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련 육군 전선사령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2대 바쿠 군관구 사령관[br]{{{+1 이반 이바노비치 마슬렌니코프}}}[br]Ива́н Ива́нович Ма́сленников[br]Ivan Ivanovich Maslenniko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반 마슬렌니코프 대장.jpg|width=100%]]}}} || ||<|2> '''출생''' ||[[1900년]] [[9월 3일]][* [[그레고리력]] 기준 [[9월 16일|16일]]] || ||[[러시아 제국]] 사마라현 찰리클라역[br](現 [[러시아]] [[볼가 연방관구]] [[사라토프주]] 찰리클린스키) || ||<|2> '''사망''' ||[[1954년]] [[4월 16일]] (향년 53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바간콥스코이 묘지 || ||<|6> '''재임기간''' ||제16대 [[NKVD|내무인민위원부]] 부위원 || ||[[1939년]] [[2월]] ~ [[1943년]] [[7월]] || ||제2대 바쿠 군관구 사령관 || ||[[1945년]] [[10월]] ~ [[1946년]] [[5월]] || ||제9대 자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 ||1946년 5월 ~ [[1947년]] [[1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 '''복무''' ||적위대 || ||[[1917년]] ~ [[1922년]] || ||[[노농적군]] || ||1922년 ~ [[1946년]] || ||[[소비에트 지상군]] || ||1946년 ~ [[1954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소비에트 지상군)}}} || || '''주요 참전''' ||[[러시아 내전]][br][[독소전쟁]][br][[소련-일본 전쟁]] || || '''주요 서훈''' ||[[레닌훈장]] (4회)[br][[소비에트 연방 영웅]][br][[수보로프 훈장]] 1등급[br][[적기훈장]] (3회)[br][[적성훈장]][br]쿠투조프 훈장 1등급 (2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군인]]. == 생애 == === 초기 === [[철도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15년부터 기차역 [[교환원]]으로 근무하다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 [[러시아 내전]] === 적군 통신병으로 복무하다 [[2월 혁명]] 당시 기차역 근처 폭동을 진압했다. 1920년 3월부터 제67보병연대 부연대장, 1920년 6월부터 제126기병연대장을 역임하며 [[안톤 데니킨]]의 부대를 상대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독소전쟁]] ==== 1941년 12월, 제39군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르제프-뱌젬스크 작전 당시 [[독일 육군(나치 독일)|나치 독일 육군]]의 방어선을 돌파해 제11기병군단의 공격을 지원했다. 1943년 12월부터 [[제3우크라이나전선군]] 제8근위군을 지휘하며 제2충격군과 함께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작전에서 두각을 드러내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후 [[나치 독일]]에 점령된 여러 괴뢰국을 해방시킨 뒤 [[소련 극동군 총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임명됐다. ==== [[소련-일본 전쟁]]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총사령관을 도와 [[일본 제국 육군]] [[관동군]] 저지 작전을 구상하며 다수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1945년 9월,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법령에 따라 [[레닌훈장]]과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획득했다. === 사망 === 1954년 4월 16일, 마슬렌니코프는 집무실에서 총기로 자살했다. [[NKVD]]가 자신을 포함한 여러 인물에게 누명을 씌워 체포하려는 계획을 눈치챘기 때문이다. == 평가 == >자신의 임무를 훌륭하게 처리했다. 어려운 상황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해결책을 찾는 자였다. >---- >[[게오르기 주코프]] == 진급 이력 == * 1940년 6월 4일: [[중장]] * 1943년 1월 30일: [[상장(계급)|상장]] * 1944년 7월 28일: [[대장(계급)|대장]] [[분류:1900년 출생]][[분류:1954년 사망]][[분류:사라토프주 출신 인물]][[분류:러시아 제국의 군인]][[분류:소련의 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러시아의 자살한 인물]][[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소련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