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 추존왕 및 추존령)] ---- [include(틀:선원선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추존 존령[br]{{{+1 선조고 | 先祖考}}}'''}}}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준경묘.jpg|width=100%]]}}} || ||<-2> {{{#ffd400 {{{-2 준경묘 전경}}} }}} || ||<|2> '''출생''' ||[[1160년]] 추정 || ||장소 미상|| ||<|2> '''사망''' ||[[1231년]] (향년 71세 추정) || ||장소 미상 || || '''능묘''' ||[[준경묘]](濬慶墓)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양무(陽茂) || || '''부친''' ||[[이린(고려)|이린]] || || '''형제자매''' ||외아들 || || '''배우자''' ||[[선조비]] || || '''자녀''' ||4남 || || '''묘호''' ||없음 || || '''시호''' ||선조고고려장군존령[br](先祖考高麗將軍尊靈) || || '''관직''' ||장군(將軍)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 李陽茂}}} ? ~ 1231년([[고종(고려)|고려 고종]] 18년) [[고려]]의 [[장군]]. 고려 무신정권 집권자 [[이의방]]의 동생 [[이린(고려)|이린]]의 아들, 고려 문신 [[문극겸]]의 외손자, [[조선]] 추존왕 [[이안사|목조]]의 아버지, 조선 [[태조(조선)|태조 이성계]]의 현조부(5대조)이다. 그의 큰아버지들 이준의, [[이의방]] 2명 전부 역적으로 처형당했고 그의 아버지 이린은 이준의, 이의방 사망 이후의 기록이 부실하여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없는데,[* 여러 기록 탓에 이의방이 몰락한 1174년에 형제들과 같이 암살되었을 것이라는 견해와 외조부 문극렴의 비호로 살아남았다는 견해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이린(고려)#s-2.1|이린]] 항목 참조.] 이양무는 살아남아서 장군까지 되었다. 아마 그의 숙부 이거가 고려 고종에게 궤장까지 받을 정도로 나라에 헌신한 충신이라는 점이 그가 역적들의 조카임에도 불구하고 장군으로 승진할 수 있게한 요인이 아닌가 싶다. [[이성계|왕조의 개창자]]가 자신의 선조(先祖)를 [[추존]]할 때, 4대조까지만 추존하기에 이양무는 왕으로 추존되지 않았다. 대신 [[고종(대한제국)|고종]]황제가 1899년 이양무의 묘소를 수축, 장식하고 묘호[* 墓號; 무덤(墓)의 이름]를 올려 예를 갖추었다. == 묘소 == || [[이린(무인시대)|{{{#!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경묘.jpg|width=100%]]}}}]] || || {{{#gold '''준경묘'''}}} || 준경묘. 높임의 의미를 담아 준경릉(濬慶陵)이라 칭하기도 한다.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동산리에 있다. 본래 이양무는 [[전주]]에 살았는데 삼척 땅에 묻힌 이유는 그의 아들 [[이안사|조선 목조]]와 관련된 일화가 있었다. 이 부분은 조선 목조 항목을 참조. 원래 [[정철]]이 선조 시절 강원도 관찰사를 지내면서 준경묘를 발견했다고 보고했으나, 태조 이성계의 5대조의 묘로 볼 근거가 부족하니, 공식적으로 조정에서 인정하지는 않고, 그저 지방수령들이 관리만 하도록 했다. 1899년[* 고종 36년, [[광무]] 3년] [[고종(대한제국)|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이 전주 이씨 조상들 묘와 사당들을 전부 보수하면서 전라도 전주에 조경단을 대대적으로 개축하고 강릉에 전해지던 무덤을 공식적으로 조상묘로 확정 하는 한편, 또한 묘에서 약 4km 떨어진 하사전리에서 부인 이씨[* 삼척 이씨(李氏).]의 묘를 찾았고 그들의 묘역을 정비하여 예를 갖추고 이양무의 묘를 준경묘(濬慶墓), 부인 삼척 이씨의 묘를 영경묘(永慶墓)로 [[추존]]함으로써 이양무의 무덤은 준경묘로 불리게 되었다. 목조와 관련해서 한 도승의 예언대로 백우금관(百牛金棺)의 명당 터에 아버지 양무를 안장함으로써 내손 [[태조(조선)|이성계]]가 [[조선]]을 창업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준경묘 일대의 송림을 황장목이라 하는데, 이 황장목은 [[경복궁]]을 고칠 때 자재로 사용한 적이 있다. == 가족 == * 부친: [[이린(고려)|이린]] * 모친: 남평 문씨 * 부인: [[선조비]] 이씨 * 자녀 * [[이안사|목조]] * 이영필(李英弼) * 이영밀(李英謐) * 이영습(李英襲) [[분류:고려의 인물]][[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1231년 사망]][[분류:전주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