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332년 출생]][[분류:1410년 사망]][[분류:홍주 이씨]][[분류:고려의 인물]][[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개국공신]][[분류:영의정]][[분류:조선의 정승]]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태종-성종))] ----- || '''{{{#f0ad73 이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태조-성종))] ---- [include(틀:조선 개국공신)] ---- }}} || ---- ||<-2> {{{#!wiki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안평부원군(安平府院君) 문간공(文簡公)[br]{{{+1 이서}}}[br]李舒'''}}} || || '''출생''' ||[[1332년]]([[충숙왕]] 복위 1) || || '''사망''' ||[[1410년]]([[태종(조선)|태종]] 10) || || '''[[부원군|{{{#fff 군호}}}]]''' ||안평부원군(安平府院君) || || '''[[시호|{{{#fff 시호}}}]]''' ||문간(文簡) || || '''[[본관|{{{#fff 본관}}}]]''' ||[[홍주목|홍주]] [[이씨]] || || '''[[자(이름)|{{{#fff 자}}}]]''' ||양백(陽伯), 맹양(孟陽) || || '''[[아호|{{{#fff 호}}}]]''' ||당옹(戇翁), 송강(松岡) || ||<-2> {{{#!wiki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6px -1px -11px" ||<|4> '''재임[br]기간''' ||제1대 영의정 || ||[[1401년]] [[8월 22일]] - [[1402년]] [[5월 19일]][br]{{{-2 (음력 [[태종(조선)|태종]] 1년 7월 13일 - 태종 2년 4월 18일)}}} || ||제9대 영의정 || ||[[1409년]] [[9월 18일]] - [[11월 17일]][br]{{{-2 (음력 태종 9년 8월 10일 - 10월 11일)}}}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서(李舒)는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의 [[정승]]이다.그리고 '''조선의 최초의 영의정이다.''' == 생애 == [[고려]] [[고종(고려)|고종]] 때 [[문하시중]]을 지낸 이연수(李延壽)의 6세손이며, 연경궁 제학(延慶宮提學) 이기종(李起宗)의 아들이다. [[홍주목|홍주]]를 [[관향]]으로 하게 된 것은 아버지 때부터이다. [[1357년]](공민왕 6)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군부좌랑(軍簿佐郞)에 이르렀으나, 세상이 어지럽고 정치가 문란한 것을 보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둔하였다. [[1392년]](태조 1) [[태조(조선)|태조]] 추대에 참여하여 음력 8월 20일 개국[[공신#s-1.2.1]] 3등에 책록되어 안평군(安平君)에 봉해지고 [[형조]] 전서(典書)에 임명되었다. [[1394년]](태조 3)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고, [[1396년]](태조 5) [[신덕왕후]]가 죽자 3년간 [[정릉(서울 성북)|정릉]]을 수묘(守墓)하였다. [[1398년]](태조 7)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올랐다. [[태종(조선)|태종]]이 즉위한 후 [[1401년]](태종 1) [[문하시랑찬성사]]에 이어 [[우정승]]으로 [[부원군]]에 진봉(進封)되고 고명사(誥命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같은 해 [[영의정]]이라는 명칭으로는 처음 임명되어 고령으로 [[치사#s-3]]했다. 태조가 이서를 개인적으로 친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두 번에 걸친 [[왕자의 난#s-2.6]]으로 상심하여 전국의 [[절(불교)|명산대찰]]을 돌고있던 태조를 중 설오(雪悟)와 함께 [[안주시|안주]]에 나가 맞아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1404년]](태종 4) 다시 우정승이 되어 정계에 복귀하였고 [[1405년]](태종 5) 다시 치사하였다. [[1409년]](태종 9) 다시 우정승으로 복귀하였다가, 같은 해 완전히 은퇴하고 다시 영의정이 되어 기로소에 들어간 뒤 말년을 향리에서 보내다 [[1410년]](태종 10)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