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업인, rd1=이병하(기업인))]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2> '''[[법무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12대 법무부 장관}}}]][br]{{{#ffffff {{{+1 이병하}}}[br]李炳夏 | Lee Byung-h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011020517582813_l.jpg|width=100%]]}}} || ||<|2> '''출생''' ||[[1913년]] [[11월 18일]] ||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 || ||<|2> '''사망''' ||[[2000년]] [[11월 2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 || '''본관''' ||[[진성 이씨]] || || '''호''' ||효정(曉汀) || ||<|2> '''재임기간''' ||제12대 법무부 장관|| ||[[1961년]] [[5월 3일]] ~ [[1961년]] [[5월 18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녀''' ||슬하 3남 2녀 || || '''학력''' ||문경보통학교 {{{-2 (졸업)}}}[br]오사카북양상업학교 {{{-2 (졸업)}}}[br][[메이지대학]] {{{-2 (법학부 / 학사)}}}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4대 국회의원|'''4''']], [[제5대 국회의원|'''5''']] || || '''경력''' ||대구지법 판사[br]제4대 민의원(대구乙, 민주당)[br]유엔총회 한국대표[br]제5대 민의원(문경, 무소속)[br]민주당 원내부총무[br]제12대 법무부 장관[br]민주당 상무위원회 의장[br]금곡광업 사장[br]노인회 서울시연합회 부회장[br]대한노인회 회장[br]대한민국헌정회 고문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법조인, [[정치인]]이다. == 생애 == 1913년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에서 태어났다. 1928년 [[문경보통학교]]을 졸업한 뒤 서울에 홀로 상경해 잡화점 점원생활을 하다 1931년 일본으로 밀항하여 오사카북양상업학교에 편입 및 졸업한뒤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과 및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법학부 재학 중인 [[일제강점기]] 말기 1942년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이후 학도병으로 입대하였으며, 예비사관학교에 입교해 훈련 받던 중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뒤 [[대구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하다가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양재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윤만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당 원내부총무에 선출되었다. 또한 [[3.15 의거]] 국회조사에도 참가했다. 1961년 5월 3일부터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법무부장관|장관]]을 역임하였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5월 18일 보름만에 경질된 뒤 투옥되었다. 이후 약 8개월간 가택 연금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송관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변호사 업무에 전념하였다. 1988년 대한노인회 [[회장]]에 선출되어 1994년까지 제8대, 제9대 회장으로 활동하였고, 1991년 대한민국 헌정회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2000년 11월 2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상북도)]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문경시 출신 인물]][[분류:진성 이씨]][[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1913년 출생]][[분류:2000년 사망]][[분류:고등문관시험 출신]][[분류:메이지대학 출신]][[분류:장면 내각/인사]][[분류:법무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