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장)] ---- [include(틀:KBO/역대 총재)] ---- [include(틀: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include(틀:제3군단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1e31, #ec1e31 20%, #ec1e31 80%, #ec1e31)"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대한민국 제27대 국방부 장관}}}]][br]{{{#fff {{{+1 이상훈}}}[br]李相薰 | Lee Sang-ho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상훈 1982.png|width=100%]]}}} || ||<|2> '''출생''' ||[[1933년]] [[6월 26일]] ||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 || ||<|2> '''사망''' ||[[2023년]] [[9월 11일]] (향년 90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 ||<|4> '''재임기간''' ||제4대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1983년]] [[8월]] ~ [[1985년]] [[9월]]|| ||제27대 국방부 장관|| ||[[1988년]] [[12월 4일]] ~ [[1990년]] [[10월 8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경기고등학교]] {{{-2 (졸업)}}} || ||<|2> '''가족''' ||'''동생''' [[이상철(1948)|이상철]][*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 ||'''아내''' 안정숙, 슬하 2남 || || '''종교''' ||[[가톨릭]]([[세례명]]: 시몬) || || '''경력''' ||국가안보회의 비상기획위원장[br]제27대 국방부 장관[br]KBO 총재[br]재향군인회 회장[br]서초포럼 운영위원회 위원장 겸 명예회장[br]국가원로회의 상임의장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1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5년 ~ 1985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제27대 국방부 장관. 8남매 중 6명이 서울대를 나왔고, 1명은 [[육군사관학교]]를 나왔다. 그 중 2명이 장관을 지낸 형제 장관 집안이다. 셋째인 이상훈 장관과 막내인 [[이상철(1948)|이상철]]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다. == 생애 == 1933년 6월 26일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6.25때 학도병으로 참전하였다가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등과 [[육군사관학교]] 11기 동기이다. 1961년 [[5.16 군사정변]]이 벌어지자 육사 생도의 혁명 지지행진을 이끈 바 있다. 맹호부대 대대장으로 월남전에 참전하였으며 [[제32보병사단|32사단장]], 육본 작전참모부장, [[제3군단|3군단장]], 합참 본부장 등을 거쳤다.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대장(계급)|대장]])을 지냈다. 전역 후에는 장관급인 국가안보회의 비상기획위원장에 임명됐으며 그가 장관급에 임명되자 [[하나회]] 내부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상훈은 비 하나회로 하나회에 비판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국방부 장관에도 하나회의 핵심, [[정호용]] 대신 비 하나회인 [[이기백(군인)|이기백]]이 되었기에 불만은 더욱 컸다. 이상훈의 중용은 지나치게 커진 하나회의 목소리를 줄이기 위한 전두환의 포석이었으며 서울 경기고 출신으로 능력이 우수하고 또한 강직하고 순수하여 군 안밖에서 신뢰가 컸던 그에 대한 포용이었다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14921.jpg]] 노태우 재임 시에는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을 약 2년간 지냈다. 재임 중에 통칭 '818계획'으로 불리는 군 조직 개편안을 추진하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를 종전의 군사자문 기구에서 육-해-공 3군의 작전부대에 대한 최고 지휘권을 행사하는 최고 군령기구로 강화했다.[* 818 계획은 [[1990년]] 국군조직법 개정으로 현실화되었고, 정호근 육군 대장이 3군 총괄 군령권을 행사하는 첫 합참의장에 취임했다.] [[1992년]]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에 취임했다. 이후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재향군인회 회장을 지냈다. 재임 중 [[참여정부]]의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졸속추진이 논란이 되자 다른 예비역 장성들과 함께 반대를 주도했다. 국가보안법 폐지 움직임이 거세지자 이의 반대 집회를 재향군인회가 중심이되어 기독교 단체들과 함께 광화문에서 대규모로 진행하여 보수단체의 대형 광화문 집회를 역대 처음으로 이끌어냈다. 재향군인회장 이후에는 애국단체 총연합회장, 그리고 국가원로회의 상임의장을 맡아서 계속해서 보수단체들의 큰 어른으로써 역할을 했고 만90세에도 집회에 자주 초대되어 열변을 토하는 연설을 했다. 2023년 9월 11일 저녁 8시 [[서울아산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0세. [[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3/09/12/6AYXSXPEXZA2NFE3KM6QY2452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둘러보기 == [include(틀: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상훈, version=144)]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분류:1933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청주시 출신 인물]][[분류:KBO 총재]][[분류:국방부 장관]][[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