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리 작가 실물.jpg|width=100%]]}}} || ||<-2> [[파일:이리 작가.jpg|width=50%]] || ||<-2> '''{{{+2 이리}}}[br]Yi Lee''' || || '''본명''' ||이슬 || || '''출생''' ||[[1983년]] [[12월 18일]] ([age(1983-12-1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가족''' ||아버지 [[이본토]][br][[반려동물]] 꽁치[* 2006년 1월 7일생. 웰시 코기다.] || || '''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중퇴)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ZJ6j&fldid=Msbq&datanum=390|#]] || || '''직업'''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 || || '''링크''' ||[[https://blog.naver.com/furymanura|[[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urymanura, 크기=23)] [[https://instagram.com/furymanura?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만화가]]. == 상세 == 만화가 [[이본토]]의 딸로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에게 그림을 배웠다고 한다. 어린 나이에 데뷔해 [[던전 앤 파이터]], [[재배소년]] 등 여러 일러스트를 그렸다. 데뷔 연도는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쯤으로 보인다. 타툼시티로 유명하다. 서울 [[코믹월드]]에서 <취미생활서>라는 이름의 개인 일러스트집들을 6호까지 판매했고, [[철권(게임)|철권]] 시리즈에 대한 애정을 꾸준히 보여왔다. 옛날부터 근육질 남성 캐릭터에 대한 미학을 피력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레진코믹스]]에 연재한 여러 [[보이즈 러브|BL]] [[웹툰]]도 전부 떡대수물이다. 현재는 [[네이버 웹툰]]인 [[삼국지톡]]의 그림 작가로 유명하다. == 작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60124상어왕님.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0620오노기유우코우(통상).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31126오오가와라긴타(진화).jpg|width=100%]]}}} || 극화체에 기반을 둔 뛰어난 작화 및 캐릭터 디자인이 [[삼국지톡]]의 여성 독자를 쓸어담은 듯하다. 실제로 삼국지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반 정도는 떡대&중년남이며, 몇 컷 등장하지 않는 엑스트라라도 중년 남자의 경우 [[체모]] 묘사나 손&팔 핏줄 묘사에 힘이 빡 들어가 있다. 특히 [[근육]] 묘사와 [[Macho|야성미 넘치는 남성]]의 모습을 잘 그린다. == 활동 == === 일러스트 === ||
'''년도''' || '''내용''' || '''회사''' || '''비고''' || || 2001년 || [[판타지 마스터즈]] || [[제오닉스]] || || || 2002년 || [[어둠의 전설]] || [[넥슨]] || || || 2004년 || 모나토 에스프리 || 가마소프트 || || || 2005년 || [[괴협전]], [[용비불패]] 애장판 표지 컬러링 || 스페이스인터내셔널 || || || 2006년 || 권호 || [[네이버]] || || ||<|2> 2007년 || 연금술사TCG || 피버스튜디오 || || || [[던전 앤 파이터]] TCG || [[네오플]] || || ||<|2> 2009년 || 연금술사TCG || 에쎈모바일테크놀러지 || || || 코스모스 || 웨이브픽셀 || || || 2012년 || [[데빌리언]] || [[펍지 주식회사|지노게임즈]] || || || 2013년 || 불량도 ~갱로드~ || Applibot || || || 2014년 || [[재배소년]] || [[아울로그]] || || || 2015년 || [[데스티니 차일드]] || SHIFTUP || || === 만화 === ||
'''년도''' || '''제목''' || '''연재처''' || '''비고''' || ||<|2> 2014년 || 피와 불의 노래 ||<|3> [[레진코믹스]] ||<|3> 단편 연재 || || 당신의 손을 잡아도 될까요 || || 2016년 || 그래도 늑대와 곰 || || 2018년 || [[삼국지톡]] || [[네이버 웹툰]] || || == 기타 == * 애용하는 아이디에서 알 수 있듯이 [[철권]] 시리즈의 [[브라이언 퓨리]]가 최애캐이다. * [[버터링]] [[쿠키]]를 매우 좋아한다. 트위터에 보면 작업 내용 외에는 거의 버터링 쿠키 이야기다. 덤으로 초콜릿도. * [[레고]]를 좋아한다. * 아버지가 괴작 전문 만화가인 [[이본토]]이다. 그나마 딸내미가 정상적인 만화를 그리는 것과는 달리 아버지 이본토는 '''[[메가톤맨|해괴함을 예술로 승화시킨 경지]]'''에 도달했다. * [[무적핑크]] 작가와 친하다.[* 무적핑크 작가가 근육질의 중년 남성을 잘 그리는 작가로 이리 작가를 소개받아 메일을 보내 같이 작업하게 된 것이라고 단행본에서 밝혔다. 하지만 나중에 알게 된 사실로는 무적핑크 작가가 대학 시절 게임 동아리에서 마음에 든 일러스트북을 구매했고 이사갈 때마다 책을 절반씩은 버렸지만 그 책만은 버리지 않고 지금까지 간직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 다시 펼쳐봤을 때 그림자 채색 방식이 이리 작가와 비슷해 먼지 묻은 표지를 펼쳐봤는데 알고보니 그게 이리 작가의 일러스트북이었다고(...) 동일 인물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한 모양.] 결국 두 작가가 모여 [[삼국지톡]]을 연재하고 있다. * 이리 작가의 작화를 삼국지톡으로 주로 접하는 독자들이 대부분이라 모르는 사람들도 있지만 진가는 흑백 만화가 갑이다. 물론 컬러도 말할 것 없다.[* [[레진코믹스]]에서 연재한 작품이 흑백 만화다.] * [[삼국지톡]] 연재 전인 [[2014년]]에 [[덴마]] 팬아트를 그린 적이 있으며, [[2015년]]에도 [[https://twitter.com/furymanura/status/648894672455077888|다른 팬아트]]를 그린 적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삼국지톡 연재 중인 2018년에 [[덴경대|덴마 독자들]]이 많이 본 네이버 웹툰 순위 중 삼국지톡이 있게 된다. 덴마의 군상극 스토리가 삼국지연의를 떠오르게 하기 때문에 그 작품에서도 삼국지 팬들이 많다. 떡대수로 유명한 만큼 덴마의 등장인물 중 [[발락(태모신교)|발락]]과 [[롯(덴마)|롯]]을 좋아한다. * [[12월 24일]] [[새벽]]에 [[복통]]으로 [[응급실]]에 가서 담낭절제 수술을 받았다. 작가의 그림 퀄리티와 작업량을 아는 독자들은 금방 복귀한 작가에게 오히려 더 쉬라고 안달이었다. * 취향이 중년 근육남인 듯하다.[* ex) [[호크아이]], [[데드풀]], [[토르]], [[브라이언 퓨리]]] 이유는 고생하며 살아온 흔적이 보이는 게 몸으로 드러나서라고. * 취향이 근육 속성의 캐릭터일 뿐이지 어떤 체형의 캐릭터든 전부 그려낸다. 길예기라는 뚱뚱한 캐릭터도, 모개같이 근육 하나 없는 마른 캐릭터도 그려냈다. * 겨드랑이 털을 그릴 때 머리카락을 그릴 때와 같은 생각을 한다고 답변했다. * 등장인물들의 자세는 액션 피규어를, 직접 보기 힘든 것들은 구글링을[* 음식물 쓰레기(...)], 사물 같은 경우에는 직접 구매까지[* 남자 구두(이리 작가는 여자다.), 술(작가 본인이 술은 못 마신다고 했다.)] 해서 그린다. * 사용하는 타블렛 기종은 [[신티크]] 22HD다. *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순수''' [[포토샵]][* 요즘같이 브러시와 칸 제조, 3d 소재가 많은 [[클립 스튜디오]]와 [[스케치업]]을 쓰는 작가들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이리 작가는 작화(인물, 배경) 편집 효과 전부 포토샵으로 한다.]이다.[* 타이포 작업은 디자이너가 따로 한다고 한다.] * 철권 게이머 [[무릎(철권)|무릎]]과 트위터로 교류를 하고 있다.[* 무릎이 이리 작가의 퓨리 일러스트에 칭찬 멘션을 달았다.] 무릎의 주 캐릭터가 이리 작가의 최애인 브라이언 퓨리라서 그런 듯하다. * [[레이 우롱|레이]]도 좋아하는지[* 트위터에 레이 그림도 올라온다.] 삼국지톡 관우한테서 레이의 모습이 보인다.[* 갈발에 묶음 머리] * 삼국지톡이 게임으로 출시된다고 하자 다들 이리 작가가 본업으로 컴백하는 게 아니냐며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이리 작가는 러프 그림을 올리고는 어딘가에 쓰일 예정이라고 하면서 나중에 완성본을(새 썸네일) 공개하는데 딱 [[https://twitter.com/furymanura/status/1012748747929817088?s=19|한 그림]]이 완성된 상태로 공개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 삼국지톡 모든 캐릭터들 그리기를 좋아한다고 했지만 그중에서도 동탁을 제일 즐겁게 그린다고 밝혔다. * 언니[* 어원을 보면 20세기 초까지 남녀 구분 없이 다 쓰던 단어였다. 가끔 나이 많은 아저씨들이 여자 종업원한테 언니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 오빠라는 단어는 애교스러운 단어 같고 본인 성격상 낯간지러워서 언니한테는 누나, 오빠한테는 별명 혹은 이름을 부른다고 한다.[* 형까지는 차마 못 하겠다고. 운동권 여자들 중에선 오빠를 형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긴 하다.] * 대부분 작품에 판타지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 삼국지톡만 봐도 판타지 요소가 들어간 캐릭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 [[테라다 카츠야]]의 작품을 따라 그리면서 인체 데셍 실력이 늘었다고 한다. * 삼국지톡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디자인은 이렇게 생긴 애가 이런 일을 벌인다며 무적핑크가 전체적인 틀을 잡고 이리 작가가 포인트를 준다고 한다.[* 원소의 노란 눈과 댄디 패션, 여포의 얼굴과 체격, 장료의 토끼 모자를 제외한 모든 부분은 전부 이리 작가가 설정한 것이라고.]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이리, version=69, paragraph=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삼국지톡, version=902, paragraph=2)] [[분류: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분류:웹툰 작가]][[분류:198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게임 원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