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이승우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0c000><:>'''{{{#white 제25회 [[동인문학상]] 수상 }}}'''|| ||<:>[[정영문]][br]어떤 작위의 세계[br](2012)|| → ||<:>'''이승우[br]지상의 노래[br](2013)''' || → ||<:>[[구효서]][br]별명의 달인[br](2014) || ||||||||||||||<#c0c0ff><:>'''{{{#white 제44회 [[현대문학상]] 수상 }}}'''|| ||<:>[[정이현]][br]삼풍백화점[br](2006) || → ||<:>'''이승우[br]전기수 이야기[br](2007)'''|| → ||<:>[[김경욱(소설가)|김경욱]][br]99%[br](2008) || ||||||||||||||<#FF5E00><:>'''{{{#white 제10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 ||<:>[[박민규(소설가)|박민규]][br]근처[br](2009) || → ||<:>'''이승우[br]칼[br](2010)'''|| → ||<:>[[윤성희]][br]부메랑[br](2011) || }}} || ||<-3> '''{{{#fff {{{+2 이승우}}} }}}''' [br] '''{{{#fff 李承雨 | Lee Seung-U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e_Seung-u.jpg|width=100%]]}}} || ||<|2> {{{#fff '''출생'''}}} ||<-2>[[1959년]] [[2월 21일]] ([age(1959-02-21)]세) || ||<-2>[[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신동리 동두마을[* [[인천 이씨]] 집성촌이다. [[http://www.j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8380|#]]] || || {{{#fff '''본관'''}}} ||<-2>[[인천 이씨]][* 공도공파 37세손.] || || {{{#fff '''국적'''}}}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fff '''직업'''}}} ||<-2>[[소설가]], [[교수]] || || {{{#fff '''데뷔'''}}} ||<-2>1981년 《에리직톤의 초상》 || || {{{#fff '''학력'''}}} ||<-2>[[서울신학대학교]] {{{-2 (학사)}}} [br]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 (중퇴)}}} || || {{{#fff '''경력'''}}} ||<-2>[[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및 교수 || || {{{#fff '''가족'''}}} ||<-2>아버지 이기태, 어머니 송삼임, 2남 1녀 중 차남 || || {{{#fff '''종교'''}}} ||<-2>[[개신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습작기 때 [[이청준]] 선생님의 소설을 읽고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그런 열망 같은 것을 아마도 처음 가지게 되었어요. “아, 이거 멋있다. 이런 식으로 인간에 대해 표현한다는 것은 해볼 만한 일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 >소설가를 꿈꾸게 된 계기 [[https://youtu.be/j_yr0zHoBEw|#]]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현재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1959년]] [[2월 21일]],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군은 [[이청준]], [[한승원]] 등 한국 소설의 거장들을 여럿 배출해낸 지역이다.] 관산읍 신동리 동두마을에서 아버지 이기태(李基泰)와 어머니 [[여산 송씨]] 송삼임(宋三任) 사이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원을 중퇴했다. == 생애 == 유년기에 대해서는 작가의 언급이 없으나 2013년도 동인문학상 수상 이후 조선일보 기사에 의하면, 초등학교 1학년 때 병으로 아버지가 죽고, 성인이 될 때까지 지극히 폐쇄적인 생활을 했다고 한다. 이는 장편 『생의 이면』의 내용과 유사하며, 작가의 자전적인 경험이 섞여 있다고 볼 수 있다. 1981년 중편 「에리직톤의 초상」이 한국문학 신인상을 받게 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에리직톤의 초상은 이전의 한국 문학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형이상학적, 종교적 색채를 담은 명저로 평가받는다. 이때 쓴 「에리직톤의 초상」은 1990년에 약 원고지 500매 가량이 추가되어 살림에서 장편으로 출간된다. == 평가 == 장장 30여년간의 문학 활동으로 한국 문학의 수준을 한층 더 끌어올린 명작가임은 분명하고, 해외에선 '''[[노벨문학상]] 후보로까지 언급될 정도로''' 고평가 받는 작가지만, 정작 국내에선 대중들에게 유명한 편은 아니다. 『생의 이면』은 90년 대 쓰인 장편소설 중 기억할 만한 작품 1, 2순위로 손꼽힌다. 그의 소설은 고향 [[선배]]이기도 한 소설가 [[이청준]]의 뒤를 잇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관념적, 심리분석적 성격과 특유의 액자구조 소설 양식에서 이청준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덕분에 이승우의 이름엔 항상 이청준의 직계라는 꼬리표가 붙는다. 20대 초반(...)에 장편소설 <에리직톤의 초상>으로 등단하는 등, 여러모로 대단한 재능의 소유자이다. 본인은 전혀 그런 감각이 없고, 자신의 재능에 대해 겸손한 태도를 갖고 있지만 신학에 몸담았던 경력 탓인지 발상 자체가 압도적인 수준이다. == 여담 == * 90년대 괴담 베스트셀러 [[공포특급]]이 제 3권에서 기성 작가와 콜라보를 하였을 때 참여했던 작가 중 한명이다. 책 맨 첫장에 수록된 <악몽, G30117의 어떤 하루>이 이승우의 작품인데 읽어보면 놀랍게도 괴담이 아니라(…) SF 디스토피아물이다. == 작품 목록 == === 장편소설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에리직톤의 초상》 || [[1990년]][* 최초 발간 연도는 1990년, 발표일은 1981년.] || || 《가시나무 그늘》 ||<|2> [[1991년]] || || 《따뜻한 비》 || || 《생의 이면》 ||<|2> [[1992년]] || || 《황금가면》 || || 《사랑의 전설》 || [[1996년]] || || 《태초에 유혹이 있었다》 || [[1998년]] || || 《식물들의 사생활》 || [[2000년]] || ||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 || [[2005년]] || || 《욕조가 놓인 방》 || [[2006년]][* 2022년 재출간] || || 《그곳이 어디든》 || [[2007년]] || || 《한낮의 시선》 || [[2009년]] || || 《지상의 노래》 || [[2012년]] || || 《독》[* 1995년 <내 안에 또 누가 있나>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던 소설이다.] || [[2015년]] || || 《사랑의 생애》 || [[2017년]] || || 《캉탕》 || [[2019년]] || || 《이국에서》 || [[2022년]] || === 중·단편집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구평목씨의 바퀴벌레》 || [[1987년]] || || 《일식에 대하여》 || [[1989년]] || || 《세상밖으로》 || [[1991년]] || || 《미궁에 대한 추측》 || [[1994년]] || || 《1년 3개월 7일》 || [[1997년]] || || 《목련공원》 || [[1998년]] || || 《사람들은 자기 집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다》 || [[2001년]] || ||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 [[2002년]] || || 《심인광고》 || [[2005년]] || || 《오래된 일기》 || [[2008년]] || || 《신중한 사람》 || [[2014년]] || || 《모르는 사람들》 || [[2017년]] || || 《사랑이 한 일》 || [[2020년]] || || 《마음의 부력》 || [[2021년]] || === 산문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 [[2006년]] || || 《소설을 살다》 || [[2008년]] || || 《소설가의 귓속말》 || [[2020년]] || == 수상 == || '''{{{#fff 연도}}}''' || '''{{{#fff 시상식}}}''' || '''{{{#fff 작품명}}}''' || || 1981 || '''한국문학 신인상''' || 《에리직톤의 초상》 || || 1993 || '''제1회 대산문학상 소설부문''' || 《생의 이면》 || || 2002 || '''제15회 동서문학상''' ||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 || 2007 || '''제44회 [[현대문학상]]''' || 《전기수 이야기》 || || 2010 || '''제10회 [[황순원문학상]]''' || 《칼》 || || 2013 || '''제44회 [[동인문학상]]''' || 《지상의 노래》 || || 2018 || '''제21회 동리문학상''' || 《모르는 사람들》 || || 2019 || '''제27회 오영수문학상''' || 《캉탕》 || || 2021 || '''제44회 [[이상문학상]]''' || 《마음의 부력》 || == 관련 문서 == * [[작가/목록]] [각주] [[분류:195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인천 이씨]][[분류:장흥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서울신학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