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투수))] ||
'''{{{#fff 이상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17번}}}''' || || 결번 || {{{+1 →}}} || '''이상규[br](2015)''' || {{{+1 →}}} || [[오상엽]][br](2016)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01번}}}''' || || [[이범준]][br](2017) || {{{+1 →}}} || '''이상규[br](2018)''' || {{{+1 →}}} || [[강구성]][br](2019)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60번}}}''' || || [[문광은]][br](2018.8.1.~2018) || {{{+1 →}}} || '''이상규[br](2019~2022)''' || {{{+1 →}}} || [[이준서(야구선수)|이준서]][br](2023)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01번}}}''' || || [[김영준(야구선수)|김영준]][br](2022~2022.7.26.) || {{{+1 →}}} || '''이상규[br](2023~2023.5.19.)''' || {{{+1 →}}} || [[조건희(야구선수)|조건희]][br](2023.10.~)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48번}}}''' || || [[송승기]][br](2022~2023.5.7.) || {{{+1 →}}} || '''이상규[br](2023.5.20.~2023)''' || {{{+1 →}}} || 결번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번}}}''' || || || {{{+1 →}}} || '''이상규[br](2024~)'''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상규 프로필 LG.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 || ||<-2> '''{{{+2 이상규}}} [br] Lee Sang-Kyu''' || ||<|2> '''출생''' ||[[1996년]] [[10월 20일]] ([age(1996-10-20)]세) || ||[[서울특별시]] [[중랑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흥인초등학교|흥인초]] - [[청원중학교|청원중]] -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청원고]] || || '''신체''' ||185cm | 77kg || || '''포지션''' ||[[중간계투]]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s-3.2|2015년 2차 7라운드]] (전체 70번, [[LG 트윈스|LG]]) || || '''소속팀''' ||[[LG 트윈스]] (2015~2023)[br][[한화 이글스]] (2024~) || || '''병역''' ||[[경찰청 의무경찰]] || || '''연봉''' ||3,600만원 (2.7%↓, 2023년) || || '''등장곡''' ||[[방탄소년단]] - 《쩔어》[* 2020년 6월 2일 삼성전부터 쓰인다.] || || '''에이전시''' ||[[http://www.team-futures.com|[[파일:팀퓨쳐스.png|width=105]]]]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LG 트윈스]] === 2015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를 통해 2차 전체 70순위로 [[LG 트윈스]]에 입단하였다. 이 선택은 5라운드까지 야수에 올인하던 LG로선 의외의 선택이었다. ==== 2015 시즌 ==== 1군 경기에는 한 번도 등판하지 못했고, 2군 퓨처스리그에서는 4경기에 등판해 4⅓이닝 평균자책점 12.46을 기록했다. 25타자를 상대했으며, 8월과 6월에 두 경기씩 등판했다. 1경기는 9회에, 나머지 경기는 3-5회에 등판했다. 상술했다시피 주로 불펜 투수로 등판하며, 8월 4일 [[삼성 라이온즈 2군]]과의 원정경기 때는 9회에 4-2로 끌려가는 상황에서 등판하여 삼자범퇴로 이닝을 마무리했다. ==== 2019 시즌 ==== 8월 23일 [[이동현(1983)|이동현]]을 대신하여 처음 1군에 등록되었다. 등록된 당일날 NC전 2:8로 앞선 9회초에 등판하여 ⅓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두 명의 타자를 사사구로 내보냈지만 구원등판한 마무리 [[고우석]]이 깔끔하게 경기를 끝내면서 데뷔 첫 등판에서 무실점을 기록할수 있었다. ==== 2020 시즌 ==== 청백전 경기에 나와 빠른 구속과 좋은 제구로 현장과 팬들의 마음을 두근거리게 만들었다. 이에 이상규는 '정말 야구선수가 된 것 같은 기분'이라며 소감을 밝혔다. 4월 21일 두산과의 연습경기에서 3회초 두 번째 투수로 등판, [[허경민]]을 삼진, [[김인태]]를 뜬공, [[박건우]]를 땅볼로 처리하며 '''9구만에''' 이닝을 정리했다. 최고구속은 151km/h. 4회에도 등판하여 [[정수빈]]을 땅볼 처리했으나 [[최주환]]은 내야 안타로 출루했다. 하지만 [[오재일]]을 초구만에 중견수 뜬공,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를 3루 땅볼로 이닝을 끝냈다. 청백전과 연습경기에서 줄곧 좋은 모습을 보이며 5월 4일에 발표된 개막엔트리에 데뷔 후 처음으로 승선하였다. 5월 6일에 등판해 1이닝을 깔끔하게 막으며 올해 첫 출장을 했다. 5월 12일 SK전 마무리로 등판하여 1이닝 1자책으로 경기를 끝냈다. 다만 제구에 문제가 있었다. 5월 14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3차전에서, 스코어 2:2인 8회초 1사 3루 볼카운트 1볼에서 [[진해수]]에 이어 4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시즌 5번째 경기를 치렀다. [[김강민]], [[최정]]을 삼진으로 잡아내고 8회초를 끝낸 뒤, 여전히 스코어 2:2인 9회초에도 등판하여 무실점으로 막았다. 팀이 9회말 1사 3루에서 대타 [[정근우]]의 끝내기로 안타로 승리하여 이상규는 데뷔 첫 승리 투수가 되는 기쁨을 누렸다. 이상규는 이날 1⅔이닝 22투구수 무피안타 무사사구 3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첫 승리를 기록'''했고, 팀은 무려 18년만에 SK를 상대로 스윕을 했다. 5월 15일에 [[고우석]]이 무릎 부상으로 인해 1군으로 말소되면서 당분간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과 함께 임시로 마무리 보직을 맡게 됐다. 16일 키움과의 더블헤더 1차전에선 [[케이시 켈리]]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1⅔이닝을 훌륭히 소화하며 홀드도 기록했고 팀도 두 경기 모두 승리하게 됐다. 5월 1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송은범]]의 뒤를 이어 3번째 투수로 등판하였다. 5점차로 넉넉히 이기고 있어서 17일에 이어서 두 경기 연속으로 쉴 기회였으나, 8회 말 [[송은범]]이 2타자 연속안타를 맞고 1실점을 하고, 그 다음 타자를 땅볼 아웃, 그 다음 타자에게 볼넷을 내주면서 흔들리면서 8회말 1사에서 등판하여 대타 [[이성곤]]을 병살타로 막고 이닝을 끝냈다. 9회말에 선두타자 [[강민호]]에게 시즌 마수걸이 솔로홈런을 내주면서 1실점을 하였으나, [[김동엽(1990)|김동엽]]을 병살타로 막고 이닝을 끝냈다. 5월 21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의 3차전에서 팀이 스코어 2:0으로 앞선 9회말에 팀의 4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시즌 8번째 경기를 치렀다. 선두 타자이자 3번타자인 [[구자욱]]에게 볼넷을 허용했으나, 다음 타자인 [[이원석(1986)|이원석]]을 초구에 6-4-3 병살로 잡아낸 뒤 그 다음 타자인 [[이학주]]를 2루땅볼로 아웃시켜 1이닝 10투구수 무실점으로 프로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5월 24일 kt와의 경기 [[김윤식(야구선수)|김윤식]]의 뒤를 이어 9회초 등판했다. 볼넷을 내줬으나 깔끔한 삼진으로 이닝을 종료했고 9회말 라모스의 끝내기 만루홈런으로 승리투수가 됐다. 5월 26일 한화와의 경기에서 9회에 마무리투수로 등판해 1이닝을 깔끔하게 처리하고 시즌 2번째 세이브를 기록하였다. 5월 28일 한화와의 경기에서 선두타자 [[이성열(1984)|이성열]]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후속타자 [[송광민]]을 1루수 병살타를 이끌어내면서 2아웃을 만들었고,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을 우익수 플라이 아웃으로 잡아내면서 3세이브를 기록했다. 5월 29일 [[김대현(1997)|김대현]]이 9회를 점수차가 꽤 있기에 막아줄거 라 예상됐으나 방화하며 연이틀 등판하게 됐다. 올라와서 안정적인 피칭으로 땅볼과 직선타를 만들며 4세이브를 챙겼다. 5월 30일은 2일 연투로 하루 쉬어가게 되었다. 31일에는 팀의 큰 점수 차로 이기고 있어 하루 더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6월 6일 9회말 4-3 상황에서 등판하였다. 키움 히어로즈의 선두타자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을 땅볼로 잘 처리하였으나 다음 타자인 [[김혜성]]에게 4구를 허용하여 위기에 몰린다. 다음 타자인 [[김규민(야구)|김규민]]을 잡으며 위기를 넘기나 했으나 마지막 타자인 [[허정협]]에게 동점타를 허용하면서 첫 블론세이브를 기록했고, 이어 [[전병우]]에게 우측담장을 맞는 끝내기안타로 ⅔이닝 2실점을 기록하고 첫 패배를 기록하였다. 여담으로 이 날 패배가 2020년 LG 트윈스의 첫 블론 패배. 6월 9일 SK전에는 연장 10회에 올라왔는데 구위가 떨어졌는지 볼질하고 장타를 얻어맞으며 3실점, 두 경기 연속 패전투수가 되었다. ERA는 4.40이 되었으며 더 이상 클로저로 쓰기에는 힘들어보인다. 결국 6월 11일에는 마무리 상황이 아닌 7회 동점상황에서 등판하였다. 이 날 기록은 ⅔이닝 2피안타 무실점. 결국 계속된 부진으로 인해 마무리 보직을 내려놓게 되었다. 다음 클로저로 지목된 선수는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6월 15일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가 6월 25일 1군에 복귀했다. 주로 패전처리로 나오다 7월 10일 NC전에서 류중일의 3이닝 등판 때문에 5실점 한 뒤 방어율이 6점대로 치솟았고 다음날 엔트리 말소가 됐다. 9월이 되어서야 1군에 복귀했으나 쓸놈쓸 운영으로 좀처럼 등판하지 못했다. 10월 4일 수원 kt전에서 3점차로 역전한 8회말에 등판하여 볼넷 안타 안타로 1실점 하였다. 10월 6일 잠실 삼성전에서 11회초 [[최성훈(야구)|최성훈]]이 볼넷을 허용하자 올라와 병살과 땅볼로 불을 껐으나 12회초 [[이성규]]에 솔로홈런을 맞았고 이후 실점없이 이닝을 끝내 2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팀이 12회말 득점에 실패하며 그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스프링캠프 기간 눈도장을 제대로 찍으며 5월 한달은 고우석이 이탈한 클로저 자리에서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여주었으나 당시에도 FIP가 너무 높아 곧 무너지리라는 예상이 많았고 결국 6월 이후 와르르 무너지고 말았다. 볼넷이 삼진보다 많고 피안타율은 3할이 넘어 WHIP도 2를 넘었다. ==== 2021 시즌 ==== 개막엔트리에 들었으나, 개막 후 등판하지 못하고 사흘만인 4월 6일 2군으로 내려갔다. 1군과 2군을 왔다갔다 하며 몇경기 나오긴 하였으나 1군에 고정적으로 안착하지는 못하였다. 8월 16일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 2022 시즌 ==== 단 한 차례도 1군에 콜업되지 못하고 2군에서 시즌을 마쳤다. 퓨처스 성적은 31경기 4승 5홀드 3세이브 ERA 5.40으로 상당히 높은 방어율을 기록했다. ==== 2023 시즌 ==== 등번호가 101번으로 바뀌며 [[육성선수]]로 전환되었다. 5월 20일 시즌 내내 부진하고 있는 [[이정용(야구선수)|이정용]]이 어깨 근육통으로 말소되며 대신 이상규가 1군으로 콜업되었고, 동시에 정식선수로 재전환되었다. 등번호는 [[송승기]]의 상무 입대로 결번이 된 48번을 받았다. 1군에 콜업된 20일 한화전 연장 12회초에 등판하며 2021년 10월 14일 롯데전 이후 583일 만에 1군 등판 경기를 치렀다. 선두타자 [[정은원]]에게 내야 안타를 허용했지만 [[유로결]]을 상대로 병살타를 유도해냈고, [[노시환]]을 뜬공 처리하며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23일 SSG전에서 9:1로 앞서있는 중 9회에 등판하여 1이닝 2피안타 1탈삼진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시속 140km 초중반대의 슬라이더를 애용했다. 이후 몇 경기 추격조로 더 등판하며 [[가비지 이닝]]을 소화했고 6월 4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6월 20일 1군에 콜업되었다. 콜업 당일 NC전 4:8로 뒤진 8회말 등판해 1이닝 1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24일 롯데전에서 0:9로 앞선 8회초 등판했으나 선두타자에게 볼넷과 연속 2안타를 얻어맞으며 아웃카운트를 하나도 기록하지 못하고 [[이우찬]]과 교체되었다. 이우찬이 후속 타자들을 상대로 만루까지 만들었으나 간신히 무실점으로 틀어막으며 1실점을 기록했다. 6월 26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7월 11일 1군에 콜업되었다. 그러나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한 채 7월 22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9월 10일 다시 1군에 콜업되었다. 그러나 '''또'''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한 채 9월 22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10월 6일 1군에 콜업되었다. 23시즌 2군 최종 성적은 27경기 2승 1패 2세이브 3홀드 ERA 1.75 25⅔이닝 4볼넷 15삼진 5실책 피안타율 0.176을 찍었고 1군은 표본이 적지만 8경기 7⅔이닝 6삼진 5볼넷 2실책 ERA 2.35를 기록했다. === [[한화 이글스]] === 2023년 11월 22일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024년|KBO 2차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로 한화 이글스 지명을 받고 이적하였다. 23시즌 2군에서는 1점대 방어율을 찍으며 불펜으로 활약했고 1군에서 표본은 적지만 7경기 2점대 ERA를 기록한 것을 주목하여 1군 노망주이지만 불펜 강화 목적으로 지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손혁]] 단장측도 불펜 보강 차원에서 영입했다고 인정하였다. ==== 2024 시즌 ==== == 피칭 스타일 == 우완 정통파 투수로 최고 153km/h의 패스트볼을 던지지만 평속은 140대 초반에서 150까지 꽤나 들쭉날쭉하며 연투하면 구위가 많이 떨어진다. 입대하기 전에는 평균 130km/h대의 공을 던지는 평범한 2군 투수였지만, 군대에서 자신을 갈고 닦아서 구속을 끌어올리는 데에 성공했다. 2020년 5월에 한창 마무리를 맡았을 때는 꾸준하게 140후반대 구속의 포심을 던졌으나 다시 들쭉날쭉하게 되었다. 속구 이외에는 슬라이더, 커브, 스플리터 등의 구종을 구사하나 주로 구사하는 구질은 슬라이더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6> {{{#ffffff 역대 투수 성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ERA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5 ||<|9> [[LG 트윈스|LG]] ||<-14> 1군 기록 없음 || || 2016 ||<|2><-14> 군복무([[의무경찰]]) || || 2017 || || 2018 ||<-14> 1군 기록 없음 || || 2019 || 1 || ⅓ || 0 || 0 || 0 || 0 || 0.00 || 0 || 0 || 2 || 0 || 0 || 0 || 3.00 || || 2020 || 28 || 31 || 2 || 3 || 4 || 1 || 6.68 || 45 || 4 || 22 || 18 || 23 || 23 || 2.13 || || 2021 || 7 || 6 || 0 || 0 || 0 || 0 || 9.00 || 8 || 1 || 3 || 4 || 6 || 6 || 1.67 || || 2022 ||<-14> 1군 기록 없음 || || 2023 || 8 || 7⅔ || 0 || 0 || 0 || 0 || 2.35 || 7 || 0 || 5 || 6 || 2 || 2 || 1.57 || ||<-2> '''[[KBO 리그|KBO]] 통산''' [br] (4시즌) || 44 || 45 || 2 || 3 || 4 || 1 || 6.20 || 60 || 5 || 32 || 28 || 31 || 31 || 1.98 || == 여담 == *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청원고등학교]] 시절에는 타자로도 활약했다.[[https://www.facebook.com/DABaseball/videos/827270577319674/|링크]] * [[의무경찰]]로 군 복무를 마쳤는데, [[대통령경호처/지원부대|청와대 경호를 지원하는 부대]][* 부대 위치는 '''군사기밀이므로 절대 서술하지 말 것.''']에서 근무했다고 하며 태권도가 무려 4단이라고 한다. * 인지도 부족으로 팬들이 잘 모르는 선수이지만 외모가 잘 생겼다는 얘기가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상규, version=8)]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중랑구 출신 인물]][[분류:청원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한화 이글스/현역]][[분류:의무경찰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