태어났다고 한다. * [[옥편]]이라는 한자 자전을 집필한 고야왕([[顧]][[野]][[王]])은 왕이 아니었다. * 일본의 성우 [[이누야마 이누코]][* 본명은 토즈카 치에.]는 이름에 '개(犬:いぬ)'가 들어가지만[* 犬山 イヌコ. 심지어 이전 표기는 이름 부분도 '犬子'로 훈음표기 했었다.], 데뷔작인 [[푸른날의 마끼바오]]에서 맡았던 주인공 마끼바오는 말이고, 심지어 그녀의 [[나옹(로켓단 삼인방)|인생 캐릭터]]는 고양이이다. 실제로도 그녀는 활동명과 관련해서 질문을 많이 받았으며, 심지어 동료 성우인 [[하야시바라 메구미]][*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 성우.]는 그녀가 데뷔작에서 말을 맡았던 것에 대해 이상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도 나중에 [[포켓몬스터 W]]에서는 강아지 포켓몬인 [[채하루]]의 [[멍파치]]를 맡았다.] * 가수 [[이박사]]는 [[박사]] 학위를 갖고 있지 않으며, 여러 노래를 알고 있다는 의미로 지은 예명이라고 한다. 힙합계 등에서 Dr.나 Master 등의 별명을 짓는 것과 비슷한 맥락. [* 다만 아이유의 라일락을 공동작곡한 Dr.Cho는 실제로 의사 출신이다.] * [[이원록]][* 주로 '이육사'로 더 알려진 시인이지만, 실제 이름은 이원록이니 주의.] - 자신의 호 '육사'는 장진홍 의사 의거로 체포되어 수감되었을 때 받았던 수형번호 2'64'에서 따온 거지만, 실제 한자 표기는 '陸史'이다.[* 陸(뭍 '륙')은 6(六)의 [[갖은자]]로 쓰지만, 4(四)의 갖은자는 史가 아니라 肆(방자할 '자')다.] * 일본의 아나운서 [[이노우에 아사히]]는 [[테레비 아사히]]가 아니라 [[일본방송협회|NHK]]소속이다. * [[이언주]]는 옛 지명이 '언주'던 서울시 [[강남구]]에서 활동한 적이 전혀 없다. 다만 [[박진(정치인)|옮겨간 당 선배]]의 사례를 보면 추후에 강남구에서 활동할 가능성은 있다. * [[이와모토 히카루]]는 캐치프레이즈[* 太陽サンサン体脂肪3%岩ちゃんです(태양은 쨍쨍 체지방은 3% 간짱입니다)]에서 간짱(岩ちゃん)이라고 자칭하지만, 실제로는 이 별명으로 불리지 않는다. [* 이 별명을 공식 별명으로 갖고 있는 사람은 [[EXILE]]의 [[이와타 타카노리]]다. 이와모토 히카루의 공식 별명은 '히-쿤'.] * [[ITZY]]의 [[리아(ITZY)|리아]]의 영어 이름은 Leah가 아니라 Ju'''lia'''다. * [[이쿠라#s-3]]라는 단어에는 연어 알이라는 뜻도 있으나, 이것을 예명으로 쓰는 가수는 연어 알을 싫어한다고 한다. * [[조선]] 16대 왕 [[인조]](仁組)는 어질기는(仁, 어질 인)커녕, 긍정적인 평가와 별개로 '''오히려 조선에서 가장 무능하고 인성이 나쁜 왕이었다'''. 조부인 선조와 달리 인성 면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없는 인물, 사실 '''[[열조]](烈組)'''로 하려고 했는데, [[남당]]의 [[서지고]]가 열조를 썼다는 이유로 인조가 되었다. * 드라마작가 [[임성한]]은 여성으로, 자기 오빠 이름이라고 한다.[* 현재는 예명을 피비(Phoebe)로 바꿔 활동 중이다.] * [[장손무기]]의 이름은 뜻이 꺼림없음이지만 스스로 [[이각(오왕)|오왕]]을 꺼려 무고해서 사법살인을 유도했고 끝내 [[측천무후]]에게 꺼려져서 자살했다. * [[제라르 피케]]의 외할아버지 아마도르 베르나베우(Amador Bernabeu)는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와 아무 관련이 없다. 아마도르는 오히려 산티아고의 소속팀이던 [[레알 마드리드]]의 라이벌 팀 [[FC 바르셀로나]]의 회장이었고[* 피케가 한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갔던 이유가 다름아닌 외할아버지의 실각이었다. 그의 후임은 바로 [[주안 라포르타]]로, 외할아버지와 그의 갈등이 잘 해결되고 나서 바르셀로나로 귀향했다.], 외할아버지를 이어 바르셀로나 회장을 꿈꾸는 피케는 레알 마드리드를 지나치게 저격해 논란을 일으켰다. 현지에서도 피케와 산티아고가 친척지간이냐는 질문이 올라온다. * [[장하영]] - 개신교 집안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뜻에서 자녀에게 '하영'이라는 이름을 지어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 여자는 하나님께 전혀 영광이 되지 않고 오히려 [[양천구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하나님의 이름을 크게 실추]]시켰다.[* 비슷한 예로 학교폭력 가해 논란으로 [[ARIAZ]]를 부진에 빠뜨린 [[주은(ARIAZ)|조주은]]이 있다. 이쪽은 이름이 '''주'''님의 '''은'''혜라는 뜻.] * 미국의 1인밴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는 한국계 미국인이다. * [[정배우]]는 원래 정씨라는 성을 가진 배우의 줄임말인데 반해, 유튜버 정배우는 배우 활동은 커녕 유튜브 활동 말고는 TV 드라마나 웹드라마에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한 번도 없는 그저 예명을 지어낸 백수에 불과하다. *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던 [[정정순]]은 여성이 아닌 남성 정치인이다.[* 주로 아주머니들이 이 이름을 가지고 계시는지라 처음에 이름만 보고 아주머니인 줄 알았다는 사람들이 꽤 있다.] * [[시크릿(아이돌)|걸그룹 시크릿]] 출신 [[정하나(시크릿)|정하나]]의 옛 예명 징거는 징거버거에서 따온 것이 아니다. 상술한 니콜 셰르징거를 동경해서 지은 것. * [[제갈각]] - 이름인 각(恪)은 삼간다는 뜻이고 자인 원손(元遜)은 겸손의 손이 들어갔지만 이름도 자도 성격과 딱 반대이다. 이름은 출생 당시에 지어준 것이지만 자는 성년이 되어야 짓는 것이기에 이미 유년기부터 싹수가 노랬던 제갈각을 겸손하게 만들기 위해 아버지 [[제갈근]]이 지어줬을 가능성이 있다. * [[제르비뉴]]는 브라질 사람 같은 이름이지만 [[코트디부아르]] 국적에 브라질 태생이거나 혼혈도 아니다. 마치 브라질 출신처럼 테크니컬하게 축구를 잘 한다는 의미에서 붙은 애칭. * [[조PD]]는 방송 제작자를 뜻하는 [[PD(방송)|PD]]가 아니라 [[가수]]다. 예명인 PD는 '음악 프로듀서'라는 뜻이다. * [[조말생]]은 이름이 [[막내]](末生)라는 뜻이지만 이후 동생이 태어나는 바람에 이름의 의미를 잃었다. 참고로 그 동생의 이름은 종생('''終'''生). 사실 세심하게 따지면 '末'은 끝 중에서도 최후에 '''가까운''' 때를 의미하기 때문에 의미를 완전히 잃은 건 아니기도 하다. 진짜 마지막은 동생의 이름에 쓰인 종(終). * [[Red Velvet]]의 [[조이(Red Velvet)|조이]]는 이름과 이미지와 달리 실제 성격은 시크한데, 이를 우려한 회사에서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란 의미에서 조이가 되었다.[* 본인이 아는 형님 출연 당시에 직접 언급했다.] * [[조정치]]는 [[정치]]와 관련이 없다. 말장난처럼 보이겠지만 진짜 이름의 한자 표기가 '''曺[[정치|政治]]'''다. * [[조지 프레드릭 헨델]] - '''음악의 어머니'''로 불리지만 남성이다. * [[조지프 퓰리처]]는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한 기자에게 수여하는 [[퓰리처상]]의 유래가 된 것과는 다르게 '''[[황색언론]]을 키운 추악한 인물이었다.''' * 사업가 [[존 엘칸]]은 전형적인 영미권 이름[* 풀네임은 존 필립 제이콥 엘칸(John Philip Jacob Elkann). 참고로 동복 동생들의 이름은 이탈리아식인데 혼자만 영미권식 이름이다.]에 출생지도 미국이지만, [[이탈리아]] 혈통이 가장 많으며[* 친할아버지는 [[프랑스]] [[유대인]]이고 친할머니는 [[이탈리아]] [[유대인]]에 외가는 아예 [[이탈리아]]의 재벌인 아녤리 가문이다. 그의 아버지는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상당히 강한 편이지만 이는 남동생 라포가 더 많이 물려받은 듯하다. [[https://jewishbusinessnews.com/2013/02/01/lapo-elkann-jewish-catholic-nobility/|#]] 한편 아버지가 존 역시 배려심이 깊은 성격에 [[탈무드]]의 가르침을 잘 따르고 있다고 언급하긴 했다.] 주요 활동지도 이탈리아다. 사실 미국에서 태어나긴 했지만 어릴 적부터 영국[* 여동생이 런던에서 태어났다.]과 브라질, 프랑스 등을 오가며 자랐고 대학생 때부터 이탈리아에서 살았다. * [[주전충]] - 당나라에 충성한다는 의미로 '전충'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지만 당나라를 멸망시켰다. * [[주피디]]는 주씨가 아닌 김씨다. 그러므로 [[노아AI]]를 공동 개발했던 주PD [[주언규]]와 다른 사람으로, 뭣보다 여성이다. 실제로 [[노아AI 표절 사건]] 때 예명이 비슷해 억울하게 욕을 먹기도 했다. * [[주호민]] - 별명이 '파주스님'이지만 승려는 아니다. 다만 대머리를 보고 '스님'이라는 별명을 지어주는 사례는 흔한 일이다. * [[중력(인터넷 방송인)|중력]]은 고등학교 때 문과생이었고, 잘했던 과목도 한국사다. 참고로 이게 본명이라 선생님이 왜 이과로 안 가냐고 농담조로 물었을 정도라고. * [[차주혁]]은 차씨가 아니며, 그의 그룹 활동 당시 예명이던 열혈강호도 만화 [[열혈강호]]와 아무 관련이 없다. * [[마우로 이카르디]]와 [[완다 나라]]의 이혼에 연루된 아르헨티나 연예인 차이나 수아레스('''China''' Suarez)는 중국 혼혈이 아니라 일본 혼혈이다. [* 외할머니가 일본계로, 성씨는 미츠모리였다고 한다.] * [[차이잉원]](蔡英文, 한국 독음 채영문) 대만 총통은 이름이 英文이지만 영문과가 아닌 법학 출신이다. 그래도 영어는 비영어권 국가 수반들 중 최상위권으로 잘한다. 영어 언론이랑 영어로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비영어권 수반이다. 다만 학창 시절에는 영어를 못해서 영문(英文)이라는 이름 때문에 놀림 받았다고 한다. * [[채염]]의 자는 보통 문희(文姬)로 알려져 있어 채문희라고도 불리나, 실제로는 소희(昭姬)였다. 삼국지 시대 이후 시작된 서진의 초대 황제 사마염의 아버지 [[사마소]]를 의식해 피휘하느라 문희로 바뀐 것. [* 같은 예로 [[동습]]이 있다. 이쪽은 원래 자가 원세였으나, [[당태종]]의 휘인 이세민을 의식해 피휘하느라 원대로 바뀌었다.] * [[체리블렛]]의 일본인 멤버들인 [[레미(체리블렛)|레미]]와 [[메이(체리블렛)|메이]]는 각자의 본명과 아무 상관 없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본명은 각각 카츠노 리세, 히로카와 마오. [* 대부분의 재한 일본인 아이돌들은 본명에서 성씨만 떼거나, 평소 불려온 애칭으로 활동하고 있다.] * [[푸른거탑]], [[황금거탑]] 등에 나왔던 배우 [[최종훈(배우)|최종훈]]은 무한도전 출연 당시 '최코디'로 불렸는데, 정작 그는 코디가 아닌 매니저였다. * [[치로 임모빌레]]의 성씨(Immobile)의 뜻은 '움직임이 없다'거나 '움직이지 못한다'는 뜻이지만, 이 사람의 직업은 축구선수이며 활동량 역시 스트라이커 치고는 많은 편이다. * [[치차리토]]의 아버지는 [[녹안]]이라며 축구선수 시절 별명이 '완두콩(Chicharo)'이었는데, 정작 작은 완두콩(chicharito)이라는 그의 아들은 녹안이 아니다. * [[카와시마 노에루]]의 이름의 유래 중에 [[크리스마스]]가 있지만, 그는 11월에 태어났다. * [[카와이 레너드]]는 귀엽다는 뜻의 일본어 단어 [[카와이]]에서 유래한 이름이 아니며, 귀여운 인상도 [[일본계 미국인]]도 아니다. 애초에 철자가 kawaii가 아닌 Kawhi며, 실제 발음도 '크와이'에 가깝다. 이름의 실제 유래는 어느 아프리카 왕자.[* 그러나 이름이 이름인지라 일본 쪽에서 레너드의 모에화가 그려지기도 했으며, 실제로 레너드의 경기에 팬이 모에화를 직접 들고 온 적도 있다(!)] * [[카카]]의 현역 생활 당시 활동명은 이탈리아어로 '똥'이라는 뜻이지만[* 정확한 철자는 Kaka가 아닌 caca. 하지만 이탈리아어나 브라질어로나 두 단어 모두 '까까'로 발음이 되는 점에 따라 [[유벤투스]]가 그를 영입하려다 카카에게 활동명을 바꿀 것을 요청했다. [[AC 밀란]]은 그렇지 않아서 카카가 밀란으로 갔다.], 실제로는 이탈리아에서 전성기를 누리며 전설의 선수가 되었다. * [[카피추]] - 이름과는 달리 순수창작을 내세우고 있다.[* 본인피셜 이름의 뜻은 '可(가능할 가)', '避(피할 피)', '醜(추할 추)', 즉 '가능한 추한 것은 피하자'란 뜻이라고 한다.] ~~[[표절|하지만 실상은...]]~~ * [[케빈 라사냐]](Kevin Lasagna)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이나 그 속성의 캐릭터, 혹은 이탈리아 음식 브랜드가 아닌 이탈리아 본토 출신의 실존 인물이다. [* [[케빈]]이란 이름이 본토 이탈리아인에게는 잘 쓰이지 않는 이름이다. 사실 이 이름의 유래는 배우 [[케빈 코스트너]]라고 하며, 자매 샤론의 경우는 [[샤론 스톤]]이라고 한다.] * [[코바야시 카무이]]는 [[아이누]]인 혈통이 아니다. * 미국의 전직 가수 콜비 오도니스[* [[레이디 가가]]의 데뷔곡 Just Dance와 [[Akon]]의 Beautiful을 피처링한 것으로 유명하다.]는 아일랜드계가 아닌 이탈리아계와 푸에르토리코계 혼혈이다. 실제 성도 콜론(Colon). 다만 콜비 오도니스라는 이름 자체는 본명 맞다.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게 그의 아버지를 화재에서 구해주고 순직한 소방관의 이름이었다고 한다. * [[콰드오 아사모아]]의 이름(Kwadwo)의 뜻은 '월요일에 태어난 아이'란 뜻이지만, 실제로는 금요일에 태어났다. 상술한 위클리의 먼데이와 비슷한 사례지만 이쪽은 이게 본명이다. * [[쿄모토 타이가]]의 이름은 [[범]]을 뜻하는 영단어 tiger와 음이 비슷해 본인도 [[범]]을 자신의 상징으로 쓰지만, 실제로는 그는 범띠가 아닌 개띠다. * [[크리스 스몰링]]('''Small'''ing)은 체구가 결코 작지 않다. 무려 194cm의 장신. * [[크시슈토프 피옹테크]]의 이름인 피옹테크는 폴란드어로 금요일이란 뜻이지만 피옹테크는 토요일에 태어났다. * [[키디비]](KittiB)와 '''카'''디비([[Cardi B]])는 둘 다 여성 래퍼지만 서로 아무 관련이 없다. 애초에 국적도 대한민국과 미국으로 다르다. 그리고 의외로 데뷔를 전자가 더 빨리 했다. * [[타나카 케이지]](田中 [[형사|刑事]])의 직업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다. * [[탈덕수용소]]는 탈덕한 사람들이 세운 사이트가 아니라 [[사이버 렉카]] 성향의 개인 유튜브다. * [[태조대왕]]은 [[고구려]]를 세운 사람이 아니다. [[묘호]] 문서도 참고. 다만 이 묘호로 인해 실질적으로 고구려가 고대국가의 모습을 갖춘 것이 태조대왕대가 아니냐는 해석도 많다. * [[티파니 영]]의 본명은 티파니가 아닌 스테파니다. 같은 영어 이름을 쓰는 [[스테파니(가수)|선배]]가 데뷔 당시 같은 소속사에 있었기 때문에 비슷한 영어 이름으로 바꾼 것이다. * [[팔로알토]]는 미국의 [[팔로 알토]]시에 있을 때 좋은 기억이 있어서 예명을 팔로알토로 지었지만, 정작 팔로 알토보다 [[매봉역]]이 더 좋다고 한다. * [[페페(축구선수)|페페]]의 부모님은 아들이 과학자가 됐으면 하는 마음에 [[요하네스 케플러|Kepler]]와 Laveran[* 프랑스의 과학자 알퐁스 라베랑]이란 이름을 붙여줬으나 이 인물은 축구선수가 됐다. [* 다만 부모님의 영향으로 독서를 많이 했다고는 한다.] * [[페페 레이나]]는 남성이지만 그의 성씨 레이나(Reina)는 스페인어로 여왕을 뜻한다. 실제로 리버풀에 있을 때 파티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분장을 하고 나온 적도 있다. * [[폴 포츠]]와 [[폴 포트]]는 ~~당연하지만~~ 아무 관계가 없다. 실제로 폴 포츠는 폴 포트와 엮이면 굉장히 불쾌해한다고 한다. [* 폴 포츠는 본명이지만, 폴 포트는 예명인 것도 있다.] * [[프란체스코 아체르비]]의 성씨(Acerbi)의 뜻은 '미숙하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20대 중반 무렵 찾아온 고환암[* 이로 인해 기량이 떨어지거나 은퇴해야만 했던 선수들도 있다.]을 이겨낸 후 더욱 실력이 향상됐다. * [[프란체스카 도너]] 여사는 대한민국 최초의 [[영부인]]으로, 별명이 [[호주]]댁이었지만 [[오스트리아]]인이다. 이 때문에 [[한국전쟁]] 당시 투입된 UN군의 제트 전투기들은 이 박사([[이승만]]) 처가집 비행기라는 의미에서 '''호주기'''라고 불렸다. 실제로는 진짜 처가집인 오스트리아는 패전국이라 파병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진짜로 제트 전투기([[글로스터 미티어]])를 투입했다. 외국에서도 오스트리아(Austria)와 [[오스트레일리아]](Austrailia)를 혼동하는 사례는 종종 있다. * [[복돌이|불법복제 게임]]으로 막대한 이득을 챙긴 것으로 유명한 [[플스여왕]]은 남자다. [* 비슷한 예로 [[김하나#s-2.3|스팸여왕 김하나]]와 대출 권유 스팸 문자로 악명이 높던 [[김미영 팀장]]이 있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별명은 [[리틀 보이]]지만, 실제로는 키 188cm의 장신이다. *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의 별명은 [[차르]]였으나, 그는 사실 러시아가 아닌 [[우크라이나]] 혼혈에 [[러시아 제국]]을 겪은 적조차 없다. * [[한국유]](韓國瑜)는 이름에 한국(韓國)이 들어가서 한국인 또는 한국계 대만인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아니며 대만인이다.(현지 발음: 한궈위) 게다가 이 사람의 성씨가 한(韓)이고 돌림자가 국(國)자여서 결론적으로 이 사람 형제들의 이름에 죄다 한국(韓國)이 들어간다. 그래도 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걸 원하기 때문에 한국과 완전히 무관한 건 아니다. 그리고 가오슝 시장 취임 후 바로 수원시와 우호협력을 체결하였다. * 자전소설 '모정'으로 유명한 중국 혼혈 소설가 한수인(본명 초우쾅후)의 예명 뜻은 '한족이 영국인이 됐다'는 뜻이지만, 그녀는 작중과도 달리 실제로는 영국이 아니라 [[벨기에]] [[플란데런]] 혈통이었다. * [[헨리크 므키타리안]]의 별명은 미키(Micki)이고 이로 인해 [[미키타리안]]이라고 널리 불리지만, 사실 그의 본명과는 별 관련 없는 별명이다. [* [[위르겐 클롭]]이 이 별명을 지어준 이유는 단지 그의 이름이 너무 길기 때문이라고 한다. 애초에 성씨가 Mkhitaryan이라 어떻게 발음해도 '''미'''키타리안은 안 된다.] * [[호다 니쿠]] - 이름을 언뜻 보면 [[일본인]]같지만 실제로는 [[이란인]] 출신이다. * [[호르티 미클로시]] - '해군 없는 해군제독'이자, '왕 없는 왕국의 섭정'. 심지어 가톨릭 국가인 헝가리에서 자신의 종교는 개신교(장로파). * [[황희(조선)|황희]] 정승과 현대 정치인 [[황희(정치인)|황희]]는 서로 아무 관련이 없으며, 한자도 각각 喜(기쁠 희)와 熙(빛날 희)로 다르다. 다만 이름 발음이 같은지라 후자가 전자를 가지고 홍보한 적은 있다. * [[0삽살개0]] - 이름과 달리 주로 [[토니(켈로그)|호랑이]] 스킨을 착용하고 다닌다. * [[1분미만]] - 최근에 올라오는 영상들은 이름과 다르게 1분을 훨씬 초과한다. [[5분순삭]]도 비슷한 케이스 * [[2 Chainz]]는 듀오가 아닌 솔로 래퍼다. * DJ [[Alan Walker]]는 영국식 이름을 갖고 있지만, 자신을 영국인보다는 [[노르웨이]]인으로 생각한다고 한다. 영국인 아버지와 노르웨이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2살 때부터 노르웨이에서 살았으며 영어 억양도 영국식이 아니다. * Bingo Players는 문법상 2인 이상이 되어야 하지만 현재 한 명만 남았다. 정확한 것은 문서 참조. * [[스타크래프트 1]]의 [[프로게이머]]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가 사용한 아이디 ChoJJa. 초짜라는 아이디와 달리 실제로는 [[목동 저그|하이브 체제 저그 전략]]을 정립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또한 개인리그에서 우승 1회, 준우승 3회 등 걸출한 성적을 남겼고, 이 커리어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DQN 네임]]인 사람들 중 표기용 이름과 실제로 불리는 이름이 다른 이들: [[무라야마 유이리]][* 村山 彩希. 원래는 무라야마 '사키'라고 읽어야 한다.]가 대표적인 예 * [[DQN 네임]]인 사람들 중 해당 성별과 반대 성별의 이름이 붙은 이들: [[가메이 시즈카]]가 대표적인 예[* 서구권 인물들은 그나마 미들 네임이라도 제 성별답게 지으면 커버가 되지만 이 경우는 미들 네임도 없고 표기마저 靜香으로 여성스럽다.] * [[E-TRIBE]]의 tribe는 '종족'이란 뜻이지만 결성 당시에는 2명에 불과했으며, 2011년부터는 안명원 1인 체제다. * [[Jay-Z]]는 힙합 래퍼지만, 그의 이웃들은 그를 [[Jazz]]y라고 불렀고 여기서 그의 예명이 만들어졌다. [[https://www.allmusic.com/artist/jay-z-mn0000224257/biography|#]] * MC 민지는 여자가 아닌 남자다.[* 알다시피 이는 [[정준하]]의 [[쇼미더머니5]] 출연을 위해 지었던 랩네임으로, 강렬한 힙합과 어울리지 않는 러블리한 이름으로 [[무한도전]] 멤버들이 지어준 것이다.] * 작곡가 [[KENZIE]]는 한국인 여성이다. 켄지라는 이름 때문에 일본 쪽 남성이라는 오해를 많이 받았던 적이 있으나, MacKenzie라는 여성 이름이 많이 알려진 지금은 좀 덜하다. * 아르헨티나의 가수 L-Gante(본명 엘리안 앙헬 발렌수엘라)의 예명은 고상하다는 뜻의 elegante로 읽지만, 실제 유래는 작업실에 갈 때마다 츄리닝에 슬리퍼 차림인 그를 보고 어머니가 반어법으로 비꼰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사진들을 검색해 보면 알겠지만 그의 모습은 고상함과는 거리가 있는 편. * [[Roblox - 한국]]은 [[Roblox]]의 한국 지사가 아니라 게임 유튜버다. * [[SE7EN]]은 7명짜리 그룹이 아닌 솔로 가수이다. * TJ는 'Team Janghyuk'이란 이름의 의미와 달리 [[장혁]]의 솔로가수 프로젝트이다. * 래퍼 [[Tyga]]의 예명은 '신께 언제나 감사합니다'란 뜻이지만[* [[타이거 우즈]] 닮은꼴이라는 의미는 나중에 붙여졌다.], 그가 내는 랩들은 선정성이 매우 강하다. * 래퍼 [[YG]]와 [[YG엔터테인먼트]]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애초에 후자의 이름 유래가 상술돼 있다. === 단체 === * [[AKB48]]에는 48명보다 많은 멤버가 재적 중이다. 한 시점에 48명이 있기는 했지만 원래 48이라는 이름은 시바 ([[고로아와세]]로 "48") 코타로 office48 사장이 좋아하는 숫자 48에서 따왔다는 게 정설이다. 또한 [[노기자카46]], [[케야키자카46]], [[사쿠라자카46]], [[히나타자카46]] 모두 멤버 수가 46명이 아니다.[* 단, 노기자카46는 47명으로 한명이 졸업하면 정확히 46명이 된다. 케야키자카46는 사쿠라자카46가 된 후 첫 싱글까지 26명이었다가 25명이 됐으며, 히나타자카46는 21명으로 46명에 턱없이 모자란다. 예외로는 [[요시모토자카46]].] * [[AKB48 팀 8]]는 AKB48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과 달리 처음에는 정식 AKB48 활동에 참여할 수 없'''었'''다. * [[NGT48]]은 멤버 [[야마구치 마호 자택 습격 사건]] 이후 연고지인 [[니가타현]]에서 오히려 외면받는 신세가 됐다. * [[STU48]]은 거점인 [[세토 내해]]를 순항하는 배 위에서 운항 중 공연을 한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그룹이지만, 실제로는 극장용 배가 만들어지기까지 1년 남짓이나 걸린 데다 안전 우려 등 여러 한계 때문에 항구에 정박한 채로 공연을 해야 했다. 그마저도 코로나19 때문에 몇 년 못 가 폐쇄하고 세토 내해를 둘러싼 7개 현[* 시코쿠 북부의 [[에히메현]], [[도쿠시마현]], [[카가와현]], 혼슈의 [[야마구치현]],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 [[효고현]]]을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공연 중이다. * [[히나타자카46]]의 유래가 되는 지명의 이름은 向日坂이 맞긴 하지만 독법은 히나타자카가 아니라 휴우가자카가 맞는다고 한다. * [[Stray Kids]]는 어린이를 위해 동요나 동화 등의 영상을 올리는 채널이 아니라 아이돌 그룹 이름이다. * [[가로세로연구소]]는 연구소 이름이 아니라 [[사이버 렉카]] 유튜브 채널 이름이다. * 정치팬덤 [[개딸]]은 '개혁의 딸'이란 뜻에 [[이재명]]의 20~30대 여성 팬덤이라는 정의가 있다지만, 실제 연령대는 40~50대 이상에 남성층이 주라는 증언이 많다. * [[건강한 사회를 위한 국민연대]]는 이름과 달리 건강한 사회 문화와 질서의 형성을 위한 시민단체가 아니라 [[성소수자]] [[호모포비아|혐오와]] [[트랜스포비아|박멸을]] 주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며, 국민 전체의 여론을 포괄하기보다는 [[기독교 우파]]의 입장만을 대변하는 성향이 짙은 단체이다. * [[도자기]] 및 [[증류식 소주]] [[화요]]를 만드는 광주요(廣州窯)는 옛부터 조선 왕실에 도자기를 납품하던 [[경기도]] [[광주시|광주]]의 관요에서 이름을 따왔지만, 실제로는 [[광주시]]가 아닌 [[이천시]] [[신둔면]]에 위치한다. * [[교토 퍼플 상가]]의 '상가'는 상가건물이라는 뜻이 아니라 '동료'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단어다. 실제로 [[박지성]] 때문에 이 팀의 이름이 국내에 알려지자 조기축구회에 진짜 [[상가]]건물 이름이 붙은 사례도 있다고 한다. * [[구세군]]은 [[군대|군사조직]]이 아니며, 기본적으로 [[교전권|군사행위]]를 할 수 없다. 단지 [[군사 계급]]을 따를 뿐이다. * [[금쪽이]]는 원래 '금조각'이란 뜻이지만, 예능 프로그램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의 영향으로 심각한 문제아들을 우회적으로 돌려 비꼬는 표현이 됐다. * 가수 [[김호중]]의 팬클럽 '아리스'의 본 표기인 'Aries'[* 현재는 모종의 이유로 '[[ARISS]]'이다.]는 [[양자리]]를 뜻하는데, 정작 김호중은 양자리가 아닌 [[천칭자리]]이다. * 영국의 록밴드 [[무디 블루스]]는 이름과 달리 블루스는 한번도 불러본 적 없다. 반대로 [[프로그레시브 록]]의 선구자 격 되는 전설적인 밴드이다. * [[GIRL(밴드)|걸]](록밴드), [[이브(록밴드)]], [[언니네이발관]], 트위스티드 시스터, [[퀸(밴드)]], 오로라 산닌 '''무스메'''(オーロラ三人'''娘'''), [[근육소녀대]](筋肉少女帯): 구성 인물이 전부 '''남자'''다. 심지어 예시로 언급된 밴드인 걸과 이브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 걸의 1기 보컬 [[김세헌]]이 탈퇴 후 결성한 게 이브이다.] * [[국내야구 갤러리]]와 [[주식 갤러리]]는 야구와 주식 이야기는 없고 정치적인 글이 주로 올라온다. * [[남양건설]]과 남양알로에는 [[남양유업]]과 아무 관련이 없다. 특히 남양알로에는 남양유업에게 자사 이름을 도용까지 당해 소송전을 벌인 끝에 승소했지만, 결국 사명을 '유니베라'로 바꿨다. * 일본의 아이돌 그룹 [[내가 보고 싶었던 푸른 하늘]]([[僕]]が見たかった青空)은 줄임말도 僕青라 보이그룹일 것 같지만 걸그룹이다. * [[단발머리(걸그룹)|걸그룹 단발머리]]는 [[AOA(아이돌)|AOA]]가 '[[단발머리(AOA)|단발머리]]'를 내놓기 9일 전에 데뷔했지만, 둘 사이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 국내의 [[대만]] [[화교]]들은 중국과의 수교 전에는 [[중국]] [[산둥성]] 출신들이 더 많았다. *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는 [[고엽제]] 그 자체가 아닌, 불순물로 포함된 [[다이옥신]]에 의해 피해를 입은 이들이다. * [[돌고래유괴단]]은 동물 밀렵꾼 단체가 아닌 광고 회사다. * 브라운아이드걸스의 패러디 그룹 드러운아이드'''걸스'''는 보이그룹이었다. 7인조 체제의 [[2PM]] 시절 하던 예능 와일드바니에서 우영, 찬성, 택연과 [[2AM]]의 조권과 슬옹이 임시로 결성했다. * 발라드 듀오 [[디셈버]]는 12월이 아니라 10월에 데뷔했다. * [[러프 라이더]]는 [[미서전쟁]] 당시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조직한 의용군 부대였는데, [[기병|라이더즈]]라는 이름과는 달리 말 보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서 참전한 전투 대부분 [[보병]]으로 전투를 벌였다. * [[레닌그라드 카우보이즈]]는 [[소련]] [[레닌그라드]]에서 결성된 그룹이 아니라 핀란드에서 시작되었다. 그래도 러시아와는 완전히 관련이 없는 게 아닌 게 [[알렉산드로프 앙상블]]과 자주 합동 공연을 한다는 점이다. * [[룩셈부르크 가문]]의 발상지는 [[룩셈부르크]]이나 룩셈부르크 가문의 주요 영지는 [[보헤미아]], [[체코]] 지역이었다. * 록밴드 [[포르노 그라피티]]는 포르노 필름을 찍은 적이 없다. * [[룰라]]의 이름은 'Roots Of Raggae'란 뜻이나, 2집부터는 일반 댄스 그룹으로 전향했다. * [[리쌍]]의 멤버들은 모두 [[이씨]]가 아니다.[* 개'리', 기'리'라 리쌍인 것이다. 둘의 실제 성은 각각 '강', '길'.] * [[8eight]]는 3인조 그룹이다. * 록 밴드 오브 몬트리올(Of Montreal)은 [[몬트리올]]이 아니라 [[조지아 주]] 에선스 시에서 결성되었다. * [[링고무스메]]와 [[모닝구 무스메]]는 아무 관련이 없다. 전자는 기본적으로 [[아오모리현]]의 사과를 홍보하는 로컬 아이돌이기 때문. * [[마룬 5]]는 밴드명에 포함된 숫자 [[5]]처럼 5명으로 구성되지 않았으며, 6명 구성이다. * 패션 브랜드 마시모 두티(Massimo Dutti)는 이탈리아가 아닌 [[스페인]] 브랜드이며, 설립자의 이름도 마시모 두티가 아니다. 보통 패션 브랜드들은 설립자의 이름을 따는 경우가 많은 것을 감안하면 특이한 사례. *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맥쿼리]] 본사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군인공제회]]가 최대주주가 되면서 [[맥쿼리]] 본사는 경영권을 상실한지 오래다. * [[미도와 파라솔]]의 리더는 [[전미도]]가 아니라 [[조정석]]이다. * [[믹스나인 소년팀|믹스나인 데뷔조]]는 실제로는 데뷔를 하지 못했다. * [[바르다김선생]]은 교육 브랜드가 아니라 김밥 브랜드다. [* 한편 가맹점주 하나가 [[대전관평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 가해자로 밝혀지는 바람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이라는 비아냥을 들은 적이 있다. 이는 해당 피해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 된 [[세이브더칠드런]]도 마찬가지로, 이쪽은 아이들을 구하기는커녕 망쳤다는 질타를 받으며 후원자가 급감했다.] * [[바른군인권연구소]]는 바르지도 않고 반인권적 [[개신교 우파]]단체이며 더군다나 [[군인]]들의 인권에 기여한 적도 없는 [[시대착오적]] 단체다. * [[보이스코]]는 [[보이그룹]]이 아니라 [[걸그룹]]이었다. * 보이그룹 Mr.Mr와 소녀시대의 노래 [[Mr.Mr.]]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보이그룹 측이 Mr.Mr.가 나온지 4일 뒤 자신들을 묻어버렸다며 소녀시대를 디스하는 동 제목의 노래를 내기는 했다. 본인들은 소녀시대가 아닌 그녀들의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를 디스한 것이란 입장. * [[블랙맘바(아이돌)|아이돌 블랙맘바]]와 [[aespa]]의 데뷔곡 [[Black Mamba]]는 아무 연관이 없다. 더군다나 전자는 데뷔하지도 못했다. * 보컬 그룹 [[빅마마(가수)|빅마마]]는 데뷔 당시만 하더라도 멤버들이 전부 미혼이었다. * [[사랑제일교회]]와 [[사랑의교회]]는 서로 아무 관련이 없다. 실제로 헷갈리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또한 사랑제일교회는 2021년 12월 13일 [[국민혁명당]] 전당대회를 이곳 본당에서 치러 교회가 아닌 정치단체로 분류되기도 한다. * [[사립에비스중학]]에는 중학교를 이미 졸업한 멤버들이 더 많다. * [[서울전자음악단]]은 일렉트로니카 작곡가들이 아니라 사이키델릭 록 밴드다. 명칭은 '평양전자음악단'에서 따왔을 뿐이라고. * [[서태지와 아이들]]은 리더 [[서태지]]가 막내이고 아이들([[이주노]], [[양현석]])이 형들이다. 또한 애초부터 영어표기가 'Seotaiji and Kids'가 아닌 'Seotaiji and Boys'이며, 원래의 그룹명도 사실 '서태지와 아이들'이 아닌 'Taiji Boys'였기 때문이다.[* [[서태지/음반 목록#s-1.1|1집 테크노믹스 앨범]], [[서태지와 아이들 2집|2집]], [[서태지/음반 목록#s-3.1|3집 콘서트 앨범]], 그리고 [[서태지와 아이들 4집|4집]] 수록곡 '[[서태지와 아이들 4집#s-4.7|Taiji Boys]]'에서 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이 '서태지와 아이들'이라는 이름으로 데뷔하게 된 이유는, 당시 매니저[* 데뷔 직후 얼마 안 가 서태지가 바로 짤라버렸다.]가 'Taiji Boys' 라는 그룹명을 듣고서는 "그거 한국말로 서태지와 아이들이네" 라고 하며 진짜로 그렇게 표기해버린 것이다. * [[세븐틴]]은 이름처럼 17인조가 아닌 13인조이다.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다만 계획 당시에는 17명이었다.]][* 현재의 의미는 13(멤버수)+3(그룹 내 유닛 수)+1(그룹 전체 or [[CARAT|캐럿]])이다.][* 유사한 사례로 발라드 그룹 [[파이브#s-4]]가 있다. 표기는 'f-iv'로 하는데, 이들 또한 멤버가 5명이 아닌 4명으로 'four+iv(로마자 4)'의 의미로, 4명은 멤버들, 나머지 1명은 팬들이라는 뜻이다.] * 일본의 80년대 아이돌 그룹 세이코쨩즈의 멤버들은 모두 이름이 '세이코'가 아니었다. 솔로 아이돌 [[마츠다 세이코]]의 코디를 모방한 그룹이었기 때문. 그런데 사실 마츠다 세이코도 본명은 카마치 노리코다. * [[순순희]]는 여성을 연상시키는 이름과 달리 남성 3인조 보컬 그룹이다. 세 멤버의 어머니 성함 끝 글자를 따서 지었다고. * [[스웨덴 세탁소]]는 세탁소가 아니고 스웨덴과도 더더욱 관계가 없다. 실제로 배우 [[이순재]]가 스웨덴 세탁소가 자신과 협업하고 싶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나 세탁소에 뭐 맡겨놓은 거 없는데??"하며 어리둥절해하기도 했다. * 스위트 캘리포니아(Sweet California)는 미국 캘리포니아가 아닌 [[스페인]]에서 결성된 걸그룹이다. * [[3M|쓰리엠]]은 이름('''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미네소타 '''광업'''&제조업 회사)과 달리 광산업은 하지 않는다. 사실 창립 당시인 1900년대 초에는 사포의 원료인 연마석을 조달하기 위해 광산업도 했지만, 광산에서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나오라는 강옥은 안나오고]] 사포에는 못 써먹는 무연탄만 줄창 나와서 광업은 접고 원료는 외부에서 공수하여 제조업에만 집중하게 된 것. * 아키텍처 인 헬싱키(Architecture in Helsinki)는 [[핀란드]]에서 결성되지 않고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결성되었다. * [[아이돌]]의 의미는 우상(idol)이란 뜻이지만, [[일본 아이돌]]의 경우 우상으로서의 의미를 잃었다는 평이 많다. [* 일본의 경우 대중보다는 아이돌 오타쿠 층만 상대해도 돈이 잘 벌리기 때문에 이 오타쿠들의 기분만 잘 맞춰주는 쪽으로 실력 부족까지 커버한 사례도 있다.] * 아임 프롬 바르셀로나(I'm From Barcelona)는 [[바르셀로나]]가 아닌 [[스웨덴]]에서 결성되었다. * [[안아키]], 즉 '안'전하게 '아'이 '키'우기[* 사실 원래는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였다.]라는 단체는 도리어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으로 아이들의 건강을 악화시키며 위기에 몰아넣게 하는 [[유사과학]] 성향의 '''위험한''' 단체이다. [* [[교육부 사무관 갑질 사건]]으로 유명해진 '네 머리를 알라' 역시 실제로는 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지 않는다.] *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모임]]는 예방접종 종류별 [[부작용]]이나 예방효과 등의 지식을 나누는 단체가 아니라 예방접종을 독으로 생각하여 필수접종마저도 반대하는 위험한 단체이다. * [[애프터스쿨]]은 멤버들 대부분이 데뷔 당시 고등학교를 이미 졸업했다. 그래서 [[왕비호]]에게 '학교 끝나고'가 아닌 '회사 끝나고'라고 디스도 당했다. * [[엄마부대]]는 엄마로서의 역할과는 별 관련 없는 단체다. * [[엘러리 퀸]](Ellery '''Queen''')은 여성이 아닌 남자 사촌 형제들로 구성됐다. * [[오버워치 리그]] 참가팀 [[런던 스핏파이어]]는 연고지가 영국 런던이지만, 팀원들은 [[제이미 오닐]]을 제외하면 영국인이 아니며,[* 초기에는 아예 전원이 런던도 영국도 아닌 한국 출신이었다.] 팀 소유주는 미국인이다. * 1910년대 결성된 [[백호주의|'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협회(Australian Natives' Association)']]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애버리지니 aborigine)이 [[홍철 없는 홍철팀|단 한 명도 없었으며]] 전부 백인이었다. * [[오인용]]은 5 Players라는 뜻과 달리 현역 멤버는 2명이다.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명 중에는 원래 그 지역에서 살던 아메리카 원주민 족속들의 이름인 '차루아(Los Charrúas)'가 있으나, 정작 우루과이의 인구는 백인계 이민자들의 후손이 대다수를 이루며 차루아 족은 그들에게 축출 및 학살당했다. * [[우주전쟁 마이너 갤러리]]는 [[우주전쟁(2005)|우주전쟁]]이 아닌 [[스타크래프트 시리즈]]가 주제인 마이너 갤러리이다. * [[원밀리언]]은 100만명의 사람들과 춤을 함께하고 싶다는 의미에서 지었으나, 2022년 9월 기준 구독자 수 2560만명을 달성해 목표를 훨씬 뛰어넘었다. * 유튜버 [[흔한남매]]는 실제로는 남매가 아니라 커플이다. 흔한남매라는 이름은 이들이 [[웃찾사]] 시절 했던 [[흔한남매(웃찾사)|코너]] 이름에서 따온 것. 그리고 최근 결혼을 하면서 부부가 되었다. ~~흔한부부~~ ~~본의 아닌 동심파괴~~ * [[이달의 소녀]]는 월마다 진행하는 미소녀 대회 이름이 아니라 정식 아이돌 걸그룹의 이름이다. [* '이달의 OOO'는 보통 월말 결산시 실적이나 성적이 가장 좋은 사람을 뽑으면서 쓰이는 말이기도 하고, 이 그룹은 데뷔 당시 멤버가 달마다 한 명씩 공개되어서 프로젝트 그룹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 이름에 '자매(혹은 시스터즈)', '패밀리' 등 가족 관련 단어가 들어간 그룹들은 실제로는 남남인 경우가 더 많다.[* 해외에도 존재하긴 하지만, 오히려 우리와는 반대로 실제 가족인 경우가 더 많다.]([[미미시스터즈]], [[서울패밀리]] 등) * 이름에 '소년'·'소녀',[* 영어인 '보이'와 '걸'도 해당.] '키즈', '차일드'가 들어가는 그룹들은 데뷔 당시에도 성인이었거나, 미성년자 때 데뷔를 했었어도 세월이 지나 성인이 되면서 이름과 실제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 [[더보이즈]] - 2019년부터 소년이 없다. * [[방탄소년단]] - 2016년부터 소년이 없다. * [[소년공화국]] - 2014년부터 소년이 없었다. * [[소녀시대]] - 2010년부터 소녀가 없다. * [[원더걸스]] - 2011년부터 소녀가 없다. * [[백스트리트 보이즈]] - 1999년부터 소년이 없다. * [[스파이스 걸스]] - 1996년 데뷔 당시부터 소녀가 없었다. * [[Destiny's Child]] - 1997년 데뷔 당시부터 전원 고등학생이었다. * [[틴탑]] - 2015년부터 10대가 없다. [* 또한 top이 영어권에서는 '''여성 상의'''를 뜻하는 단어이기도 해서 해외에서 오해를 받기도 했다.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6912|#]] 당연히 당사자들의 의도는 10대들로서 정상에 서겠다는 뜻.] 등이 있다. * [[군산시]]의 유명한 빵집 [[이성당]]은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운영하는 집'이라는 뜻이지만, 창업주를 제외한 모든 역대 대표가 이씨가 아니다. [[https://www.msn.com/ko-kr/news/other/%EA%B5%B0%EC%82%B0-%EB%B9%B5%EC%A7%80%EC%88%9C%EB%A1%80-%EC%84%B1%EC%A7%80-%EA%B0%80%EB%A7%B9%EC%A0%90-%EC%95%88%EB%B0%9B%EB%8A%94-%EC%9D%B4%EC%9C%A0-%EC%9D%B4%EA%B2%83-%EB%95%8C%EB%AC%B8%EC%9D%B4%EC%A3%A0-%EB%82%A8%EB%8F%88%EB%82%A8%EC%82%B0/ar-AA1gKmis?ocid=msedgdhp&pc=U531&cvid=c6ffa7839daa48ff92cf50b8fbbfaba6&ei=7|#]] * 이탈로브라더스(ItaloBrothers)는 이탈리아가 아닌 독일에서 결성된 프로젝트 그룹이다. * [[인터 마이애미]]와 [[인테르]]는 둘 다 이름에 Inter가 들어가 있지만 서로 아무 관련이 없다. 그러나 전자의 구단주가 그 [[데이비드 베컴]]이고 연고지가 히스패닉들이 많이 사는 [[마이애미]]인지라 스페인어로 이름이 지어져[* 정식 명칭은 클루브 '''인테르'''나시오날 데 풋볼 마이애미(Club Internaćional De Fútbol Miami)] 약칭의 원어 발음이 인테르로 동일해진 만큼 후자가 전자에게 상표권 소송을 걸어 1심 승소했다. * 일부 그룹들 특히 아이돌 그룹의 경우에는 그룹의 세계관 등을 이유로 그룹 이름에 결성 당시에 멤버수를 집어 넣는 경우가 있다. 허나 이런 저러한 사정으로 멤버들이 탈퇴와 일부의 경우에는 영입이 반복되면서 결국 멤버수가 첫 결성 당시 멤버수와 다른 경우가 종종 있어 업계에서는 징크스로 통하고 있다. 이에 해당되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구구단(아이돌)|구구단]] - 9명으로 시작해 8명인 상태에서 해체. * [[나인뮤지스]] - 9명으로 데뷔해 출발해 멤버 변동이 잦았다가 해체 당시에는 4명. * [[B1A4]] - 원래 데뷔 초 5명 그리고 B형 1명, A형 4명이였으나 멤버들의 탈퇴로 A형 3명만 남아있음. * [[DAY6]] - 원래 데뷔 초 6명이었으나, 멤버들의 탈퇴로 인해 현재는 4명. * [[FT아일랜드]] - 'Five Treasure Island' 약자로 데뷔 당시에는 5명이었으나, [[최종훈(1990)|리더]]의 불미스러운 일로 인한 탈퇴로 4명이 되었고, [[송승현]]까지 계약만료로 탈퇴하면서, 현재 멤버수는 3명이다. * [[젝스키스]] - 독일어로 '여섯 개의 수정'이란 의미로 데뷔 당시에는 6명이었으나, 해체 이후 재결합 과정에서 5명[* 멤버인 [[고지용]]이 연예계 은퇴 의사를 밝혔었다. 그 이후 슈돌에 출연해 논란이 일긴 했지만, 고지용의 연예계 복귀와 전혀 관련이 없는 일이었다.] 이후 [[강성훈]]의 각종 구설수와 논란으로 인한 탈퇴 및 계약해지로 지금은 4명이다. * [[파이브돌스]] - 데뷔 당시 5명으로 시작했으나. 최종 해체 당시에는 6명. * [[포맨]] - 2008년 3기부터 멤버수가 3명이다. * [[프로미스나인]] - 2022년 8월부터 8명이다.[* [[Stay This Way]]가 9인 체제의 마지막 활동이 되었다.] * [[피프스 하모니]] - 2016년 [[카밀라 카베요]]의 탈퇴로 4명[* 현재는 활동 중단 상태.] * [[7 MEN 사무라이]]의 멤버는 7명이 아닌 6명이다. * [[히스패닉]] 아이돌 그룹 CNCO는 원래 5명이란 뜻의 스페인어 cinco에서 표기를 따왔으나, 2021년 5월 멤버 한 명이 탈퇴하면서 더 이상 5명이 아니게 됐다. [[https://www.usatoday.com/story/entertainment/music/2021/05/09/cnco-joel-pimentel-band-departure-final-show-announcement-concert/5016743001/|#]] * [[칸쟈니∞]]의 멤버는 5명이다. * [[Weeekly]]는 매일 새로운 1주일의 매력을 보여준다며 구성된 7인조 걸그룹이었고, 각 멤버가 한 요일씩을 맡았지만, 현재는 6명이다. * [[SF9]]은 데뷔 후 9명이었으나, [[로운]]의 탈퇴로 현재는 8명이다. 등등 * [[억섭호]]의 그룹명은 각 멤버들의 이름을 따서[* [[안하현|안재'''억''']], [[조우남|조'''섭''']], [[유준호|유준'''호''']].] '억섭호'라는 이름으로 짓게되었는데, 멤버 중 [[안하현|안재억]]과 [[조우남|조섭]]이 각각 [[개명]]을 하여 억섭호라는 그룹명 뜻은 아무런 의미가 없어졌다. * [[장덕철]]은 솔로가 아니라 세 멤버('''장'''중혁, 강'''덕'''인, 임'''철''')의 한 글자씩 따서 지은 발라드 그룹이다. * [[쟈니스 사무소]]는 2019년 설립자 [[쟈니 키타가와]]가 타계한 후 그의 유족들이나 측근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데, 그들 중 쟈니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없다. 이후 [[쟈니 키타가와 연습생 성착취 파문]]이 나며 결국 사명을 바꿨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약칭 [[민주노총]])은 '''민주'''당계 진영이 아닌 [[진보]] 성향이다.[* 다만 민주노총 출신 인물 중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있긴 하다.] * [[제국의아이들]]의 약칭 ZE:A(제아)는 [[제아(브라운아이드걸스)|여성 가수 제아]]와 아무 관련이 없다. 후자는 '''제'''일 '''아'''름다운 목소리의 약칭이다. 그러나 약칭이 서로 겹치는데다 후자가 전자보다 4년이나 선배인 만큼 후자 측의 팬덤과 소속사에서 반발을 받았다. 이에 황광희가 제아에게 그 때 자기들이 싫었냐는 질문을 하기도 했다. * [[중세게임 마이너 갤러리]]는 이름과 달리 중세시대 배경의 게임 뿐만이 아닌 대부분의 게임, 그 중에서도 스팀게임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갤러리이다. * [[징기스칸(그룹)|밴드 징기스칸]]의 그룹명은 몽골의 국부 [[칭기즈 칸]]에서 따왔지만 정작 그룹의 멤버들 국적은 몽골이 아닌 독일(결성 당시는 서독)이다. 그래서인지 한국은 독재 정권 시절에 침략자를 미화했다는 이유로 이 그룹의 상징곡인 징기스칸 노래를 금지했었다. [* 정작 멤버 중 하나인 레슬리 만도키는 [[88 올림픽]] 때 반려자를 만나 함께 한국을 기념하는 노래 Korea를 냈다.] * [[칭하이 무상사 국제협회]]는 [[칭하이성]]과 아무런 연관이 없다. 교주가 [[대만]]에서 승려 생활을 할 때 받은 이름이라고 하며, 실제로 이들의 본거지도 대만에 있다. * [[레이디바운스]]의 [[카프리(레이디바운스)|카프리]]는 [[카프리#s-2|카프리 맥주]]에서 따온 것이 아닌 주스 음료 [[카프리 썬]]에서 따왔다.[* 그래서 영어 표기도 주스와 같은 'Capri'이다. 맥주 카프리는 'Cafri']이다. 이에 대해 카프리 본인도 카프리 맥주를 좋아해서 그렇게 지었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 카페 [[타진요 사태|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는 실제로는 [[타블로]]가 진실을 말해도 믿지 않았다. * 팀 하딘 트리오는 [[미국]]의 가수 팀 하딘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일본]]의 [[재즈]] 밴드이다. * 국제 커플 유튜버 [[패밀리김]] 채널에는 처가 피오레시 일가의 인물들의 비중이 더 높다. * 펜실베이니아 더치(Pennsylvania '''Dutch''')는 네덜란드계 미국인이 아닌 [[독일계 미국인]] 집단이다. 그래서 요즘은 펜실베이니아 저먼(Germa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포미닛]]은 멤버 수가 4명이 아닌 5명이었다. 사실 이 그룹 이름 뜻은 '무대에서 펼치는 4분 안에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뜻으로 멤버들이 1분을 구성한다는 의미가 아니긴 하다. 하지만 '4minute'이라는 명칭 때문에 4인조 그룹으로 자주 오해받았다. * [[푸시캣돌스]]는 '야옹이[* [[고양이]]의 [[유아어]]] 인형들', 혹은 '예상외로 친근한 인형들'이란 뜻이지만, 실제로는 늘 선정성 논란을 달고 다녔던 섹시 컨셉의 그룹이었다. * [[프로듀스 101]]과 [[프로듀스 101 시즌2|그 시즌 2]] 및 [[프로듀스 X 101|시즌 X]]는 참가한 연습생 수가 101명이었지만 [[프로듀스 48]]은 참가한 연습생 수가 48명이 아니라 96명이다. 따라서 인원수를 생각한다면 '프로듀스 96'이 되어야 하겠으나, [[48그룹]]과의 콜라보로 나온 아이돌 서바이벌이기 때문에 48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참가 연습생 수는 48*2=96명.[* 초기 기획으로는 양국의 참가자를 각각 48명으로 맞추려는 계획이었지만 한국 쪽의 지원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한국 연습생이 더 많은 채로 시작했다.] * [[하겐다즈]]의 '하겐'이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유래된 거라 덴마크 회사처럼 들리지만, 이 브랜드는 미국 브랜드에 아무런 의미가 없는 단어라고 한다. 참고로 외국에서도 국적 혼동이 있는 회사다. * [[한스밴드]]는 한씨가 아니라 한○ 돌림자를 쓰는 김씨 자매들로 이뤄진 밴드다. * [[화천대유자산관리]]는 [[화천군]] 및 [[대유위니아그룹]]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 [[환불원정대]] 이름과 달리 [[엄정화|멤]][[이효리|버]][[제시(가수)|들]][[화사(마마무)|은]] 환불을 잘 못 한다고 한다. * [[AB6IX]]는 그룹명이 AB6IX이지만, [[혈액형]] AB형인 멤버가 없고 멤버도 6명이 아닌 4명이다. 게다가 이 팀은 데뷔 때부터 멤버가 6명이 아닌 5명이었다. 사실 AB6IX의 그룹명은 '''A'''bove '''B'''randnew '''SIX'''의 약자이며, 그룹명의 6은 5+1, 즉 '''멤버들+팬덤'''을 뜻한다. * [[APRIL]]은 4월이 아닌 8월에 데뷔했다. * [[킨키키즈]]는 2019년 이후 중년의 나이로 접어들었으며, 멤버 [[도모토 츠요시]]와 [[도모토 코이치]]는 흔하지 않은 성씨(堂本)를 공유하는 등 여러모로 공통점이 매우 많지만[* 출신 지방, 가족 구성원과 그들의 이름, 입소 계기, 성격 등] 서로 아무런 혈연 관계는 없다. 일본에서도 오해를 받는다고. * [[BISHOJO LABEL]]은 [[레이블]]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음반사가 아니다. * [[Dplus KIA]]는 [[기아]]의 네이밍 스폰서만 해당하며,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의 공식 스포츠단에 취급되지 않는다. * [[IZ]]와 [[IZ*ONE]]은 서로 관련없다. 소속사도 각각 뮤직K엔터테인먼트와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로 다르다. * [[King & Prince]]의 멤버들은 부자지간이 아닌 또래 사이다. * [[KINGDOM(아이돌)|KINGDOM]]은 [[로드 투 킹덤]]과 [[킹덤: 레전더리 워]]에 출연하지 않았다. 게다가 로드 투 킹덤이 방영할 때는 데뷔하기 전이었다. * [[NiziU]]의 Nizi는 일본어로 무지개(虹)란 뜻이지만, 이 그룹 멤버들은 무지개의 색 수인 7명이 아니라 9명이다. * [[NoCopyrightSounds]]에는 저작권이 있다. 개인에게만 무료이고, 라이선스를 받아야 상업적으로 쓸 수 있다. * [[Official髭男dism]]은 수염을 기른 멤버가 하나도 없다. * 일본의 아이돌 그룹 [[Perfume]]과 한국 걸그룹 [[퍼퓸#s-6.1]]은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전자 소속의 한류에 관심 많은 멤버가 후자를 언급한 적은 있다. * [[SG워너비]]는 원래 포크 락 그룹인 [[사이먼 앤 가펑클]](SG)처럼 되고 싶다(Wannabe)는 의미로 지어진 예명이지만, 많은 대중들이 기억하는 이들의 전성기 시절 노래들은 포크 락과는 별 관련이 없다. 다만 6집부터는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며 컨트리 등을 시도하며 어느 정도 연관성이 생겼다. * [[Sexy Zone]]은 구역 이름이 아닌 일본의 아이돌 그룹 이름이다. 실제로 이들을 모르는 외국인들이 이들이 나온 광고판의 Sexy Zone이라는 글자에 흥미를 느끼고 기념 사진을 찍기도 한다. * [[SixTONES]]는 표기와 달리 실제로는 [[스톤즈]](S(ix)TONEs)라고 읽는다. 식스톤스라고 읽던 적이 아예 없던 건 아니지만, 발음의 용이함을 위해 일부러 ix 부분을 묵음 처리한 것. * [[SMiLE.dk]]는 덴마크 도메인(.dk)가 붙었지만 멤버들의 국적은 덴마크가 아니라 스웨덴이다. * 일본의 보이그룹 [[Snow Man]]은 눈사람과는 아무 관련이 없고, 원래 이름도 Mis Snow Man으로 멤버들의 이니셜을 따 만든 것이었다고 한다. 도중에 멤버 교체가 워낙 잦기도 해서 더더욱 관련이 없어졌다. * 그룹 [[TOKIO]]에는 [[도쿄]] 출신 멤버가 고쿠분 타이치 한 명밖에 없다. * [[Travis Japan]]은 약칭이자 애칭인 '''토라'''쟈[* 그래서 虎者라는 연극을 매년 하기도 한다. 읽는 방법은 동일.]에서 따와 [[호랑이]]를 팀의 상징으로 쓰지만, 이 팀에는 현재 [[호랑이띠]]인 98년생 멤버가 없다. ~~그래도 데뷔는 2022년 호랑이의 해에 했다~~ 그리고 이 그룹의 멤버들은 모두 일본인으로 인도네시아의 원주민들 중 하나인 토라쟈 족(Toraja)과도 아무 관련이 없다. [* 다만 [[카와시마 노에루]]는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배했던 나라 [[네덜란드]]의 혼혈이긴 하다.] * 그룹 [[V2#s-6]]의 멤버는 두 명이 아니다. 원래는 [[양준일]] 한 명을 중심으로 결성된 프로젝트 그룹이며[* 1집 활동 당시에는 두 명의 여성 댄서(훗날 양준일의 언급에 따르면 당시 소속사 연습생이었다고 한다.)를 포함해 세 명 이었다. 그 후, 기획사 사정으로 팀 자체가 와해되어 V2로서의 두 번째 활동을 볼 수는 없었으나, 아마 양준일을 제외한 멤버만 바뀌는 식으로 활동하는 방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름의 뜻 또한 '양준일 version 2' 즉, 양준일 두 번째 버전이란 의미로, 양준일이 1990년대 데뷔 당시에 솔로로 활동한데에 이어 두번째로 활동한다는 의미를 암시하고 있다. 심지어 V2가 양준일의 단독 예명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당시 양준일이 썼던 예명은 'JIY'로 'Joon Il Yang'의 약자이다. * 걸그룹 [[VIVIZ]]는 '비비즈'가 아닌 '비비지'로 읽는다.[* 일반적으로 'Z'가 끝에 오는 경우에는 '즈'로 읽는다.] * [[XG]][* 여러 [[XG/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등으로 “세계 진출을 위해 [[한국]]과 [[K-POP]]을 이용만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있는 걸그룹이다.]와 [[YG엔터테인먼트]]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XG의 일부 멤버가 YG엔터테인먼트 사옥에 방문한 적은 있다. * [[XG]]와 [[XY(아이돌)|XY]]는 아무 관계가 없다. 전자는 에이벡스, 후자는 [[Yoshiki]]가 만든 그룹이다. * [[윤하]]의 팬클럽 [[Y.HOLICS]]는 표기와 달리 Y부분을 묵음 처리하여 '홀릭스'라고 읽는다. == 가상 인물 및 단체 == {{{+1 '''<주의사항>'''}}} * '''실제로 헷갈릴 수 있는 것만 써야 하며 상식적으로 헷갈릴 수 없는 말장난은 절대로 쓰지 말 것''' '[[노비 노비타]]는 [[노비]]가 아니었다', '[[히로빈]]은 [[히로인]]이 아니다.' 등. * '''지명과 이름의 발음이 같은 사례도 절대 쓰지 말 것''' '[[스오토메 아이|한수지]]는 [[수지구]] 출신이 아니다', '[[사쿠라다 네네]]는 [[네네츠 자치구]] 출신이 아니다' 등. * '''국명과 이름이 같은 사례도 쓰지 말 것''' '[[로디(뽀롱뽀롱 뽀로로)|로디]]는 [[로디지아]] 출신이 아니다' 등 * '''이름을 통해 단체나 가상 인명을 __비하하는 예시는 작성하지 말 것__''' * '''혼동의 여지가 없는 사례는 [[특이한 이름]] 문서에 작성할 것''' === 개인 === 창작물에서는 일부러 [[역설]]적으로 캐릭터 이름을 짓는 경우도 있다. [include(틀:스포일러)] * '''[[감자(소설)|감자]]의 복녀''': 문학에서 '역설적 작명'하면 가장 먼저 언급되는 캐릭터. '복있는 여자'라는 이름과는 전혀 다르게 비참하게 삶을 마감한다. * [[가면라이더 위자드]]의 [[팬텀(가면라이더 위자드)|팬텀]] [[발키리(가면라이더 위자드)|발키리]]: 어원과는 달리 변신자는 남자이다. * [[가면라이더 아마존즈]]의 [[마모루(가면라이더 아마존즈)|마모루]] : 마모루의 속뜻은 일본어로 "지키다" 혹은 "막다"라는 뜻으로, 1기에서는 그나마 그럭저럭 이름값을 했지만 2부부터는 '''[[이즈미 나나하|오리지날]]의 잘린 팔을 아로마 오존에 집어 넣어 용원성 세포를 퍼뜨려 무고한 인간들을 아마존으로 전염시키는 테러를 범했다'''. 스스로의 비뚤어진 사적인 복수심 때문에 원래 동료들인 구제반의 설득을 반박한 것도 모자라 [[아마존(가면라이더 아마존즈)|동족]]들을 [[인류의 적]]으로 몰고간 천하의 [[매국노]]짓을 저지른다. * [[가우스전자]]의 사악한: 실제로는 전혀 사악하지 않고 매우 소심하며 착한 인물이다. * [[갓 오브 하이스쿨]]의 [[한대위]]: '한'씨 성을 가진 '대위' 계급의 장교가 아니라 그냥 성은 '한', 이름이 '대위'인 학생이다. * [[거지 키우기]]의 주연 거지: 이름만 거지. 용쓰면 막 '''몇 경씩 벌어들이는''' 놈이다. *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의 주인(견)공 [[커리지]]는 이름의 뜻(Courage: 용기)과는 달리 겁이 많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이름값 하는 용기를 보여준다.] * [[고블린 슬레이어]]의 [[검의 처녀]]: 들고 있는 장비가 검이 아니라 '''검 모양의 지팡이'''이고 과거 '''고블린들에게 잡혀 강간당한''' 적이 있어서 처녀가 아니다.[* 다만 원래 처녀는 미혼 여성을 지칭하는 단어라서 이 관점에서는 실제와 다른 게 아니다.] 때문에 팬덤에서의 별명은 검과 처녀를 뺀 '의'. * [[귀멸의 칼날]]의 [[시나즈가와 겐야]]: 성에 불사(不死)라는 한자가 담겨있는데, 정작 본인은 무잔을 처리하기도 전에 [[카마도 탄지로|동]][[아가츠마 젠이츠|기]][[하시비라 이노스케|들]] [[츠유리 카나오|중]] 유일하게 사망했다. * [[그리스 신화]]의 [[판도라]]: 이름의 뜻은 '모든 선물을 받은 자'이지만, 이름과 달리 인간 세상에 온갖 재앙을 가져다 준 장본인이다. *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의 등장인물 [[극한직업(영화)/등장인물#s-2.6|'테드 창]]'은 '[[창(성씨)|창]]'씨[* '창'이란 성이 중국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이긴 하지만, 한국에서도 드물게나 있는 편이다.] 아닌 '이'씨이다. 본명은 이창식. 실제로 극중에서 이무배([[신하균]] 扮)가 테드 창에게 "너 이름 이창식이잖아, 너 영어 이름 지을 줄 모르지??"라며 디스하는 장면도 나온다. * 영문법 만화책 '딱 한 번 읽고 끝내는 기적 같은 영문법'의 남주인공 오리의 종족은 오리가 아닌 사람이다. 실제로 작중에서도 이를 언급한다. * [[김근육 시리즈]] * [[김근육]]: 이름 김근육과 달리 근육이 많은 편이 아니다. * [[탈모탄 조]]: M자탈모와 관련된 별명으로 많이 불리고 바리에이션이 나올 때 엠자00라는 별명으로 많이 불리지만[* 최근에 나오는 바리에이션에는 00탄조라는 별명으로 많이 나온다.] 정작 M자탈모가 아니다, 오히려 다른 등장인물들인 [[눈물의 요정]]과 [[강력한]]이 M자 탈모에 가깝다. * [[나나오 아카리]]의 [[다천사]]: 이름부터 타천사를 의미하지만 그냥 전형적인 천사의 외형에 가깝다. * [[내과 박원장(드라마)|내과 박원장]]의 지민지: 이름과 달리 남자이다. 사실 본명이 아닌 개명한 이름인데, 산부인과라는 진료과목 특성상 여자 환자들이 남자 선생님을 싫어한다는 이유로 이름을 여자 이름으로 바꾼 것이다. * [[단숨에 깨치는 과학상식|궁금해 우리문화]]의 구절판: 이 [[구절판]]의 의미가 아니라 성은 [[구씨]]고 '''절'''대로 '''판'''사 앞에 잡혀서 가지 말라고 지어진 이름이다. * [[날아라 호빵맨]] * [[호빵맨]] : 국내판 한정으로 호빵이지만, 사실은 단팥빵이다. * [[크림판다]] : 진짜 판다가 아닌 그냥 판다눈을 가진 빵 캐릭터이며, 다른 일반적인 캐릭터와 달리 맨이나 소년이 없을 뿐이다. * [[납작이(방구석에 인어아가씨)|납작이]]는 이름과는 달리 납작하지 않다. * [[내 사랑 깨몽]]의 조연 유버들은 이름과는 달리 비만형 체구의 여중생. * [[너에게 닿기를(만화)|너에게 닿기를]]의 [[쿠로누마 사와코]]: 이름인 사와코(爽子)의 뜻은 상쾌한 아이정도의 의미로 해석되지만 본래 성격은 상쾌함과는 거리가 먼 편. *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조개소년]]은 사실 [[조개]]와는 관련이 없고, [[따개비]]와 관련 있다.[* 이는 한국판 로컬라이징에서 나온 실수이다.] * '''[[달인(개그콘서트)|달인]]''':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코너가 계속 진행되면서 '''진짜 달인'''이 되어갔다.[* 원래 자칭 달인인 김병만이 말도 안되는 허세를 부리면 인터뷰하는 류담이 신기해하다가 김병만의 실체(하나도 못함)이 드러나고 류담이 머리를 때리며 "나가!"라고 하는게 패턴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애드립인지 김병만이 말로만 하던 말도 안되는 짓을 '''실제로 해버리면서''' 컨셉이 바뀌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는 실제로 운동능력이 뛰어난 김병만이 묘기대행진을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단, [[달인(개그콘서트)/에피소드|달인의 호]]는 진짜 명성과 걸맞지 않게 역설적인 것이 맞는다. * [[더 글로리]]의 [[이사라(더 글로리)|이사라]]는 이름의 유래인 [[사라#s-1]]와는 정반대로 학교폭력 상습 가해와 마약 투약, 탈세, 살인미수 등을 저지른 중범죄자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매츄어]]: 매츄어(Mature)는 늙었다는 뜻으로도 해석이 되는데 KOF의 매츄어는 28살이며 오히려 동안이다. * [[미스터 빅(SNK)|미스터 빅]]: 물론 평균보다는 키가 큰 편이지만 '미스터빅보다 큰 캐릭터들도 아주 많다.' 미스터 빅은 이름의 뜻은 크다면서 정작 체격은 [[나나카세 야시로]]보다도 작다. 뒷세계의 큰 형님이라서 미스터 빅이라고도 해석하기가 힘든 것이 [[기스 하워드|뒷세계의 진짜 큰형님]]은 따로 있다. * [[킹(SNK)|킹]]: 이름과 달리 여자이다. * [[후토스]]의 [[시로]]: [[하얀색|하얗지]] 않다.[* 일본어로 하얗다는 뜻의 '시로'가 아니라 '싫어'를 변형시킨 이름이다.] * [[던전앤파이터]] * 얼음 궁전의 코코넛 모히니는 실제로 코코넛을 본 적도 없다. [* 당연한 것이 코코넛은 열대 지방 음식인데 모히니는 설산에서 태어나 어릴 적 얼음여왕 로시에게 납치됐기 때문에 설산을 벗어난 적이 없다.] * 라비나와 [[민타이]] 남매는 누나와 남동생이 아니라 오빠와 여동생이다. [* '라비나'는 원래 여성 이름으로 더 많이 쓰이며 민타이는 러시아어로 '명태'다.] * [[미카엘라(던전 앤 파이터)|미카엘라]], [[지젤 로건]]은 여성이 아닌 남성이다. * [[동방 프로젝트]] * [[메디슨 멜랑콜리]]: 이름은 약(Medicine)이지만 실제 다루는 능력은 독. 전체적인 이름이 "우울한 약"이란 의미를 담고 있어서 일종의 반어법이라 할 수 있으며, 독과 약이 종이 한 장 차이임을 드러내기도 한다. 실제로 작중에서도 [[야고코로 에이린|어떤 약사]]하고 엮이기도 하고. * [[쿠로다니 야마메]]: 이름은 [[산천어]]인데, 실제 종족은 [[츠치구모]]. 참고로 종족명이 이름인 캐릭터는 사토리와 누에가 있다. 물론 누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곤충 '[[누에]]'가 아니라 요괴 누에이다. * [[미야코 요시카]]: 이름의 한자 표기는 방향(芳香)인데, 종족은 향기와는 거리가 먼 강시(=시체). 이름의 유래는 헤이안 시대의 미야코노 요시카(都良香)이지만 한자 표기가 芳香인 것은 역시 역설적 명명의 일환일지도. * [[동백꽃 필 무렵]]의 양승엽[* 담당 배우는 [[이상이]].] - [[이승엽|현실의 레전드 야구선수]]와 이름이 같지만, 이름과는 달리 야구로는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다.[* 실제로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란에 대놓고 언급되어 있다.] * [[디바인(유희왕)|디바인]] - 드랙퀸 배우 디바인과 마찬가지로 뜻은 '신성한'이지만, 작중에서는 빌런이다. * [[뚱딴지(김우영)|뚱딴지]]에 나오는 뚱딴지의 [[여동생]] 뚱순이는 [[이름]]과는 달리 날씬한 여자아이다. 이름은 그저 오빠 이름의 [[돌림자]]를 따른 것일 뿐이다. * [[도토란]]은 작중에서 '도박사'라고 불리지만 [[도박사]]가 아니라 대학의 고고학 교수다. * [[듀라라라!!]]의 [[헤이와지마 시즈오]]: 이름의 뜻을 풀이하자면 대략 '평화로운 섬의 조용한 남자'쯤이 되는데, 정작 본인은 평화와 조용함과는 거리가 먼 난폭한 남자다. * [[드래곤 길들이기]]의 [[투슬리스]]는 이빨이 없다는 뜻이지만 이빨은 멀쩡히 달려있다.[* 사실 이빨을 잇몸에 숨겼다가 필요할 때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히컵 호렌더스 해덕 3세|히컵]]이 투슬리스에게 먹이를 주려다가 이빨이 없는 걸 보고 '어라, 이빨이 없네?(Huh, Toothless?)' 했다가 이빨을 꺼내자 놀란다. 한편 원작 소설에서는 진짜로 이빨이 없다. 아직 어려서 이가 자라는 중이기 때문이다.] * [[드래곤볼]]의 인조인간 중 쌍둥이 남매인 [[인조인간 17호]]와 [[인조인간 18호]]는 숫자가 늦은 18호가 누나고 17호가 남동생이다. *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 라이브 플래쉬의 주인공 빅토르 플라사(Victor Plaza)의 이름은 '승리의 광장'이란 뜻이지만, 실제로는 인생에 행복했던 적조차 거의 없다는 설정이다. [* 태어나기부터 미혼모였던 홀어머니가 혼자서 아기를 낳으려던 것을 보다 못한 집주인 아주머니가 병원에 데려가 주려고 태워준 버스에서 태어났다. 참고로 이 장면을 연기한 두 여배우는 다름아닌 [[페넬로페 크루스]]와 그녀의 시어머니가 되는 필라르 바르뎀. 참고로 이 영화에 필라르의 아들이자 페넬로페의 남편이 될 [[하비에르 바르뎀]]도 나오며, 2021년 시모상을 당한 페넬로페가 이 장면을 찍던 사진을 올리며 시어머니를 추억하기도 했다.] * [[라이온 수호대]] * 마키니: 스와힐리어로 '조용한', '침착함' 이지만 성격은 정반대로 상당히 시끄럽고 활발하다. * 타마: 스와힐리어로 '욕심' 이라는 뜻이지만 딱히 욕심이 많은 성격은 아니다. 도둑질을 했던 것도 먹고 살기 위해서 그랬을 뿐. * 아스투토: 이탈리아어로 '교활한' 이라는 뜻이지만 딱히 그런 이미지는 없는 선역 측 캐릭터이다. * [[러브 라이브! 선샤인!!]] * [[쿠로사와 다이아]]: 이름은 [[다이아몬드|다이아]] 이지만 [[1월 1일]]이 생일인 다이아는 [[탄생석]]이 [[석류석|석류석(가넷)]]이다. * [[쿠로사와 루비]]: 이름은 [[루비]] 이지만 [[9월 21일]]이 생일인 루비는 [[탄생석]]이 [[사파이어]]이다. * [[레인보우 팔레트]] * 명랑: 실제성격은 어둡고 음침하며, 명랑한 구석이 전혀 없다. * 금지: 단호한 성격은 커녕 겁이 많고 [[우유부단]]한 성격에 가깝다. * [[록맨 시리즈]]의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블루스]]는 파란색이 아니라 붉은색이다. 사실 [[블루스]]라는 음악 장르에서 따온 것. * [[록맨 제로 시리즈]] - [[엘피스(록맨 제로 시리즈)|엘피스]]는 희망을 뜻하는 단어이나 그 인물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절망만 남겼다. * [[루크레치아 노인]]: 독일어로 9를 뜻하는 단어 Neun이지, 노인(老人)이 아니다. 실제로는 젊은 여성이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The White'라는 뜻이지만 '''검은'''장미단의 수장이며 옷도 [[검은색]]이다. * [[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판테온]]: 원래 이름의 유래는 만신전(萬神殿)이지만 신도 아니고 신관도 아니다. 오히려 신의 힘에 맞서는 인간 포지션. * [[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모르가나]]의 이명은 타락한 천사이지만 모르가나는 타락은 커녕 딱히 악인도 아니다. 그의 언니인 케일의 추종자들이 부르는 멸칭이지. * [[트린다미어]]의 이명은 야만전사 왕이지만 그가 속한 아바로사 부족은 호전적인건 몰라도 딱히 야만적이진 않다.[* 프렐요드에서 가장 진보한 부족이 프렐요드를 통합한 아바로사 부족이다.] * [[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질리언]]의 이명은 시간의 수호자지만 시간 마법을 연구할 뿐 시간을 수호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 [[갈리오]]의 이명은 위대한 석상이지만 갈리오는 돌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페트리사이트라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아이언맨과 비슷한 사례. * [[마리오 시리즈]]의 [[좀비쿠파]]: 좀비라는 이름과 달리 그로테스크한 외모도 잡아먹지도 남을 감염시키지도 않는다. 이는 [[한닌]]측에서 벌인 오역으로 한국을 제외한 타국의 명칭은 전체적으로 '뼈'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영문명칭은 Dry Bowser인데 그냥 보면 뼈라는 의미가 없어보이지만 같은 종인 와르르(Dry Bone)의 이름을 따라 맞춘 것으로 뼈라는 의미를 간접적으로 살린 것이다.[* 애초에 Dry는 '마르다'를 뜻하며 살이 마르면 뼈로 남기 때문에 영문명칭도 의미가 통한다.] * [[마블 코믹스]]의 [[퀵실버]]는 [[수은]]과는 관계가 없다. 단지 빠르고(Quick) 은발(Silver)이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 [[마음의소리]]의 '[[마음의소리/등장인물|서울대]]'는 [[서울대]] 출신이 아니다.[* 서울대의 과외로 '''낚시'''를 한 정황으로 보아 서울대 출신은 아니다.] * [[마호라바]]의 [[아오바 코즈에]]는 인격이 변함에 따라 눈 색깔도 해당 인격의 성씨에 맞춰 변하지만[* 아카사카 사키: 빨간색, 카나자와 나나코: 금색, 미도리카와 치유리: 연두색, 콘노 나츠메: 남색] 주 인격인 코즈에의 눈은 성과 다르게 초록색이다. 머리 색과 교복 때문에 전체적으로 파란색 이미지이긴 하다. * 만화 교과서 과학 5학년에 등장하는 경주공룡 굼벵이는 가장 빨리 달린다는 설정이다. * [[맨땅에 헤딩(드라마)|드라마 맨땅에 헤딩]]의 남주인공 차봉군은 처음에는 [[차범근]]과 이름만 비슷할 뿐 최다 퇴장 선수로 꼽히는 등 골칫덩어리로 묘사됐다. * [[메이플스토리]] * 크로스헌터의 수장 게렉터가 키우는 개 해피는 사랑스러운 이름과는 달리 엄청난 맹견이다. * 아랫마을의 NPC 심봉사는 맹인이 아니라 성이 심씨고 이름이 봉사인데, 나이가 들어 시력이 현저히 떨어졌다는 설정이다. * 버섯의 성의 NPC 존 재감은 존재감이 매우 없다. * [[명탐정 코난]] * [[모리 코고로]](毛利 小'''五郞''')에게는 ~~아직까지는~~ 형들이 없다. * [[핫토리 헤이지]](平'''次''')에게는 ~~아직까지는~~ 형이 없다. * [[다시 살아나는 죽음의 전언]]의 피해자는 지인 중 하나를 모종의 이유로 왕따라고 불렀지만, 실제 왕따는 그가 아니라 바로 피해자 자신이었다. * [[노래방 살인사건]]의 여성 용의자 중 하나는 못생겼다는 의미에서 '메주'라고 불리지만 작중 시점에서는 미인이다.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의 [[물의 가로윈]]: 물의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상징하는 팔괘는 '늪, 호수'를 뜻하는 태(☱) 괘이다. * [[목욕의 신]]의 최장신: '''최[[단신]]'''.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무모협지]]의 풍성모: '''대머리'''다. ~~엉엉~~ * [[미녀와 야수(2017)]]의 [[르푸]]: 원작과는 달리 실사영화에서는 프랑스어로 '미친 사람, 정신병자'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과는 달리 '''작중 빌런인 개스톤이 정신병자로 보일 정도인 정상인이다.''' * [[미스코리아(드라마)|미스코리아]]의 정선생: 이름은 정선생이지만 사실은 조폭계에 종사한다. 부모님께서 선생님 되라고 지어준 이름인데 결국 선생은 커녕 건달이 되어 버렸다. * [[바카노!]]의 [[마이저 아발로]]: 이름은 [[구두쇠]], 수전노라는 의미. 하지만 작중에서 구두쇠 같은 모습은 보여준 적이 없다. * [[바쿠만]]의 [[아시로기 무토]]가 지은 만화인 [[PCP]]의 등장인물인 도모토 마코토(道本真), 토쿠나가 미노루(德長實)의 이름의 앞 부분과 뒷 부분을 하나씩 합치면 도덕(道德)과 진실(眞實)이지만 사람을 피해 완전 범죄를 계획하는 행동을 하는 지라 거리가 멀리지만 의도적으로 이름을 반대로 지은 것이다. * [[반지 시리즈]]의 [[진냠냠]] - 이름과 다르게 편식이 심하다. * [[백설공주]]는 피부가 눈처럼 하얗다고 해서 백설공주이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영화)|디즈니 실사영화]]에서 백설공주 역을 맡은 [[레이첼 제글러]]는 [[폴란드]]인과 [[콜롬비아]]인에게서 태어난 [[히스패닉]] 혼혈이다.[* 실제로 캐스팅이 공개되자 그녀가 백설공주를 맡은 것에 대한 대중들의 반발이 거셌다.] * [[보더랜드 2]]의 [[핸섬 잭]]의 본명은 '잭'이 아니며, 핸섬 잭의 얼굴은 본래의 흉측한 원래 얼굴을 가리기 위한 가면이다. '생츄어리'의 어느 여성 NPC는 가면을 쓴 얼굴조차 그다지 잘생기지 않았다고 평했다. * [[보석비빔밥]]의 피혜자: 이름은 '피해자'를 연상케 하지만 정작 본인이 집안에 피해를 끼치고 다닌다. --아마 피해를 입히는 자라서 피혜자인 듯.-- * [[뷰티풀 군바리]]의 [[차하얀]]: 이름과 달리 매우 까만 피부와 머리를 가지고 있다.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복면가왕에서 복면가수들이 쓰는 닉네임은 실제와 다른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다만 최근에는 닉네임과 가면에 복면가수들에 대한 힌트를 넣는 경우가 많다.] * [[상암동 호루라기]]는 상암동에 사는 것 같지만 사실 송파구에 산다. * [[미스터리 도장신부]]와 [[경국지색 어우동]]은 여자가 아닌 남자다(...) 반대로 [[최첨단 생체 노래 기술 탑재! 천하무적 히어로 600만불의 사나이]]는 남자가 아닌 여자다(...) * [[해외파 뮤지션 마이콜]]은 해외 유학 경험이 없다. *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는 여자가 아닌 남자다. 심지어 가면과 복장 또한 방독면+힙합 스타일로 꾸며 클레오파트라와 아예 관련이 없다. * [[열 아이돌 부럽지 않다! 나는~ 아이둘!]]과 [[오늘 가왕으로 데뷔합니다! 픽미 픽미 픽미 업~ 아이돌!]]은 서로의 가면명과 실제가 반대이다.[* 즉, 아이둘은 실제로는 [[리미트리스(아이돌)|아이돌]]이고, 아이돌은 실제로 자식이 둘이다.] * [[살人스타그램]] * 시즌1의 [[도레미(살人스타그램)|도레미]]는 음악과 아무 관련 없는 직종에 종사하는 성형외과 실장이다. * 귀신살인게임의 [[해리(살人스타그램)|해리]]는 귀신살인게임의 별명인 뚱돼지와는 반대로 늘씬한 몸매의 여성이다. * ~~귀신살인게임의 [[정유현]]은 천사랑의 말의 의하면 게임의 별명인 왕꼬추는 별명과는 반대로 그곳이 크지 않다는 모양이다.~~ * 귀신살인게임의 [[빈(살人스타그램)|빈]]은 게임의 별명인 찌질이와는 반대로 용맹한 소방관이다. * [[삼국지연의]] * [[초선]]은 초씨 성이 아니라 그냥 통으로 된 이름이다. * [[예형]]은 [[하후돈]]을 완체장군(완벽한 몸을 가진 장군)이라 부르는데, 하후돈이 왼쪽 눈을 잃은 것을 반어법으로 조롱한 것이다. ~~장애인 비하~~ * [[생쥐 기사 데스페로]]의 주인공 데스페로는 이름이 '절망'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나[* 원작에서 이 이름은 몸이 허약하게 태어난 데스페로를 보고 오래 살 가망이 없다고 본 그의 부모가 지은 이름이다.] 실제로 작중에서는 희망적인 상황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의 '''검성''' [[아시나 잇신]]은 검 이외에도 다양한 무기들(창, 조총, 번개)을 사용한다. * [[소년탐정 김전일]]~[[김전일 37세의 사건부]] * [[김전일]]은 [[재일 한국인]]이 아니라 [[긴다이치 하지메]]('''金田一''' 一)라는 이름의 일본인이다. 국내 수입시 [[김전일]]로 번안이 되는 바람에 한국 한정으로 그가 재일 한국인인 줄 아는 사람이 많았다. * [[긴다이치 후미]]는 소설가로서의 필명을 자기 이름 띄어쓰기만 다르게 한 카네다 히후미(金田 一二三)라고 한다. 히후미는 통통한 여자를 비하하는 말이라지만 그녀는 키도 크고 늘씬한 글래머다. * [[괴도신사]]는 남성이 아닌 여성이다. * [[유키야샤 전설 살인사건]]의 범인은 야차가 아닌 [[한냐]] 가면을 쓰고 있다. * [[유키카게촌 살인사건]]의 등장인물 중 하나인 타치카와 미야코(太刀川 [[都]])의 이름 뜻은 '수도, 도읍'이라는 뜻이지만, 그녀는 도쿄가 아닌 [[아키타현]]에 산다. * [[연금술 살인사건|후카모리 호타루]] - 이름을 뜻풀이하면 깊은 숲의 반딧불이(深森 蛍)로 순수해 보이며 역시 청순한 인상이지만, 실제로는 범죄를 저질러가면서까지 스타덤에 오르려고 했던 위선자다. *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순결의 여신이지만[* 자기 목욕 장면을 엿본 악타이온을 사슴으로 만들거나 제우스에게 겁탈당한 자기 시녀를 내쫓을 정도다.], 여기의 아르테미스는 수위 높은 노출 장면을 보여주고도 불쾌해하지 않는다. * 아폴론은 사랑하는 사람이 식물인간이 된 사연으로 이 별명을 부여받았지만, 모티프가 된 아폴론과 다프네 이야기와는 달리 그의 애정관계는 짝사랑이 아니었다. * [[소레이관 살인사건]]에서 시라토리('''白'''鳥) 레오는 검은색(黒) 정장을 입고 있고 쿠로하라('''黒'''原) 후토시는 흰색(白) 상의를 입고 있다. 그리고 둘의 작중 역할도 이름과는 정반대다.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 이름은 [[음속]]과 관련이 있지만, 간혹 스스로의 힘만으로 [[광속]]으로 움직일 때가 있다. * [[블랙 암즈]]: 종족명에 블랙이 들어가지만,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게임]]상에서는 피부가 그렇게 완전히 검지 않고 탁한 계열일 뿐이다. 심지어 몸 전체가 금색인 변종도 있다. * [[바빌론족]]: 현재 생존해있는 [[젯 더 호크]], [[웨이브 더 스왈로]], [[스톰 디 앨버트로스]] 모두 '''조류임에도 불구하고 날개가 없다.''' * [[소드 아트 온라인]]의 [[가브리엘 밀러]]: 대천사 [[가브리엘]]에서 따온 이름과는 달리 이상성욕을 가진 사이코패스 악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바사고|악마]]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진 [[PoH|그의 부하]]는 이름값을 하는 인물. * [[써니(영화)]] - 사실 이 영화에는 '''인생은 아이러니하다'''는 주제가 담겨 이런 사례가 좀 있다. * 하춘화 : '봄꽃'이란 뜻의 이름과 달리, 현재 시점에는 암으로 인해 시한부 인생을 살다가 결국 세상을 뜬다. * 류복희 : '복 많은 여자'라는 뜻의 이름과 달리 현재 시점에는 어머니의 사업 실패로 인해 큰 빚을 진 채 외동딸[* 정황상 정식적인 결혼을 통해 낳은 딸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도 시설에 맡긴 채 술집에서 일하며 술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비참한 삶을 살고 있었다. 단, 과거에는 복 많은 여자가 맞았다. * 서금옥 : [[금지옥엽]]을 연상시키는 이름과 달리 현재 시점에는 고된 시집살이와 이로 인한 화병에 시달리고 있었다. 단, 과거에는 정말 금지옥엽이 맞았다. * 김장미 : [[장미]]꽃을 연상시키는 이름과 달리 예쁘지는 않은 외모다. 그리고 현재 시점에는 남편의 사업 실패로 큰 빚을 진 채 보험 설계사로서의 실적 압박에 시달리는 가시밭길 삶을 살고 있었다. * 이인자 : 작중 초반에 상미 일당이 괴롭히던 동급생. 2인자도 아니고 외톨이에 가깝다. * 벼랑([[이금이]]의 청소년 소설) * 혜림이 생전 하던 블로그에서의 닉네임은 [[미네르바]]이지만, 독립적이고 강인한 여성상인 미네르바와는 달리 혜림은 극성 부모 슬하에서 그들의 계획대로만 자라는 현실이 싫지만 대놓고 저항할 수는 없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는 설정이다. * 혜림의 중학교 동창 이진이 [[필리핀]] 어학연수를 하며 묵는 숙소에서 일하는 현지인 청소부 자스민의 남자친구 아론이 모는 말 이름은 알렉산더지만, 볼품없이 빼빼 말랐으며 몸에 이끼까지 뒤집어썼다. [* 이진의 이야기가 실린 단편의 제목 '초록빛 말'은 여기서 왔다.] * [[솔약국집 아들들]]의 브루터스 리는 본명이 아니며, 작중 실제 이름은 브루스 리다. * [[수상한 삼형제]] * 계솔이: 이름의 어감이 [[개소리]]를 연상시키는 것과 다르게 [[팩트폭력]]을 날려댄다. [* 그러나 작중에서는 일부 인물들에게 닉값을 하는 인물 취급 받기도 한다.] * 김건강: 이름과 달리 그다지 건강하지 못하다. * 김순경: 이름과 달리 지구대 경사로 근무하다가 퇴직하였다. * 김이상: 이름과 달리 작중에서 그나마 정상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인물 중 하나다. [* 여기서의 '이상'은 꿈을 의미하지만, 어떤 각도에서 보면 그 의미가 아니게 보이기도 하는 인물이다.] * 전과자: 작중 공식 [[발암 캐릭터]] 중 하긴 해도 실제로 전과자는 아니다. * 주범인: 작중의 현재 시점에서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 * [[수호전]]의 [[학사문]]: 이름이 어머니가 학사문을 임신했을 때 하늘에서 내려온 정목안이라는 별자리를 삼키는 태몽을 꾸고 태어났다고 한다. 정목안은 문(文)을 관장하는 별자리이기에, 이름 역시 사문이 되었다. 하지만 전혀 문과는 관련이 없는 무관이 되었다. * [[슈렉 2]]의 [[챠밍 왕자]]: 이름 자체는 영어권에서 [[백마 탄 왕자님]]을 의미하는 'Prince Charming'에서 유래했지만[* '매력적인 남성', '이상적인 남성상'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는 짓은 마마보이+찌질이 그 자체로 매력적이라는 이름 뜻과는 거리가 멀다. * [[슈퍼전대 시리즈]] * [[임금님전대 킹오저]]의 [[기라]]: 사악한 왕을 자칭하지만 실제로는 사악한 척하는 성군이다.[* 참고로 진짜 사악한 왕은 1부 기준으로 [[라클레스 하스티]], 2부 기준으로 [[우충왕 다그데드 두쟈르단]]이다.] * [[스타워즈 시리즈]]의 [[한 솔로]]: 혼자 다니지 않으며 레아와 결혼했다. * [[스타폭스 시리즈]]의 [[팔코 람바디]]와 [[슬리피 토드]]: 팔코는 이름만 봐서는 매 같지만, 실제 모티브는 꿩이다. 마찬가지로 슬리피도 두꺼비가 아닌 개구리이다. 항목 참조. * [[스터디그룹(웹툰)|스터디그룹]]의 나태만: 인천중부경찰서 형사과 형사. 실제로는 이름과 달리 책임감 있고 열정 넘치는 워커홀릭이다. * [[신병(장삐쭈)|신병]]의 [[정다정(신병)|정다정]]: 이름과 달리 다정함과는 거리가 아득히 먼, 폭력과 병영부조리의 화신과도 같은 인물이다. * 익히 알려진 사실과 달리 [[신데렐라]]는 주인공의 이름이 아니다. 신데렐라의 뜻은 'cinder(타고 남은 재)'+[[엘라]]', 즉 '재투성이 엘라'란 뜻이다.[* 영어판 기준(영어판을 변역한 한국판도 마찬가지.). 실제로는 나라마다 다르고 심지어 이름이 아예 언급 안 된 곳도 있지만, 이름이 언급된 경우에는 각 나라별로 '재투성이'를 뜻하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 [[아이언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아이언맨]]의 슈트는 사실 철로 된 것이 아니다.[* 아이언맨 슈트는 골드 티타늄 합금으로 되어 있으며, 토니가 아이언맨 1편 말미에 정체를 공개하기 직전 대기실에서 신문을 읽으며 자기 입으로 이렇게 말한다. 단 미사일 부품으로 짜깁기한 마크 1은 예외.] * [[아즈망가 대왕]]의 [[카스가 아유무]][* 한칭은 '맹순정'.] - [[오사카부]][* 더빙판에서는 [[부산]]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에서 전학을 와 별명이 '오사카'[* 더빙에서는 '부산댁']인데, 정작 그녀의 생애 중 오사카에서 산 세월보다 [[와카야마현]], [[고베]] 등 타지에서 산 세월이 더 길다. * [[아카메가 벤다!]]의 [[오네스트]]: 이름의 어원은 '정직한, 순수해 보이는'인데 정작 작중 포지션은 '''[[만악의 근원]]'''. *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의 [[카심]]: 이름의 뜻이 '베푸는 자'라는 뜻인데 여기서의 카심은 이기적인 욕심쟁이 이면서 상당한 구두쇠 이다. 오히려 동생인 알리바바가 카심의 이름의 뜻에 더 가까운 성격이다(...). * [[쿵야 시리즈]]의 대표작 [[야채부락리]]의 [[샐러리쿵야]]는 이름과 달리 적양배추를 모티브로 했다. * [[어느 날 공주가 되어버렸다]]의 [[페넬로페 유디트]]: 이름의 뜻은 열녀, 정숙함, 지조인데, 정작 페넬로페는 약혼자 클로드를 배신하고 그의 이복형 아나스타시우스와 불륜을 저질렀다. * [[억수르]]([[개그 콘서트]])의 마르다: 이름과 달리 뚱뚱하다. * [[언니, 이번 생엔 내가 왕비야]]의 지오바나 데 콘타리니: 이름의 뜻은 '신의 선물'이라는 의미인데, 정작 지오바나는 그저 태어나보니 이미 막장 한가운데이며 불행한 인생을 살아갈 예정이다. * [[에빌리오스 시리즈]]의 [[이리나 클락워커]]: 이름인 이리나는 '평화'를 뜻하는데, 평화는 커녕 항상 가는 곳 마다 사고를 일으키고 다니는 '''시리즈 속 메인 빌런''' 이다. * [[에미야 시로]](士郞)는 둘째 아들[* 士郞는 인명으로 쓸 때 둘째 아들([[지로]])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도 넷째 아들[* 인명으로 쓰는 넷째 아들 이름은 보통 '[[시로]]'이다. 다만 한자는 다른 걸(四郞) 쓴다. ]도 아닌 맏아들이다. *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의 [[카운트(에이스 컴뱃 7)|카운트]]: TAC네임이 [[백작]]이라는 뜻이지만 백작이 아니며 귀족 이력은 더더욱 없는 일개 죄수이다(백작을 사칭한 사기꾼). * [[역전재판 시리즈]]의 [[후지미노 이사오]]: [[불사신]](不死身, [[후지미]])인데 죽었다. * [[연애혁명]]의 [[왕자림]]과 [[공주영]]은 [[왕자|이름과]] [[공주|달리]] 성별이 정반대이다. * 드라마 [[열혈사제]]에서 [[이하늬]]가 연기한 [[박경선]]의 극중 세례명은 '[[안젤라]]'인데[* 이하늬의 생일인 [[3월 2일]]이 축일인 성인들 중 한 명이다.], 천사의 의미를 지닌 세례명과 달리 작중 빌런들 중 한 명 이었다. * 영화 '교도소 월드컵'의 '병아리': 신장 2미터, 몸무게 130의 초거구다. * [[오늘도 달콤하세요]] * 캐롯: 이름의 유래는 당근(캐럿)이고, 토끼이지만 정작 본인은 당근을 싫어한다. * 트루디: 작중 트루디의 뜻은 '사랑받는' 이라고 소개되었지만, 본인은 사랑받지 못하고 아빠한테 지속적으로 학대를 받아왔다. * 오영민 작 '백만명에 하나'의 모귀남: 귀한 남자라는 뜻이지만 여자애고, 5자매라 귀하지도 않다. 아들을 바라고 낳기도 전에 이름을 지은 탓. * [[오징어 게임]]의 [[한미녀]]: 미녀도 아니고,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면서 어그로나 잔뜩 끄는 정신병자다. * 개그콘서트 [[봉숭아학당]]의 [[옥동자#s-2]]는 이름과 달리 잘생기지 않았으나, 캐릭터가 인기를 끌면서 '''[[의미변화|아예 단어의 의미 자체를 바꿔 버렸다!!]]''' 심지어 이름이 같은 [[옥동자(마법천자문)|마법천자문의 등장인물]] 또한 작중 세계관 공인 추남이다. * [[왕가네 식구들]]의 왕돈: 이름과 달리 가진 돈이 별로 없다. * [[외모지상주의(웹툰)]]의 원빈 교관: 실존인물 [[원빈]]과는 달리 '''추남'''이다.[* 실존인물 원빈은 예명이지만, 원빈 교관은 '''본명이다.'''] 다만 인성으로 따지면 '''이 웹툰의 개념인 top3에 들어간다.''' * [[원신]]의 [[여행자(원신)/미선택성별|아이테르/루미네]]: 플레이어에게 선택받지 못하는 쪽 한정으로 적용된다. 이름의 뜻은 각각 '하늘', '빛'이지만 작중 흑막 중 하나인 '''심연 교단의 수장'''이 된다. * [[원피스(만화)|원피스]]의 [[티라노사우루스]]: '''[[래트|흰쥐]]'''다. 해당 항목의 3번 참조. * [[울트라 시리즈]] * [[울트라맨(1966)|울트라맨]]의 [[해골괴수 레드킹]]: 이름에 붉은색이 들어가지만 전혀 붉은색이 아니고 오히려 금색에 가깝다.[* 다만 울트라맨 파워드에서는 붉은색 레드킹이 나왔고 강화형인 EX 레드킹은 붉은색을 띤다.] * [[울트라맨(1966)|울트라맨]]의 [[우주공룡 젯톤]]: 이명이 '우주공룡'이지만 정작 모습은 공룡보다는 벌레에 더 가깝다. * [[울트라맨 에이스]]의 [[느림보초수 마하레스]]: '느림보초수'라는 이명과는 달리 작중에서 민첩한 모습을 보여줬다. * [[웃어라 동해야]]의 주인공 동해는 [[SUPER JUNIOR]]의 [[동해(SUPER JUNIOR)|동해]]와 아무 관련이 없으며, 담당 배우도 지창욱이다. 실제로 지창욱이 [[동해(SUPER JUNIOR)|동해]]에게 영상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https://news.nate.com/view/20110326n08891|#]] * [[웨이사이드]]의 까칠이: 원 이름은 Fluffy, 즉 복실이 정도 되는 이름인데 이 녀석은 [[고슴도치]]. 거기다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성질도 더럽다. 닉 더빙판에서는 원래 이름을 무시하고 까칠이라고 번역하는 바람에 에피소드 몇 개가 아주 약간 변질되었다.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권민우(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권민우]]: 세례명이 [[가브리엘]]이나, 천사의 이름과는 달리 성공을 위한 야망으로 무엇이든 하는 작중 거의 유일한 악역이다. --대신 권모술수라는 별명값은 한다-- * '''이름이 [[주인공]]'''인 캐릭터들: 이름만 주인공일 뿐이지 실제로는 주인공도 아니다. * [[미스터 부]]의 주인공: 이름이 주인공인데 작중 포지션은 [[보조출연자|엑스트라]]. * [[모탈 컴뱃 시리즈]]의 [[슈진코]]: 이름만 주인공이지 사실은 악역이다. * [[언매지컬 마법소녀 하춘식]]의 주인공: 제목대로 주연은 하춘식. 다만 주인공이 이야기의 화자이기는 하다. * [[이런 영웅은 싫어]]의 [[랩터(이런 영웅은 싫어)|랩터]]: 이름인 랩터(raptor)가 '맹금류' 또는 공룡(파충류)의 한 종을 뜻하는 단어인데 이영싫의 랩터는 고양이 영물 혼혈이다.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의 [[다크니스(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다크니스]]: 어둠을 뜻하는 다크니스와 정반대로 직업은 [[크루세이더]]이고 악당도 아니다. *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의 하반신이 문어인 마녀의 이름은 [[우르슬라(디즈니 캐릭터)|우르슬라(Ursula)]]인데, 이 이름의 유래는 '작은 곰'이라는 뜻으로 문어와는 전혀 관련 없다. * [[재혼 황후]]의 [[글로리엠]]: 이름은 영광을 뜻하는 'glory'인데, 정작 영광은 커녕 작중에서의 막장 행적에 휘말리는 바람에 불행한 인생을 살 예정이다. * 오우삼 감독의 [[적벽대전(영화)|영화 적벽대전]]에서 손상향은 돼지라는 별명으로 불리지만, 그녀는 날씬하다. * [[절대절망소녀]]의 [[희망의 전사|희망의 전사들]]: 말이 희망의 전사지 실제로 행적을 보면 리틀 [[초고교급 절망]]이다. [[시로쿠마]] 역시 겉만 하얗(白)지, 사실은 이 게임의 최종흑막('''黑'''幕)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사악한 캐릭터다. * [[짱구는 못말려]]의 [[보오]]: 이름은 바보라는 뜻이지만 [[카스카베 방위대]]중 가장 똑똑하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의 [[저스티스 러브]]: 이름부터가 "정의를 사랑한댜."라는 뜻이 들어가있지만 작중 행동을 보면 범죄조직의 두목이나 다를 게 하나도 없는 행보를 보인다. * [[조작된 도시]]의 윤여울: 닉네임은 '털보'지만 여자다.[* 털보는 보통 남성에게만 붙는 별명이다. 윤여울이 자기 목소리를 남자 목소리로 변조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남자로 생각했다고.] 닉네임을 실제와 다르게 짓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윤여울이 속한 권대장의 클랜 '팀 레쥬렉션'의 인물들 중 나머지는 여러모로 현실 속 행적/특성과 닉네임이 유사한 반면 윤여울 혼자 다르다.[* 여백의미-탈모, 은폐&엄폐-성인방송(음지 활동), 권대장-팀 리더, 데몰리션-폭발소품 관리자, 용도사-용산의 AS기사] * [[주토피아]]의 [[플래시 슬로스모어]]: 주토피아에 등장한 [[나무늘보]]. 이름은 [[섬광]]인데, 실제로는 어마어마하게 느려터졌다. 말하는 속도도 엄청나게 느리고, 웃을 때도 매우 느리게 웃는다.[*스포일러 하지만 영화 끝부분에 보면 닉과 주디가 과속한 차를 잡는데, 그 차에 탄 게 플래시다.] * [[진삼국무쌍]]의 [[장료(진삼국무쌍)|장료]]의 별명은 [[야마다]]이지만, 실제로 이 게임은 삼국지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만큼 작중에 일본인이 등장하지 않으며 담당 성우도 야마다 씨가 아니다. 그렇다고 [[무쌍오로치]] 시리즈에서 야마다 성씨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것도 아니다. 장료의 대사 중 '자마다(邪魔だ, 비켜라)'가 야마다처럼 들려서 별명이 된 것. 실제로 담당 성우도 소개 영상에 이를 써먹었다. * 소설 징소리의 주인공 허칠복. 댐 건설로 인한 수몰로 집과 고향을 잃고 도시로 가게 되었지만, 아내가 바람나고 결국 저수지로 변한 고향으로 딸과 징 하나만 든 무일푼 신세로 돌아오게 된다. 그곳에서도 낚시꾼들에게 징을 울리는 등 방해 행위를 하여 결국 고향에서도 쫓겨나는 신세가 되는 아주 불행한 인물이지만, 이름은 칠복(七福, 즉, 복이 많다는 의미.)이다. * [[지붕뚫고 하이킥]]의 [[정해리]] - 작중 자신의 유행어인 '[[빵꾸똥꾸]]'로 인해, 담당 배우인 [[진지희]] 또한 현실에서도 빵꾸똥꾸라고 불리는데, 정작 극중에서 빵꾸똥꾸는 정해리 본인이 아닌 해리가 [[신세경(지붕뚫고 하이킥)|신세경]]·[[신신애(지붕뚫고 하이킥)|신신애]] 자매를 비롯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 [[천원짜리 변호사]]의 '사무장': 이름과는 달리 원래 직업은 세탁소 주인이다. * [[천하제일상 거상]] * [[주술사(천하제일상 거상)#s-3|뇌공]]: 이름과 컨셉은 번개 마법을 다루는 번개의 신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보조 마법을 쓴다. 설정상으론 번개를 남용하다 죽을 뻔하고 진짜 번개의 신 뇌공에게 번개를 강탈당하고 대신 평화의 힘을 받았다. 각성을 하면 번개의 힘과 평화의 힘을 합쳐서 쓴다. * 도깨비 : 우리나라의 친숙한 도깨비가 아니라 일본 오니에 가까운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다. 오니라는 몬스터도 따로 있는데 피부색이 다르고 눈이 하나라는 차이점이 있다. * 독각귀 : 다리가 하나라는 이름과는 달리 다리가 2개다. * 악덕상인 : 상인 NPC가 아니라 몬스터다. * [[총몇명]] 스토리의 [[복녀]]: 이름과 달리 그녀의 과거는 불행하다. * [[【최애의 아이】]] - [[카미키 히카루]]: '빛'이라는 뜻의 이름과는 정반대로 본작의 '''최대 흑막'''으로 봐도 무방하다. * [[추노(드라마)|추노]] * [[이대길]]: '크게 길하다'는 이름과는 달리 매우 비극적인 삶을 살았다. * [[최장군]]: 이름과는 달리 장군이 아니며, '장군'이란 별명은 무과 시험에서 번번이 낙방하던 자신을 눈여겨본 대길이 붙여줬다. * [[칼가는 소녀]]의 [[정다정(칼가는 소녀)|정다정]]: 이름과는 달리 이 웹툰의 빌런들 중 하나다. 이 때문에 독자들에게 이름값 못한다고 까인다. * [[캐빈 인 더 우즈]]에서 연구소는 데이나에게는 '순결한 처녀', 줄스에게는 '창녀' 역할을 부여했으나, 이들의 실제 과거 행적은 정반대다. [* 줄스는 금발로 염색하기 전까지는 헤픈 성격이 아니었다고 하며, 데이나는 몰래 사귀던 대학 교수와 잠까지 잤다고 본인이 밝힌다.] 그리고 마티는 연구소에서 바보 같은 '광대' 취급을 하는데, 실제로는 마티가 가장 똑똑한 모습을 보인다. *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의 [[미라이(케모노 프렌즈)|미라이]]: '미래'라는 뜻의 이름과 달리 과거의 기록으로만 등장한다. * [[케찰코아틀-헤수스]]의 앙헬 코스타스: 앙헬(angel)은 천사라는 뜻이지만 천사와는 거리가 아주 먼 잔혹한 인물이다. * [[코코(애니메이션)|코코]]의 [[에르네스토 델라크루즈]]의 이름 '에르네스토'의 어원은 '진실함(earnest)'을 의미하는 '에른스트'인데, 이 인물은 [[헥토르(코코)|절친]]을 독살하고 그 명예를 전부 가로챈 사기꾼으로 진실함과는 거리가 매우 멀다. * [[쿠베라(웹툰)|쿠베라]]의 [[아샤 라히로]]의 '아샤'는 힌디어로 '희망'을 뜻하는 단어인데 정작 아샤는 희망이 아닌 절망을 안겨주었다. * [[클로저스]]의 [[서유리(클로저스)|서유리]]는 [[서유리]]가 더빙하지 않았고 [[박선영(성우)|박선영]]이 맡았다.[* [[유희왕 5D's]]에서 [[사기리 미카게]]가 '서유리'로 로컬라이징되었는데, 이 때는 서유리가 더빙한 전적이 있다. 사실 클저 서유리도 초기에는 서유리가 맡긴 했었다. 어쩌다가 서유리 본인의 사정으로 교체.] * [[탑블레이드]]의 [[교수(탑블레이드)|교수]]: 교수라고 불리지만 [[교수]]가 아니다. * [[팀 포트리스 2]] * [[솔져]]는 [[군인]]이란 뜻이지만, 실제로는 군대에 간 적도 없는(정확히는 군대에 지원했다가 거절당했다.) 민간인이다. * [[메딕]]은 위생병이란 뜻으로 전장에서 간호사 포지션이지만, 실제 캐릭터는 의사이다. * [[포춘 하모니]]의 [[초파랑]]: 이름은 파랑이지만 메인컬러는 분홍색이다. 다만, 눈 색깔과 머리장식, 옷 색깔 일부 부위가 파란색으로 파란색이 아예 없지는 않다. * [[펜트하우스 시리즈]]의 [[하은별]]: '''은별'''이란 이름은 한국 막장 드라마에서 주인공의 하나 뿐인 핏줄이자 순수하고 선량하지만 불쌍한 피해자 역할로 자주 쓰이는 이름이다.[* 펜트하우스 내에서는 [[배로나]]가 이 포지션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작에서는 자신의 모친인 천서진의 악독한 성격을 '''그대로 물려받아''' 자신의 급우들을 상대로 '''학교 폭력을 아무렇지도 않게 행사하는데다''' 약물 오남용으로 인해 약물에도 중독된 [[정신질환자]] 캐릭터. 그래서인지 종종 피아식별을 못하고 타인을 공격하는 극도의 공격성을 보여주는데다 자신의 모친인 천서진이 마실 와인잔에 '''치매를 유발하는 약'''을 마구 풀어놓는 [[패륜]]을 저질렀다. 그래서인지 본작에서도 아역 캐릭터들 중에서 [[주석경]]과 함께 최악의 평가를 받고 있다. * [[하나의 하루]]의 [[윤시원(하나의 하루)|윤시원]]: 이름만 놓고 보면 시원스러운 이미지가 연상되겠지만 이름과 달리 '''이 작품 최악의 발암 물질 이면서 메인 악역'''. * [[하늘 가는대로]]의 [[로마 타케야스]](路万'''健康'''): 김건강과 동일. * [[해리 포터 시리즈]]의 플러피 - 상술한 동명의 캐릭터와 비슷한데, 이쪽은 원판이 [[케르베로스]]다 보니 무서운 개이다. * [[해피 트리 프렌즈]]의 [[핸디]] - 핸디라는 이름과는 반대로 양팔이 없는 장애인이다. 그런데 양팔이 없음에도 뭐든지 뚝딱 만들어버리는 공돌이 캐릭터. * [[화수분(소설)|화수분]]([[소설#s-2]])의 [[화수분(소설)|화수분]]: 원래 화수분이란 그 안에 들어 있는 물건을 무한복제하는 그릇으로서 풍요의 상징이지만, 작중에 등장하는 화수분은 거지인데다가 불운하기까지 하다. 화수분의 형 또한 가난하지만, 이름이 거부(巨富)이다. 감자의 복녀와 같은 사례. * [[회색도시]]의 [[김주황]]: 주황색 신호가 있음에도 신호등 삼인방에서 청신호를 담당했다. 주황색 신호는 [[허건오]]가 담당. * [[혹성탈출: 종의 전쟁]]의 [[나쁜 유인원]](Bad Ape): '나쁜 유인원'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주인공인 [[시저(혹성탈출 시리즈)|시저]]를 비롯한 유인원 편에 서는 선역이다.[* 물론 유인원 입장에서 그렇지 유인원을 적대하는 포지션인 인간 입장에서는 이야기가 다르긴 한데 나쁜 유인원이 인간과 직접 접촉한 적이 거의 없어서 애매하다.] * [[BiBi 아이리스]]의 프랑소와 드 비스콩티: 아마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에서 따온 성 같은데 비스콘티 가문은 이름부터 '자작'이라는 뜻의 Visconti인데 정작 이 녀석은 프랑스 최고의 '''[[공작(작위)|공작]]''' 가문 * [[Hollow Knight]]의 호넷: '말벌'이라는 뜻의 이름과는 달리 벌보다는 거미에 더 가깝다. * [[LOVELESS(만화)]] - [[아오야기 세이메이]] & [[아오야기 리츠카]]. 이름의 유래는 [[24절기]]의 [[청명]]과 [[입하]]. 하지만 정작 생일은 각각 11월 14일([[입동]]~[[소설]]) 및 12월 21일([[동지]])이다. [[https://ja.wikipedia.org/wiki/LOVELESS_(高河ゆんの漫画)#登場人物|#]] * [[OMORI]]의 [[써니(OMORI)|써니]]는 처한 상황이나 캐릭터성이 밝고 쾌활한(sunny) 느낌과는 정반대인 히키코모리이다. 이미지 컬러도 어두운 색인 검은색. 꿈속 세상에서의 써니의 이름이 말 그대로 히키코모리를 뜻하는 [[오모리(OMORI)|오모리]]인 걸 보면 또다른 자아인 오모리와 대비를 주기 위한 작명인 듯하다.[* 여담으로 Sunny라는 이름은 남자아이인 이 캐릭터와 달리 영미권에서 주로 여자 이름으로 쓰이는데, 이는 성별의 매치보다 캐릭터성의 역설성에 우선순위를 둔 작명이라고도 볼 수 있다.] * [[WORKING!!]]의 [[타네시마 포푸라]]: 포푸라라는 이름은 [[포플러나무]]의 명칭을 따와서 부모님이 지어주었다고 한다. 실제 포플러나무는 자라면 키가 20m를 넘을 정도로 키가 큰 식물로 유명하나, 정작 포푸라의 키는 141cm에 불과할 정도로 작다. * [[Yes! 프리큐어 5 GoGo!]]의 [[시럽(Yes! 프리큐어 5 GoGo!)|시럽]](더빙판 한정): 인간으로 변신했을 때의 한국 이름이 시영준[* 원판 이름은 아마이 시로.]인데 [[시영준]] 성우가 맡지 않았다.[* 시영준 성우는 [[프리큐어 시리즈]] 더빙판에 출연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단 이 캐릭터는 시영준 성우가 맡기에 적합한 연배도 아니고 시영준 성우를 염두에 두고 지은 이름인지 단순한 우연의 일치인지의 여부는 불명이다. * [[오소마츠 상]]: [[마츠노 이치마츠]]는 이름은 이치마츠(一松)인데 첫째가 아닌 넷째이다. 그리고 바로 아래인 다섯째 [[마츠노 쥬시마츠]](十四松) 역시 당연히 열넷째가 아니다. === 단체 === * [[1984]]에 나오는 4개 부의 이름. * [[김전일 37세의 사건부]] * [[아야세 연쇄살인 사건]]은 피해자들의 이름 첫머리자가 '아야세'를 이룬다는 소설에 맞춰 일어난 사건이지만, 실제로는 피해자들의 이름 첫머리가 '아야세'를 이루지 않는다. 범인이 피해자들의 이름을 '아야세'에 맞추기 위해 임의로 조작한 것. [* 첫 번째 피해자인 아사기리 후마는 예외] * [[꽃보다 남자(한국 드라마)|꽃보다 남자 한국판]]의 진선미 트리오는 ~~본인들의 주장처럼~~ 학교의 대표 미녀라서 붙여진 것이 아니라 각자의 이름 한 자씩 딴 것이며, 작중 역할도 금잔디를 따돌리는 악역이다. * [[던전 앤 파이터]]의 [[반투족(던전 앤 파이터)|반투족]]은 설산에 살지만, 이들의 이름의 모티프가 된 [[반투족]]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산다. * 드라마 소녀x소녀에서 오세리가 ~~억지로~~ 결성한 불량 서클 7공주의 멤버들은 7명이 아닌 4명이다. 나중에 3명을 더 영입해서 만들겠다고 했으나, 오세리가 다른 불량 서클에게 봉변을 당할 때 나머지 멤버들은 모두 도망쳐서 결국 7명이 되지 못했다. * [[스타크래프트 2]]의 [[인류의 수호자]]는 오히려 [[야생 저그]]와 [[탈다림]]을 끌어들여 자치령 거주민들을 학살하는 짓을 저질렀다. * [[재송 드림즈]]는 드라마 작중 [[틀렸어 이젠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 소리가 나오는 팀으로 나온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로켓단 삼인방]] 중 [[나옹(로켓단 삼인방)|하나]]는 사람이 아닌 고양이이다. == 이름과 실제가 다르지 않은 경우 == * [[김도읍]]의 이름은 수도를 뜻하는 '''都邑'''이 아니라 '''度邑'''이며 고향과 지역구도 부산광역시라 서울과 별 관련이 없다. * [[스티븐 비건]](을 비롯한 대부분의 비건 성씨 보유자)의 철자는 '''Biegun'''으로 [[채식주의|비건주의자]]를 뜻하는 '''vegan'''과 전혀 관련없다. * [[백군기]] - 백군기의 군기는 '''君基'''로 [[군기]]('''軍紀''')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민선 7기 [[경기도]] [[용인시]] [[시장(공무원)|시장]]을 지냈지만 그 전에는 [[육군특수전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을 역임했다. * [[정치인(축구선수)|정치인]] - 정치인의 정치는 '''鄭治'''로 [[정치]]('''政治''')와는 아무 상관없다. 직업은 [[축구선수]]. * [[주나라]]의 [[여왕(주)|여왕]]('''厲王''')과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초여왕|여왕]]('''厲王''')은 [[여왕]]('''女王''')이 아니다. * [[퀸(리그 오브 레전드)|퀸(Quinn)]]은 [[여왕]]('''Queen''')이 아니다. == 관련 문서 == * [[캐릭토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version=1579)] [[분류: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