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키예 관련 문서)] [[한국어]] : 이스탄불 메트로 [[터키어]] : İstanbul Metrosu [[영어]] : Istanbul Metro [[파일:Metro_Istanbul_Map.jpg]] [목차] == 개요 == [[1989년]] [[9월 3일]]에 개통된 [[이스탄불]]의 [[도시철도]]로 [[튀르키예]] 최초의 도시철도이다. 2020년 현재 총 7개의 노선이 운영 중이며 104개 역이 운영 중에 있고 4개 노선, 64개의 역이 공사 중에 있다. 튀르키예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답게 이스탄불 지하철의 승객은 2015년 한 해에 무려 3억 8,490만 명을 기록했다고 한다. 총 길이는 115.3km이며 철도 궤도는 1,435mm [[표준궤]]를 사용 중이다. == 역사 == [[파일:튀넬.jpg]] 갈라타 언덕을 가로질러 카라쾨이와 베이오를루를 이어주는 튀넬 사실 이스탄불 도시철도의 역사는 생각보다 매우 오래되었다. 이미 [[오스만 제국]] 시절인 1875년 1월 17일에 이스탄불 최초의 지하철인 튀넬(Tünel)이 개통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세계에서 2번째로 오래된 지하철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것은 1863년에 개통된 [[영국]]의 [[런던 지하철]]이다.] 유럽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철도이다. 다만 이 튀넬이란 것은 길이 573m에 역 2개짜리 미니 노선이라 도시철도라고 부르기는 심히 민망한 수준이다. 현재는 퓌니퀼레르(püniküler)라고 불리는데 카라쾨이에서 튀넬까지 언덕이 굉장히 가팔라서 여전히 유용하게 잘 쓰고 있다. 다만 이것도 별도의 노선으로 치기때문에 환승시 요금이 나간다. 여기는 무료환승 제도가 없다. 본격적인 도시철도 건설 논의는 1912년에 [[프랑스인]] 엔지니어인 L. Guerby가 고안했다. 그러나 당시 [[오스만 제국]]이 말기에 접어들어 재정이 빈약한 상태라 도시철도를 뚫을 여력이 없어 좌절되었다. 애초에 트램 노선의 전철화가 바로 전 해인 1911년에야 이루어졌다. 당시 계획한 노선은 톱카프(Topkapı)와 쉬쉴리(Şişli) 구를 포함하고 [[금각만]]을 잇는 노선으로 총 24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각 역은 75m 승강장을 갖추고 역 간 거리는 220~975m 간격으로 배치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이 노선에 대한 청사진은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후 1936년 프랑스의 도시 계획가 앙리 프로스트(Henri Prost)가 탁심(Taksim) 구와 베야즛(Beyazıt) 구 사이를 잇는 지하철 노선과 [[금각만]]을 남북으로 잇는 노선을 제안했으나 이 역시 당시 튀르키예의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 계획으로만 끝났다. 또 1951년 10월에 [[네덜란드]] 회사인 네데코(Nedeco)에서 15년 전 앙리 프로스트가 제안했던 계획과 유사한 탁심과 베야즈트를 잇는 노선을 제안했으나 계획에만 그쳤다.[* 이 노선 기획은 M2가 개통되면서 어느정도 실현되었다. 베야즈트를 완전히 지나가지는 않지만 예니카프-베즈네질레르(베야즈트 뒷편)-할리치-쉬쉬하네-탁심구간이 이 계획도와 겹친다.] 1952년 9월에 [[파리(프랑스)|파리]] 교통국장 마르크 랑주뱅(Marc Langevin)이 14장(Chapter)짜리 보고서를 준비했고 더불어 그의 동료 루이스 메이조넷(Meizzonet)과 함께 프로젝트를 성사시키려 하였고 다른 도시 대중교통의 통합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계획은 모두 이루어지지 못했고 1987년까지 무기한 보류되었다가 1987년에야 비로소 현대적인 이스탄불 지하철 공사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1989년 9월 3일에 이스탄불 지하철 1호선인 M1이 개통되었다. 당시 M1의 노선은 악사라이(Aksaray)역-코자테페(Kocatepe)역까지 총 6개 역으로 이루어진 6.5km짜리 짧은 노선이었다. 그리고 그 해 12월 18일에 에센레르(Esenler)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1994년 7월 31일에 오토가르(Otogar)역과 M1A 지선 라인이 개통되었다. 그리고 2012년에 또 다른 지선인 M1B 라인 연장을 시작했고 2013년 6월 14일에 개통되었다. 그 사이에도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이었는데 2호선인 M2 노선의 경우 1992년 9월 11일에 착공되었으나 공사 현장에서 수많은 유물들이 발굴되어 이 때문에 공사가 무기한 연기되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그랜드바자르로 유명한 베야즈트를 동서로 관통해 잔쿠르타란쪽으로 갈 예정이었지만 예니카프-베즈네질레르 구간으로 우회하게 되었다. 2000년 9월 16일에 탁심역에서 4. 레벤트역을 연결하는 8.5km의 M2가 1차적으로 개통되었다. 2009년 1월 31일에는 4. 레벤트역에서부터 아타튀르크 오토 사나이역과 탁심역에서 쉬쉬하네역을 이어주는 노선이 개통되었다. 2014년 2월 15일에는 금각만 건너편의 예니카프역까지 연장된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리하여 현재 이스탄불에는 M1~M7, M9까지 총 8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추가로 4개 노선이 더 건설될 예정이라고 한다. 지금 운행 중인 107개의 전철 역 중 88개가 지하에 있고 8개가 고가형이며 9개가 경사면 혹은 지상에 있고 2개가 반지하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 노선 == === 운행 중인 노선 === 현재 운행 중인 이스탄불 지하철 노선은 아래에 표기된 8개이다. 그 중 1호선인 M1은 [[수도권 전철 5호선]]과 같이 2개의 지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M1A 지선은 이스탄불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까지 이어지는 노선이고 M1B는 키라즐르로 향하는데 이곳에서 3호선인 M3과 연결되어 있다. 6호선인 M6는 4개 역밖에 없는 미니 노선인데 이것이 끝인 듯하며 현재 연장 계획도 전혀 세워져 있지 않다고 한다. 애초에 보아지치대 학생들을 위한 통학라인으로 기획되었던 노선이었다. 지하철과 별개로 튀르키예 국철 자회사에서 운영하는 통근 전철(Banliyö treni) 마르마라이선이 있으며 일부 역에서 지하철과 환승할 수 있다. 마르마라이선은 독일의 [[S반]]과 유사한 시스템이며 마르마라이 해저터널을 통해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과, 할칼르역과 게브제역 간 운행된다. 마르마라이선 이외에 [[2029년]] 개통 예정인 [[GTX]]와 유사한 [[광역급행철도]] 노선(M34, Hizray)으로 유럽 지역과 아시아 지역을 빠르게 연결할 계획이다. || 노선 || 구간 || 길이 || 역 수 || 개통 연도 || || M1 || 예니카프~[[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아타튀르크 국제공항]](M1A)/키라즐르(M1B) || 26.1 || 23 || 1989 || || M2 || 예니카프~하즈오스만 || 23.5 || 16 || 2000 || || M3 || 키라즐르~메트로켄트-올림피야트 || 15.9 || 11 || 2013 || || M4 || 카드쾨이~타브샨테페 || 26.5 || 19 || 2012 || || M5 || 위스퀴다르[* [[지상렬]]이 [[몬데그린]] 개그로 써먹던 튀르키예 민요 위스퀴다르의 배경인 곳이다.]~체크메쾨이 || 20 || 16 || 2017 || || M6 || 레벤트~보아지치 대학교/히사르위쉬튀 || 3.3 || 4 || 2015 || || M7 || 일드즈[* 추후 카바타쉬까지 연장 예정. 참고로 메지디예쾨이-일드즈 구간은 단선으로 운행, 메지디예쾨이 역에서 평면환승이 이뤄진다.]~마흐뭇베이 || 18 || 15 || 2020.10.28 || || M9 || 바하리예[* 추후 아타쾨이까지 연장 예정.]~올림피야트 || 6 || 5 || 2021.5.29 || || M11 || 캬으타네[* 추후 가이렛테페까지 연장 예정.]~[[이스탄불 공항]][* 추후 할칼르까지 연장 예정.] || 34 || 8 || 2023.1.22 || === 건설 중인 노선 === 2017년 12월, [[현대로템]]의 발표에 따르면, 이미 제작 중에 있는 마흐뭇베이 (Mahmutbey) 에서 카바타쉬 (Kabataş) 까지 가는 24.5km 길이 M7 노선에 들어가는 차량 75개 편성에 이어 마흐뭇베이 (Mahmutbey) 에서 에센유르트 (Esenyurt) 까지 가는 18.5km 길이 M7 연장 노선에 들어가는 4량 무인운전 차량 20개 편성, 보스탄츠 (Bostancı) 에서 두둘루 (Dudullu) 까지 가는 14.3km 길이 M8 라인에 들어가는 4량 무인운전 차량 10개 편성 유지보수 추가 계약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노선 || 구간 || 길이 || 역 수 || 개통 연도 || || M1B 연장 || 키라즐르~할칼르 || 9.7 || 9 || 미정 || ||<|2> M3 연장 || 바크르쾨이-이도~키라즐르 || 9.0 || 7 || 미정 || || 바샥셰히르~카야셰히르 || 6.2 || 5 || 미정 || || M4 연장 || 타브샨테페~사비하 괵첸 공항 || 7.4 || 4 || 2022 || || M8 || 보스탄즈-이도~두둘루 || 14.2 || 13 || 2022 || || M10 || 펜딕 사힐~카이나르자 메르케즈 || 5.1 || 2 || 미정 || || M11 || 가이렛테페~[[이스탄불 공항]] || 37.2 || 9 || 2022 || || M12 || 괴즈테페~윔라니예 || 13.0 || 11 || 2023 || || M13 || 하스타네~예니도안 || 6.9 || 6 || 미정 || === 계획 중인 노선 === || 노선 || 구간 || 길이 || 역 수 || 현황 || ||<|2> M2 연장 || 예니카프~바크르쾨이-인지를리 || || 5 || 계획 || || 하즈오스만~사르예르 || || 3 || 계획 || || M4 연장 || 타브샨테페~투즐라 || 7.9 || 7 || 계획 || || M5 연장 || 체크메쾨이-산작테페~술탄베일리 || 10.9 || 9 || 계획 || ||<|2> M7 연장 || 마흐뭇베이~에센유르트 || 18.5 || 12 || 2025년~2028년 || || 에센유르트~사데데레 || 18.5 || 12 || 계획 || [[분류:튀르키예의 도시철도]][[분류:이스탄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