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승현)] ||<-2> '''{{{+1 이승현}}}[br]李勝鉉'''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tm_2008111001481230003600-001.jpg|width=100%]]}}}|| ||<|2> '''출생''' ||[[1961년]] [[11월 26일]] ([age(1961-11-26)]세) || ||[[서울특별시]] || || '''종교''' ||[[개신교]] || || '''학력''' ||[[경복고등학교]] || || '''직업''' ||[[배우]] || || '''데뷔''' ||1967년 영화 《[[육체의 길(1967)|육체의 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6살이던 1966년 아역배우로 영화에 등장하기 시작해서, 1970년대 청춘영화의 대명사인 '얄개 시리즈'에서 주인공을 맡아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1976년 고교얄개를 시작으로 <얄개행진곡> <대학얄개> 등에 출연했다. 1973년 청룡영화제 장려상, 1974년 제13회 [[대종상]] 영화제 특별상, 1977년 제13회 [[백상예술대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 일생 == 1961년에 2대 독자로 태어났는데, 아버지는 사업 때문에 [[일본]]으로 많이 나가서 [[서울특별시|서울]] 을지로에서 어머니 이학원(1933~2019)[* 약대 출신으로, 결혼 전에는 외자청장 비서와 경무대 사무직원으로 근무했다.]과 단 둘이 살았다. 어린 시절 그는 어머니로부터 동생을 시장가서 사오라고 졸랐을 정도로 외로이 자랐지만, 4세 때에는 어머니의 약국이 있는 광희동 로터리에서 교통정리를 하거나 어머니가 불공을 드릴 때 절에서 스님의 목탁 소리에 맞춰 트위스트를 추는 등 비범한 모습을 보여 주위 사람들로부터 '재동'으로 불렸다고 한다. 6살 때이던 1966년, 어머니의 친구가 운영하던 충무로의 한 여관에 놀러갔다가 [[조긍하]] 감독의 눈에 띄어 영화 <[[육체의 길(1967)|육체의 길]]>에서 김승호의 오줌싸개 막내아들 역으로 출연하면서 [[아역 배우]]로 연기 생활을 시작하였다. NG 없이 연기를 척척 해내면서 당대 영화의 아역 상당수를 사실상 독차지했다. 특히 1968년작 영화 <속 팔도사나이>에서는 천연덕스러운 사투리를 구사하여 인기를 끌었다. 1970년 TBC 아역탤런트로 특채되어 <비둘기가족>에서 박병호의 아들 역으로 나와 TV 브라운관에도 얼굴을 알렸다. 같은 시기 <코미디스폿트>에선 배우 김희갑과 찰떡궁합이었으며 MBC <세상만사>에서도 코미디언 심철호, 아역배우 박정은 등과도 같이 출연했다. 사투리 실력 외에 노래 실력도 뛰어나 쇼와 연극 등지에서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또 만능 스포츠맨으로서 축구선수 황재만과 박병철과도 친분을 맺었다. 1972년 이만희 감독의 영화 <0시>에서 한국 영화사상 최초로 본인의 목소리를 녹음한 아역 배우가 되었고, 1974년 임권택 감독의 영화 <울지 않으리>에선 전쟁고아 재남 역으로 열연하여 아역으로서 처음으로 대종상 특별상을 받았다. 1976년 TBC 주말연속극 <결혼행진곡>에서 개구쟁이 막내아들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고, 1977년 <[[고교얄개]]>에서 악동 나두수 역을 맡아 이덕화에 이은 '하이틴 영화' 신화를 이어나갔다. 고교 시절 '얄개 시리즈'에만 24편이나 출연했으며, <꺼꾸리와 장다리>, <소년 홍길동> 등지의 어린이 드라마에서는 초등학생 역으로 나와 어린이들에게도 사랑을 받았다. 얄개 시리즈 중에는 역시 아역으로 슈퍼스타였던 김정훈과 함께 나온 영화 [[고교 우량아]]도 있었다. 둘은 같은 61년생에 활동 시기가 비슷했으나 김정훈은 거의 영화에서만 활동했고 같이 나온 경우가 거의 없다. 초등학생 때까지 아역으로의 인기는 김정훈이 넘사벽, 청소년 배우 때는 이승현이 높았다. 둘 다 성인 배우로는 실패. 하이틴물에서 한 세대 위인 [[이덕화]]가 [[임예진]]과 같이 나온 적이 많은데, 이승현은 [[강주희]]와 함께 나온 일이 많다. 1980년대 들어 영화 트렌드가 호스티스 등 성인영화로 바뀌면서, 대학생이나 사회 초년생 역으로 이미지 변신을 시도하여 <[[대학 얄개]]> 등지에도 출연했지만 이미지 탈피에 실패하고, 1986년 2월 [[캐나다]]로 [[유학]]을 떠나면서 연예계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한국에 있던 어머니의 사업이 실패하면서 [[레스토랑]] 접시닦이, 청소부, 막노동 등을 전전하다가, 1993년 10월 [[필리핀]]으로 가서 신학을 공부하고 1995년에 [[결혼]]했다. 1997년 장영일 감독의 영화 <스커트 속의 드라마>로 은막에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2000년에 배우 성인성과 함께 대한영화사를 차렸으나, 사기당해 망하고 자살까지 생각한 바 있었다. [[2002년]]에는 [[KBS 2TV]] [[인간극장]] '얄개는 울지 않는다' 편에 나왔는데, 목회자를 원하는 아내와 뜻이 달라 별거하고 [[고시원]]에서 혼자 어렵게 살면서 다시 [[영화]]에 도전하려는 이야기가 나와 과거 얄개를 기억하는 중년 [[시청자]]들의 눈물을 자아냈다. 관련 글은 [[http://yurajun.tistory.com/1495|여기]]. <인간극장> 출연 이후 팬클럽이 생기고 '얄개 이승현 살리기 운동본부'까지 생겼으나 연예계 복귀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2004년]] 4월 6일, KBS1 <이것이 인생이다> [[https://youtu.be/x2iGozuoYSA|'얄개는 두 번 울지 않는다']] 편에서 아내, 아들과 같이 출연했지만 2010년 이혼 후 2019년 다른 여자와 재혼했다. [[2013년]] [[KBS 2TV]]의 아침 토크쇼 프로그램 [[여유만만(텔레비전 프로그램)|여유만만]]에 나와서 여러 편의 영화나 [[뮤지컬]]에 참여하고 지인의 회사에서 홍보이사로 일하기도 하는 등 다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KBS2 [[연예가 중계]] 2019년 8월 30일 방송분에서는, 충남 조치원에서 재혼한 아내와 함께 파전집을 운영하면서 간간이 배우로 활동한다고 근황을 공개했다. 2020년 4월 1일 TV CHOSUN <인생다큐 마이웨이>에서도 근황이 나왔다. == 활동 내역 == === 영화 === * 1967년 [[육체의 길(1967)|육체의 길]] - 문철 역 * 1968년 아빠안녕 - 명환(오 여사의 아들) 역 * 1968년 영원한 모정 - 혁(기숙의 아들) 역 * 1969년 황야의 독수리 - 거지 소년 역 * 1969년 돌아온 팔도사나이 - 철용 역 * 1969년 이대로 간다해도 - 철(은주의 아들) 역 * 1969년 암흑가의 지배자 - 지훈 역 * 1970년 팔도가시나이 - 승현(여인숙집 아들) 역 * 1970년 젊은 아들의 마지막 노래 - 남식 역 * 1970년 원한의 팔도사나이 - 복남 역 * 1970년 예비군 팔도사나이 * 1970년 팔도여군 * 1971년 명동의 흐르는 세월 * 1971년 처복 * 1971년 초원의 빛 - 하사복 역 * 1971년 천마산의 결투 * 1971년 바보같은 사나이 * 1972년 해벽 - 윤호(석재의 아들) 역 * 1972년 일본해적 - 돌 역 * 1972년 1대1 * 1972년 쥐띠부인 * 1972년 0시 - 장규석 역 * 1972년 쟉크를 채워라 * 1973년 청춘 25시 * 1973년 뜨거운 영광 - 천재 꼬마들 역 * 1973년 처녀사공 * 1973년 수선화 * 1973년 천사의 메아리 * 1973년 꼬마신랑의 한 - 김수동 역 * 1973년 똘똘이 해상특공대 * 1974년 울지 않으리 - 재남 역 * 1974년 청녀 * 1974년 70인의 여죄수 * 1974년 나는 살아야 한다 * 1975년 10대의 영광 * 1975년 [[바보들의 행진]] - 특별출연 * 1976년 졸업생 - 진수 역 * 1976년 여자를 찾습니다 * 1976년 간난이 * 1977년 [[고교얄개]] - 나두수 역 * 1977년 얄개행진곡 - 나두수 역 * 1977년 [[고교 우량아]] - 승현 역 * 1977년 괴짜만세 - 김형기 역 * 1977년 남궁동자 * 1977년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김성환 화백의 만화 <꺼꾸리군 장다리군>을 원작으로 한 영화.] - 장다리 역 * 1977년 나비소녀 - 우정출연 * 1977년 고교 유단자 - 일만 역 * 1977년 [[여고얄개]] - 우정출연 * 1978년 소리치는 깃발 * 1978년 고교 명랑교실 - 승현 역 * 1978년 우리들의 고교시대 * 1978년 에너지 선생 - 수동 역 * 1978년 웃음소리 * 1978년 고교 고단자 * 1978년 12인의 하숙생 * 1979년 [[병태와 영자]] - 병태 남동생 역 * 1979년 아니벌써 * 1979년 내일을 향해 뛰어라 * 1979년 말띠며느리 * 1979년 너는 여자 나는 남자 - 오민우 역 * 1979년 아리송해 * 1979년 순악질여사 * 1979년 제3한강교 * 1980년 마음약해서 * 1980년 [[해 뜨는 집(영화)|해 뜨는 집]] * 1980년 [[속 병태와 영자]] * 1980년 이주일의 뭔가 보여드리겠읍니다 * 1981년 내 이름은 마야 - 헌수 역 * 1983년 대학신입생 오달자의 봄 - 승현 역 * 1983년 [[신입사원 얄개]] - 승현 역 * 1983년 대학 들개 - 승현 역 * 1983년 [[대학얄개]] - 승현 역 * 1984년 대학 괴짜들 - 무등산 꽃게 역 * 1984년 새댁 나팔을 불기 시작했다 * 1985년 춤추는 청춘대학 - 특별출연 * 1985년 먹다버린 능금 * 1986년 삿갓쓴 장고 - 소림사 역 * 1986년 가까이 더 가까이 * 1997년 스커트 속의 드라마 - 만득 역 * 1997년 파트너 - CF감독 역 * 1998년 블루스 - 모 사장 역 * 2000년 아티스트 - 우정출연 * 2001년 골뱅이@실명제 - 독사선생 역 * 2002년 남자 태어나다 - 심판 역 * 2006년 무사안일 * 2013년 슈퍼맨 강보상 - 김만구 역 === 드라마 === * 1970년 비둘기가족(TBC) * 1971년 첫남자(TBC) * 1971년 북간도(KBS) * 1972년 사모곡(TBC) * 1973년 길(TBC) * 1973년 연화(TBC) - 인성(동자승 시절) 역 * 1974년 윤지경(TBC) - 윤지경의 하인 역 * 1974년 여보 정선달(TBC) * 1975년 옥피리(TBC) - 삼돌이 역 * 1975년 임금님의 첫사랑(TBC) - 꼬마신랑 서재민 역 * 1976년 결혼행진곡(TBC) - 봉구 역 * 1976년 실화극장: 제5계절(KBS) * 1976년 똘똘이의 모험(TBC) * 1977년 연가(TBC) * 1977년 도토리 7남매(TBC) - 일남 역 * 1977년 꺼꾸리와 장다리(TBC) - 장다리 역 * 1977년 타국(MBC) * 1977년 달려라 차돌이(TBC) * 1978년 언약(TBC) * 1978년 정의의 번개돌이(TBC) - 양반도령 역 * 1978년 왕짱구(TBC) * 1979년 추적: 17세 소년(TBC) - 소년 간첩 역 * 1979년 사랑도 미움도(TBC) * 1979년 소년 홍길동(TBC) - 홍길동 역 * 1980년 바람돌이 장영실(TBC) * 1980년 의녀미사(TBC) * 1981년 TV문학관: 일월(KBS1) - 김인묵 역 * 1981년 그날(KBS2) * 1982년 현대입지전: 오똑이인생 전택보(KBS2) * 1982년 풍운(KBS1) - [[윤치호]] 역 * 1982년 TV문학관: 잔인한 도시(KBS1) * 1982년 행복의 계단(KBS1) * 1983년 산유화(KBS2) * 1983~1984년 3840 유격대(MBC) - 임종기 역 * 1984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모범작문(MBC) * 1985년 백발의 청춘(MBC) * 2012년 [[웰컴 투 힐링타운]](TV조선) - 노영만 역 === 연극 === * 1972년 학마을 사람들 * 2008년 돌아온 고교얄개 * 2013년 담배가게 아가씨 * 2019년 놀부아리랑 === MC === * 1979년 이승현 최유리의 얄개 얄숙이 만세(DBS) === 음반 === * 2008년 얄개시대(Single) == 참고 자료 == * [[https://blog.naver.com/siffler/222025187643|네이버 '꿈속의나비' 블로그 포스트]] * [[https://www.kmdb.or.kr/db/per/00004097/filmo#divFilmo|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자료]] [각주][[분류:한국 남배우]][[분류:아역배우]][[분류:1961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경복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