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이시하마 마사시.jpg]] [목차] == 개요 == 石浜真史 [[https://twitter.com/South_flight|개인 트위터]] [[일본]]의 [[애니메이터]].[[연출]]가. [[애니메이션 감독]]. 1968년 9월 1일 생. ([age(1968-09-01)]세) OH!프로덕션 출신으로 주로 작화감독과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다. == 경력 == 작화 스승은 [[오구라 노부토시]]. 화풍은 [[나카자와 카즈토]]를 동경해서 그를 따라하던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연출은 [[신보 아키유키]]와 [[마스나리 코지]]에게 배웠고, 신보의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 마스나리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자신의 연출에는 이 둘의 영향이 크다고. 이 둘은 꼭 이시하마 마사시를 컷팅이나 애프터 레코딩 현장에 데려가 어떤 흐름으로 작업이 진행되는지 보여줬다고 한다. 캐릭터 디자인 때 캐릭터 표를 그려넣는 방법도 이 둘에게 배웠다고 한다. == 특징 == 작화의 경향은 캐릭터의 선을 적게, 그림자가 없는 편을 좋아하고 여성 캐릭터를 요염하게 그리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나카무라 료스케]]와 함께 오프닝의 장인으로 불리는 인물로 세련된 오프닝을 연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니코니코동화]]에 오프닝, 엔딩 모음이 올라가 있는 연출가. 그가 만든 오프닝들은 제작진 표기 글씨도 연출의 일부로 활용해 타이포그래피로 흘러가서 오히려 논 크레딧으로 보면 뭔가 빠진 듯한 느낌을 준다. 아예 그가 오프닝을 담당한 작품은 BD를 낼 때 논크레딧을 따로 안 넣어주기도 한다. [* 특전으로 논크레딧을 넣어주는 이유가 글씨가 화면을 가려서인데 글씨가 화면의 일부라면 뺄 필요가 없다.] 이러한 자막 활용은 이시하마 본인이 원조는 아니고 [[마츠타케 토쿠유키]]의 R.O.D 오프닝 연출을 응용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시하마를 존경하는 연출가들이 오프닝을 연출할 때 이 자막 활용 연출을 종종 차용한다.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or4lniPPsS1umt03ao3_r1_1280.jpg|width=400]] 다른 감독 작품의 오프닝을 연출할 때는 감독 표기를 유난히 크게 하거나 강조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 중 [[도쿄 레이븐스/애니메이션|도쿄 레이븐스]] 오프닝에서는 감독인 [[카나사키 타카오미]]의 이름을 대문짝만하게 표시하면서 카나사키 감독이 본의 아니게(?) 인터넷에서 놀림받기도 했다. 카나사키 감독이 말하길 '내가 만든 것도 아닌데 부끄러움은 나의 몫'이라고. 그래서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다른 작품의 오프닝 등에서 카나사키 감독의 이름이 나오면 코멘트가 그의 이름 '金崎貴臣'으로 뒤덮인다. 사실은 [[야마모토 유스케(山本裕介)]]가 초기의 피해자이다. [[NHK에 어서 오세요]]의 오프닝에서는 무려 감독 이름이 10번이나 반복해서 나온다. 가장 힘든 일을 하는 역할이 감독이란 걸 알고 있는 입장에서 옆에서 지켜보고 있자면 무심코 강조해서 적어버리게 된다고. 그런데 정작 자기가 감독한 작품의 오프닝을 연출하면 저렇게 크게 안 쓴다. 색채와 조명의 변화로 감정 표현을 하는 연출을 즐겨 쓴다. 작화에 일가견이 있는 인물이라 인맥이 대단히 많다. 특히 [[R.O.D]]와 [[우주쇼에 어서오세요]]는 이시하마의 인맥의 끝판을 보여준 작품이다.[[쿠라타 히데유키]]와도 친분이 있는 사이로, 쿠라타가 구성을 맡은 작품들도 자주 맡는다. [[코지마 타카시]]를 가르치기도 했고 [[사이 후미히데]]와 작업하는 경우도 많다. [[신보 아키유키]], [[오오바리 마사미]], [[우메츠 야스오미]], [[호소다 마모루]], [[카메이 칸타]], [[마츠타케 토쿠유키]] 하고도 친분이 있다. [[와츠키 노부히로]]하고도 아는 사이. [[무장연금]]의 캐릭터 다이하마 마사시는 이시하마 마사시를 모델로 만든 캐릭터로 외모가 비슷하다. 연출은 대사로 표현하는 것보다 상징, 미장센, 행동을 통해 영상으로 감정과 의미를 표현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런 점에서 작품을 상당히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편. 너무 오랜 시간 대사가 없이 표현하는 오프닝 연출만 해서 연출법이 [[아방가르드]]에 가깝게 굳어져버리고 말았다. 그래서 호불호가 갈린다. 대사로 설명해주는 이해하기 편한 작품을 원하는 사람들은 난해하고 영문 모를 감독이라며 매우 싫어하고 이시하마 마사시 작품 매니아들은 여러 번 봐도 재밌는 작품을 만든다며 열성적으로 지지한다.[* 다만 페르소나 5 한정 이런 아방가르드 없이 원작 내용 복사 붙여넣기만 반복을 했다.] 감독 작품은 애니메이터로서의 명성에 비해 작화로 논란이 터지는 경우가 많은데 원화가의 스타일을 존중해서 수정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경우도 많고 별로 중요하지 않은 장면은 냅두고 중요한 장면에만 심혈을 기울이는 스타일이다. 어느 정도 의도된 것이며 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모든 장면의 그림체가 일정하길 원하는 사람들에겐 [[작화붕괴]]가 많다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특히 [[신세계에서/애니메이션|신세계에서]]는 이시하마 마사시가 직접 실력있는 애니메이터를 끌어모은 작품임에도 이러한 스타일 때문에 작화 매니아들과 일반 시청자의 평이 매우 크게 갈린다. [[페르소나 5 the Animation]]는 무슨 사정이 있는지[* 자세한 사항은 불명이나 당시 제작사 [[CloverWorks]]가 [[A-1 Pictures]]와의 법인 분리를 추진하던 시기였던지라 때가 겹치며 악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불명이나 이시하마의 지인 애니메이터도 별로 참여 안 했고 그냥 작화 상태가 안 좋다.[* 사실 페르소나 시리즈의 캐릭터 원안을 담당한 [[소에지마 시게노리]]의 그림체가 움직임이 조금만 많아져도 데생을 유지하기 힘들다. 심지어 5는 타 시리즈에 비해 원안을 너무 충실히 따른 디자인이 더 문제가 되었다. 어지간히 실력자가 아니면 다루기 힘든 그림체인데 실력파 애니메이터가 너무 적었다.] 반면 [[호리미야(TVA)|호리미야]]는 대중적인 연출을 구사하고 작화도 트랜디하게 살려서 호평을 받았고 최대 히트작이 되었다. 페르소나 5에서 제자 [[오오하시 카즈키]]를 가르치면서 본인도 미장센 구현에 강점이 있는 오오하시의 영향을 받아[* 오오하시는 샤프트 시절 [[신보 아키유키]]에게 연출을 배웠음에도 신보식 [[아방가르드]]를 전혀 구사하지 않는다.] 본인의 약점을 보완하는 부분을 습득해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 인맥 == [[마스나리 코지]]와 친해서 같이 작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시하마를 존경하는 후배 연출가로는 [[오가와 유키]], [[오오하시 카즈키]]가 있으며, 오오하시에게는 2021년 손수 감사 축전으로 그림과 사인을 보내줬다.[[https://twitter.com/bigbridge0924/status/1405425668888809473|#]] 제자로는 [[나츠메 신고]], [[오오하시 카즈키]]가 있다. 나츠메에게는 작화를 가르쳤고, 오오하시에게는 감독 노하우와 연출을 가르쳤다고 한다. 같이 일하는 프로듀서로는 [[CloverWorks]]의 츠지 슌이치(辻 俊一), [[이토 타이토]]가 있다. == 작품 == === 감독 === * [[신세계에서/애니메이션|신세계에서]] (2012~2013, TVA) - 콘티(ED2, 1, 2, 3, 12, 19, 25화), 연출(ED2), 작화감독(8^^공동^^화) * [[유리의 꽃과 부수는 세계]][* D.backup의 극장판] (2016, 극장판) - 스토리 감수, 콘티 * [[페르소나 5 the Animation]] (2018, TVA) - 콘티(OP1, OP^^26화^^, 1, 18^^공동^^, 26화, SP2), 연출(OP1, OP^^26화^^, 1, 26화, SP2), 원화(OP^^26화^^) * [[호리미야(TVA)|호리미야]] (2021, TVA) - 콘티(OP, 1, 13화), 연출(OP, 1, 12^^공동^^, 13화), 원화(OP) * [[YOASOBI]] [[三原色]] MV (2021, MV) - 콘티, 연출, 원화 * [[호리미야 -piece-]] (2023, TVA) - 콘티(OP, 1, 7, 13화), 연출(OP, 특수 ED^^7화^^, 1, 7, 13화), 원화(OP) === 참여작 === * [[데즈카 오사무]] 이야기 나는 손오공(手塚治虫物語 ぼくは孫悟空) (1989, TVSP) - 동화 * [[마루코는 아홉살]] (1990~1992, TVA) - 동화(4화) * [[데빌맨(OVA)|데빌맨 요조 시레누 편]] (1990, OVA) - 동화 * [[아이돌 전설 에리코]] (1989~1990, TVA) - 원화(50화) * [[아이돌 천사 어서오세요 요우코]] (1990~1991, TVA) - 원화(3, 7, 18, 23, 28, 34, 40, 43화) * DELUXE ARIEL (1991, OVA) - 원화(1, 2화) * [[갈포스|갈포스 신세기편]] 하 (1991, OVA) - 원화 * [[스케반 형사]] (1991, OVA) - 원화 * [[금붕어 주의보]] (1991~1992, TVA) - 원화(17, 23, 29, 34, 39, 45화) * [[엄마는 4학년]] (1992, TVA) - 원화(15, 21화) * [[천외마경|천외마경2: 만지마루]] (1992, 게임) - 원화 * 극장판 [[금붕어 주의보]] (1992, 극장판) - 원화 * [[도쿄 바빌론]] (1992~1994, OVA) - 원화(1화) * 幻想叙譚エルシア (1992~1993, OVA) - 원화(3, 4화) * アップフェルラント物語 (1992, 극장판) - 원화 * [[배틀 파이터즈 아랑전설|배틀 파이터즈 아랑전설2]] (1993, TVSP) - 원화 * [[천외마경|천외마경 풍운 가부키전]] (1993, 게임) - 작화 * [[에이트맨]] AFTER (1993, OVA) - 원화(1화) * [[정글의 왕자 타짱]] (1993~1994, TVA) - 원화(8화) * [[초시공세기 오거스 02]] (1993~1995, OVA) - 원화(1화) * フォーチュンクエスト 世にも幸せな冒険者たち (1993, OVA) - 원화(1, 3화) * [[자이언트 로보 THE ANIMATION]] (1992~1998, OVA) - 원화(4화) * [[THE 팔견전]] 신장 (1993~1995, OVA) - 원화(2, 5, 6, 7화) * アイドル防衛隊ハミングバード'94夏 (1994, OVA) - 원화 * [[메탈파이터 MIKU]] (1994, TVA) - 원화(13화)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 (1995~1996, TVA) - 원화(17, 23, 26화) *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OVA: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 (1995, OVA) - 원화(1, 4, 7화) * [[마물헌터 요코]] 2 (1995, OVA) - 원화 * [[닌쿠]] (1995, 극장판) - 원화 * [[레전드 오브 크리스타니아|시작의 모험자들 레전드 오브 크리스타니아]] (1995, 극장판) - 원화 * [[긴레이 시리즈|푸른 눈의 긴레이]] (1995, OVA) - 원화 * [[가자! 우주전함 야마모토 요코]] (1996, OVA) - 메카닉, 이펙트 작화감독(1, 3화), 원화(3화) * [[뿡야뿡야 왕바우]] (1996~1997, TVA) - 원화(3화) * お嬢様捜査網 (1996, 극장판) - 원화 * 新破裏拳ポリマー (1996~1997, OVA) - 메카 설정, 메카 작화감독(2화), 원화(1, 2화) * [[초인학원 고우카이저]] THE VOLTAGE FIGHTERS (1996~1997, OVA) - 원화(1, 3화) * 은하아가씨전설 유나 심암의 페어리(銀河お嬢様伝説ユナ〜深闇のフェアリィ〜) (1997, OVA) - 작화감독(OP) * [[레전드 오브 크리스타니아]] (1997, OVA) - 애니메이션 작화(OP, ED) * [[가자! 우주전함 야마모토 요코]] 2기 (1997, OVA) - 작화감독(2화), 작화감독 보좌(1, 2, 3화), 연출(3화) * [[세이버 마리오넷#OVA: 마타마타 세이버 마리오넷 J|마타마타 세이버 마리오넷 J]] (1997~1998, OVA) - 원화(2화) * でたとこプリンセス (1997~1998, OVA) - 원화(1, 3화) * VIRUS -VIRUS BUSTER SERGE- (1998, 게임) - 원화(OP) * [[A KITE]] (1998, OVA) - 원화 * [[사쿠라 대전 2]] (1998, 게임) - 작화(OP) * 電脳戦隊ヴギィ'ズ★エンジェル (1998, TVA) - 원화(3화) *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 (1998~1999, TVA) - 원화(2화) * [[디지몬 어드벤처: 운명적 만남]] (1999, 극장판) - 원화 * [[남해기황]] (1998, TVA) - 원화(OP2) * [[테나몬야 보이저스]] (1999, OVA) - 캐릭터 디자인, 작화감독(1, 2, 4화), OP 애니메이션(1~3화), ED 애니메이션(1~3화) *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 (2000, 극장판) - 원화 * [[게이트 키퍼즈]] (2000, TVA) - 원화(1화) * [[프리크리]] (2000~2001, OVA) - 원화(ED, 3화) * [[MEZZO FORTE]] (2000~2001, OVA) - 원화(1, 2화) * [[은장기공 오디안]] (2000, TVA) - 원화(OP, 1, 13화) * [[인랑(애니메이션)|인랑]] (2000, 극장판) - 원화 * [[핸드 메이드 메이]] (2000, TVA) - 원화(6화) * [[디아블로몬의 역습]] (2001, 극장판) - 원화 * [[R.O.D|R.O.D -READ OR DIE-]] (2001, OVA) -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캐릭터 작화감독(1, 2, 3화), 원화(1, 2, 3화) / 출세작. * [[소울 테이커(애니메이션)|소울 테이커]] (2001, TVA) - 원화(영상특전 3화) * 선풍의 경호원(旋風の用心棒) (2001~2002, TVA) - 레이아웃(25화), 원화(25화) * [[달빛천사/애니메이션|달빛천사]] (2002~2003, TVA) - 원화(OP1) * [[아즈망가 대왕 THE ANIMATION]] (2002, TVA) - 작화감독(4화), 원화(2, 26화) * [[아침 안개의 무녀]] (2002, TVA) - 원화(5화) * [[오버맨 킹게이너]] (2002~2003, TVA) - 작감협력(1화) * [[초중신 그라비온]] (2002, TVA) - 게스트 코스튬 디자인(7화), 원화(9화) / 9화 액션 신 담당. 감독 [[오오바리 마사미]]가 극찬했다. * [[키디 그레이드]] (2002, TVA) - 연출(2화) / 右湊具央 명의. * [[에이켄]] (2003, OVA) - 캐릭터 디자인, 작화감독(OP) * [[나나카 6/17]] (2003, TVA) - 원화(ED) * [[테일즈 오브 심포니아]] (2003, 게임) - 원화 * [[포포로크로이스 이야기 시리즈|포포로크로이스]] (2003, TVA) - 원화(6화) * [[R.O.D|R.O.D -THE TV-]] (2003, TVA) -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 작화감독(1, 26화), 원화(6화) / 26화가 유명하다. * [[빛과 물의 다프네]] (2004, TVA) - 원화(OP) * [[메조(애니메이션)|메조]] (2004, TVA) - 원화(OP, 13화) * [[망각의 선율]] (2004, TVA) - 원화(OP, 20화) * 影 Shadow (2004, TVA) - 원화(4화) * [[톱을 노려라2!]] (2004~2006, OVA) - 원화(2화) * [[스피드 그래퍼]] (2005, TVA) -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 아이캐치, 콘티(OP), 연출(OP, 1화), 작화감독(OP, 1, 22화), 원화(16, 22, 24화) * [[카미츄!]] (2005, TVA) - 콘티(OP), 연출(OP) * [[허니와 클로버/애니메이션#TVA 1기: 허니와 클로버|허니와 클로버]] (2005, TVA) - 원화(6화) * [[창성의 아쿠에리온]] (2005, TVA) - 원화(19화) * [[빙쵸탄]] (2006, TVA) - 연출(3화), 작화감독(3화), 원화(3화) * [[NHK에 어서 오세요]] (2006, TVA) - 캐릭터 디자인, 콘티(OP), 연출(OP), 작화감독(OP), 원화(OP) / 右湊具央 명의. * [[블리치(애니메이션)|블리치]] (2004~2012, TVA) - 콘티(OP5, OP13), 연출(OP5, OP13), 작화감독(OP5[* 원화 담당의 그림을 존중해서 작화 수정을 거의 안 했다고 한다.], OP13), 원화(OP13^^1인원화^^) *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 (2006, 극장판) - 작화감독 * [[크게 휘두르며]] (2007, TVA) - 원화(OP1), 작화 협력(5화) * [[천원돌파 그렌라간]] (2007, TVA) - 원화(14화) * [[전뇌 코일]] (2007, TVA) - 원화(11, 17, 26화) * [[스트레인저 무황인담]] (2007, 극장판) - 원화 * [[카이트 리버레이터]] (2008, OVA) - 원화 * [[드래고너트 -더 레조넌스-]] (2007~2008, TVA) - 원화(25화)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 (2008, TVA) - 원화(1화) * [[야쿠시지 료코의 괴기 사건부]] (2008, TVA) - 제1원화(12, 13화) * [[섬광의 나이트레이드]] (2010, TVA) - OP *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애니메이션|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2010, TVA) - 작화감독(5, 10^^공동^^화), 원화(5화) * [[우주쇼에 어서오세요]] (2010, 극장판) - 캐릭터 디자인, 작화감독 * [[세기말 오컬트 학원]] (2010, TVA) - 원화(OP) * [[드래곤 크라이시스!/애니메이션|드래곤 크라이시스!]] (2011, TVA) -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 작화감독(OP) * [[A채널]] (2011, TVA) - 콘티(OP), 연출(OP) * [[벨제바브]] (2011, TVA) - 콘티(ED3), 연출(ED3), 작화(ED3), 배경(ED3) * [[히어로즈 판타지아]] (2012, 게임) - 작화감독, 원화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1기)|진격의 거인]] (2012~2013, TVA) - 콘티(OP2), 연출(OP2), 작화감독(OP2), 원화(OP2) * [[도쿄 레이븐스/애니메이션|도쿄 레이븐스]] (2013~2014, TVA) - 콘티(OP1), 연출(OP1), 원화(OP1) * [[마법전쟁/애니메이션|마법전쟁]] (2014, TVA) - 콘티(ED), 연출(ED), 원화(ED^^1인원화^^) * [[야마노스스메/애니메이션#TVA 2기: 야마노스스메 세컨드 시즌|야마노스스메 세컨드 시즌]] (2014, TVA) - 콘티(OP), 연출(OP), 원화(OP^^1인원화^^) * [[쿠로사키 마온]] 「-Autonomy-」 PV (2014, PV) * [[PSYCHO-PASS 2]] (2014, TVA) - 콘티(OP), 연출(OP), 작화감독(OP), 원화(OP) * [[4월은 너의 거짓말/애니메이션|4월은 너의 거짓말]] (2014~2015, TVA) - 콘티(5화), 연출(5^^공동^^화) * [[나만이 없는 거리/애니메이션|나만이 없는 거리]] (2016, TVA) - 콘티(ED), 연출(ED), 작화(ED), 배경(ED) * [[재와 환상의 그림갈/애니메이션|재와 환상의 그림갈]] (2016, TVA) - 원화(9화) * [[Occultic;Nine/애니메이션|Occultic;Nine]] (2016, TVA) - 콘티(OP), 연출(OP, 6화), 작화감독(6화), 원화(OP, 6화), 엔드 카드(6화) * [[그랑블루 판타지 The Animation]] (2017, TVA) - 콘티(OP), 연출(OP), 작화감독(OP)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 (2017, TVA) - 콘티(OP), 연출(OP), 원화(OP) * [[게이머즈!/애니메이션|게이머즈!]] (2017, TVA) - 아이캐치(2~12화)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피날레]] (2019, 극장판) - 원화 * のりものまん モービルランドのカークン (2020, TVA) - 콘티(3, 27화), 연출(3, 4, 15, 27화) * [[도쿄 24구(애니메이션)|도쿄 24구]] (2022, TVA) - 콘티(OP), 연출(OP), 원화(OP) *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1기)|스파이 패밀리]] (2022, TVA) - 콘티(OP1), 연출(OP1), 원화(OP1) == 연출, 작화 샘플 == 스태프롤 글씨에 주목. ||[youtube(f8lyyT0dQ9Y)] || ||[[R.O.D]] OP[br]콘티, 연출 [[마츠타케 토쿠유키]] / 작화감독 이시하마 마사시[br]원화 [[스가누마 에이지]] 등 || ||[youtube(WxsoJ6gcDT4)] || ||[[R.O.D]] TV OP / 콘티, 연출 [[마츠타케 토쿠유키]] / 작화감독 이시하마 마사시 || ||[youtube(Ur_VIvBdteA)] || ||[[카미츄]] OP / 콘티, 연출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치바 타카히로]][br]원화 [[타카하시 신야(1965)|타카하시 신야]] 등 || ||{{{#!wiki style="margin: -5px -10px" [vimeo(26998649)]}}} || ||[[드래곤 크라이시스!/애니메이션|드래곤 크라이시스!]] OP[br]콘티, 연출 [[타치바나 히데키]] / 작화감독 이시하마 마사시[br]원화 [[마츠타케 토쿠유키]], [[카이 야스유키]] 등 || ||[youtube(PbWFpzi8C94)]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1기)|진격의 거인]] OP2 「[[자유의 날개(진격의 거인 OP)|자유의 날개]]」[br]콘티, 연출, 작화감독 전부 이시하마 마사시 || ||[youtube(g-HcGIino8g)] || ||[[도쿄 레이븐스/애니메이션|도쿄 레이븐스]] OP1 「X-encounter」[br]콘티, 연출,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와타나베 아츠코 || ||[nicovideo(sm24020850)] || ||[[야마노스스메/애니메이션#TVA 2기: 야마노스스메 세컨드 시즌|야마노스스메 세컨드 시즌]] OP / 콘티, 연출, 작화 전부 이시하마 마사시 || ||[youtube(uYyUES_uif0)] || ||[[Occultic;Nine/애니메이션|Occultic;Nine]] OP[br]콘티, 연출, 원화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타카세 토모아키]][br]원화 [[타나카 마사요시]], [[스기야마 카즈타카]], [[야마구치 사토시]], [[마츠오 유스케]], [[타카하시 나오야]], [[코바야시 케이스케]], [[아사카 카즈유키]], [[하야시 이사오]], [[타카다 아키라]], [[하마구치 아키라]] 등 || ||[youtube(HU_Z8RKo_Ow)] || ||[[페르소나 5 the Animation]] OP2[br] 콘티, 연출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이시카와 토모미 || ||[youtube(_F6LD_czS8s)] || ||||[[페르소나 5 the Animation]] OP4[br] 콘티, 연출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이시카와 토모미, 코마츠바라 세이 || ||[youtube(nhOhFOoURnE)] || ||[[YOASOBI]] [[三原色]] MV[br]콘티, 연출, 원화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원화 [[나카무라 쇼코]][br]원화 [[니시이 료스케]] 등[br]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 || ||[youtube(RolH6t8NOro)] || ||[[도쿄 24구(애니메이션)|도쿄 24구]] OP[br]콘티, 연출 이시하마 마사시 / 총 작화감독 [[이토 키미노리]][br]작화감독 야스도메 마사야(安留雅弥)[br]원화 [[이시하마 마사시]], [[요시다 유코(애니메이터)|요시다 유코]] || ||[youtube(U_rWZK_8vUY)] ||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1기)|스파이 패밀리]] OP1[br]콘티, 연출, 원화 이시하마 마사시 / 작화감독 [[아사노 쿄지]][br]원화 [[키소 유타]], [[스기타 슈]], [[사카이 사토시]], [[아오키 슌스케]],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토미오카 카이토]], [[오오쿠라 케이스케]] 등 || [[분류:일본의 애니메이터]][[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1968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