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해군)] [Include(틀:이스라엘 관련 문서)] [include(틀:이스라엘군)] ||<-2>
{{{#0038b8 {{{+2 '''이스라엘 해군'''}}}[br]חיל הים[br]Israeli Navy }}} || ||<-2>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width=100%]] || [[파일:이스라엘 해군 엠블럼.png|width=100%]] || || '''군기''' ||<-3> '''엠블럼''' ||}}} || || {{{#0038b8 '''창설년도''' }}} ||[[1948년]] ~ 현재 || || {{{#0038b8 '''국가'''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이스라엘]] || || {{{#0038b8 '''명령체계''' }}} ||[[이스라엘 국방부]][br]해군본부 || || {{{#0038b8 '''주임무''' }}} ||해상전, 영해방위 || || {{{#0038b8 '''소속''' }}} ||[[파일:이스라엘군기.svg|width=30]] [[이스라엘군]] || || {{{#0038b8 '''군종''' }}} ||[[해군]] || || {{{#0038b8 '''전력''' }}} ||9,500명 / 예비 10,000명 / 함선 67척 || || {{{#0038b8 '''전신''' }}} ||[[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svg|width=30]]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팔마크 팔얌 || || {{{#0038b8 '''참전''' }}} ||[[중동전쟁]] * [[제1차 중동전쟁]] * [[6일 전쟁]] * [[욤 키푸르 전쟁]] [[레바논 내전]] [[가자 전쟁]]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 {{{#FFFFFF '''지휘''' }}} || || {{{#0038b8 '''해군사령관''' }}} ||소장 다비드 살라마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스라엘]]의 [[해군]]이다. 주변 [[적국]]의 해군으로부터 이스라엘의 영해인 [[지중해]]와 [[홍해]]를 보호하고 해상 천연가스전을 보호하는 주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편제 == [[해군 항공대]]도 없이 해상 작전 [[회전익]]기들도 전부 [[이스라엘 공군]] 소속으로 두고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군이 모든 항공기를 [[공군]]에 두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AH-64 아파치]] 등 [[육군]]을 지원하는 항공기들도 별도의 [[육군 항공대]]를 두지 않고 전부 공군에서 운용한다. 아무래도 국토가 넓은 편이 아닌지라 지휘권을 한 곳에 몰아주는 게 효율적이라 판단한 것이다. == 함정 ==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함선)] === 수상함 === || 이름 || 만재배수량 || 척수 || || [[사르급 고속정#s-2.1|Saar 4.5급(Hetz급)]] || 490톤 || 8척 || || [[사르 5급 초계함|Saar 5급]] || 1,200톤 || 3척 || || [[사르 6급 초계함|Saar 6급]] || 1,900톤 || 3척 || 보다시피 3,000톤급~5,000톤급의 호위함, 구축함급의 전투함이 한 척도 없다. 이것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접하는 [[면적]]이 적은 이스라엘에게 해상에서의 전투에 대비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해군력]] 대부분을 사실상 감시 전력 위주로 운용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적대국가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은 사실상 해군력이 전무한 상태이다. 그러나, 가장 큰 호적수인 [[이집트 해군]]이 이스라엘 해군을 압도하고 있어 이를 경계하고 있다. 또한, [[영국 해군]]에게 공여받았던 [[구축함]] '[[전시 비상계획 구축함|에일라트]]' 함이 [[P-15 테르밋|스틱스]]에 피격되어 격침된 뒤, 대형함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미사일 고속정]] 위주로 개편한 뒤 치른 1973년 10월의 4차 중동전쟁에서 육/공군과 달리 아랍 해군들을 피해없이 제압한 전례가 있었던 것도 소형함을 선호하는 기조[* 반대로 4차 중동전에서 미사일 고속정만 믿었다가 개털렸전 이집트 해군은 이후 대형함들을 선호하게 됐다.]에 힘을 실었다.[* 대표적 사례로 라타키아 해전에서 소련제 대함 미사일로 무장한 시리아 전투함정들을 한척의 손실도 없이 격침시킨 바 있다.] 대신 적군 대형 수상함대에 대한 견제는 잠수함과 공군기들이 맡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대형에 속하는 MEKO 80 도입을 결정하는 등 대형함 불신론이 조금씩 깨지고 있다. 해안 초계중이던 경비함이 [[하마스]]의 공격에 중파되고, [[헤즈볼라]]의 [[미사일]]에 파괴되는 등 피해를 입으며 생각이 바뀌고 있는 듯하다. 여기에 이스라엘이 [[2010년대]] 이후 지중해에서 천연가스전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할하기 위해서도 수상 전력을 조금 더 대형화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독일]] 방산기업인 [[티센크루프]]와 브라운 슈바이크급을 원형으로, [[AESA]] 레이더와 해상형 [[바락 8 대공미사일]]등으로 무장한 [[사르 6급 초계함]]이 2020년 12월에 정식 취역했다. === 잠수함 === || 이름 || 수중배수량 || 척수 || || [[돌핀급 잠수함|돌핀급]] || 1,900톤 || 3척 || || [[돌핀급 잠수함|돌핀 2급]] || 2,400톤 || 2척 || [[파일:60c37cad23393a00188e2a6e.jpg|width=100%]] == 특수부대 == || [[파일:Shayetet 13.jpg |width=100%]] || || [[샤예테트 13|Shayetet 13]] || == 출신 인물 == * [[요시 베나윤]] - 해군 체육 지도자로 대체복무. [[분류:나라별 해군]][[분류:이스라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