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위대 역대 육상막료장)] ||<-2> '''{{{#fff {{{#ffffff 일본국 제33대 육상막료장}}} [br] {{{+1 岩田 清文}}}[br]이와타 기요후미 | Kiyofumi Iwat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와타 기요후미.jpg|width=100%]]}}} || ||<|2> '''출생''' ||[[1957년]] [[2월 3일]] || ||[[도쿠시마현]] || ||<|2> '''재임기간''' ||제33대 [[육상막료장]] || ||[[2013년]] [[8월 27일]] ~ [[2016년]] [[7월 1일]] || ||<-2> '''군사 경력''' || || '''임관''' ||방대 19(육사 35) || ||<|2> '''복무''' ||[[육상자위대]] || ||[[1979년]] ~ [[2016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육상막료장]] {{{-2 (육상자위대)}}} || || '''최종 보직''' ||[[육상막료장]] || || '''주요 보직''' ||[[북부방면대|북부방면총감]][br][[육군참모차장|육상막료부장]][br]제7사단장[br]육상막료감부 인사부장[br][[중부방면대|중부방면총감부]] 막료부장[br]제71전차연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자위관]]. == 경력 == * [[1979년]] [[3월]] [[방위대학교]] 19기([[육군사관학교]] 35기) 입학 * [[1993년]] [[7월]], 2등육좌(중령) 진급 * [[1998년]] [[1월]], 1등육좌(대령) 진급 * [[1999년]] [[7월]], 육상막료감부 운용과 운용제1반장 * [[2001년]] [[6월]], 제71전차연대장 * [[2003년]] [[3월]], 육상막료감부 장비계획과장 * [[2004년]] [[8월 1일]], 육장보(소장) 진급, [[육상자위대후지학교]] 기갑과부장 * [[2006년]] [[8월 4일]], [[중부방면대|중부방면총감부]] 막료부장 * [[2008년]] [[8월 1일]], 육상막료감부 인사부장 * [[2010년]] [[7월 26일]], 육장(중장) 진급, 제7사단장 * [[2011년]] [[8월 5일]], [[육군참모차장|육상막료부장]] * [[2012년]] [[7월 26일]], [[북부방면대|북부방면총감]] * [[2013년]] [[8월 22일]], [[육상막료장]](대장) == 생애 == [[1957년]] [[2월]]에 [[도쿠시마]]에서 태어났다. [[1975년]]에 [[방위대학교]] 23기([[육군사관학교]] 35기)로 입학해 [[1979년]]에 졸업했고 [[병과]]는 [[기갑]]이다. 1[[998년]]에 대령으로 승진했고 제71전차연대장, [[육군본부|육상막료감부]] 장비부 장비계획과장 등을 거쳤다. [[2004년]]엔 [[소장(계급)|육장보]]로 승진했고 [[육상자위대]]의 병과학교인 [[육상자위대후지학교]][* [[보병]], 야전[[포병]], [[기갑]] 등이 여기에 몰려있다.]에서 기갑과장을 지냈다. [[2006년]]에는 [[중부방면대]] 총감부 막료부장으로 영전했고 육상막료감부 인사부장[* 대한민국 육군 인사참모부장에 상당한다.]을 지냈다. [[2010년]]에는 중장으로 승진하여 7사단장[* 일본에서 [[사단장]]은 쓰리스타가 맡는다.]을 지내고 [[2011년]]에는 [[합동참모차장|통합막료부장]]으로 영전했다. [[2012년]]에 [[북부방면대]][* 북부방면대는 육자대 인원의 1/3을 차지하고 과거에 [[소련]]을 견제하던 부대였기 때문에 육자대 내 최고의 정예 부대였다. 최근에는 [[중국]]이 가상적국으로 부상하면서 [[서부방면대]]가 [[실세]]로 떠오르고 있지만 오랫동안 일본의 화력이 집중된 곳이 북부방면대였다.] 총감에 취임했고 2013년에 [[기미쓰카 에이지]]의 뒤를 이어 33대 [[육상막료장]]으로 승진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Gen._Kiyofumi_Iwata_2015-11-12.jpg]] --사실은 [[대한민국 육군]] 소속이라더라-- 2015년 11월에 [[미합중국 해병대]]에서 촬영한 사진인데 대한민국 국기가 있는 자리였다. ~~보통 육상막료장이 2년 남짓 하는데 [[2016년]]에 이르러서도 계속 유임되고 있다. 아마 그가 3대 막료장 중에 가장 최선임급 에다가 최근 통합막료장을 공자대, 해자대가 맡아 다음은 육자대가 맡을 가능성이 높은데 그를 전역시키고 밑의 기수에서 올려 보내면 통합막료장을 맡을 기수가 안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16년 동시기 해상막료장인 [[다케이 도모히사]]는 방대 23기로 동기이지만 통합막료장이 해자 출신이기에 그가 통합막료장에 오를 가능성은 낮다. 동시기 항공막료장인 [[스기야마 요시유키]]는 방대24기로 한 기수 낮은데 2015년 12월에 항공막료장에 취임한 터라 재임기간이 짧아 바로 통합막료장으로 올리기가 어렵다.] 달리 말하면 [[가와노 가쓰토시]] 다음의 유력한 통합막료장 후보이다.~~ 일 줄 알았는데 7월 1일에 퇴임했다. 후임자는 [[오카베 도시야]]이다. [youtube(fTftwY2vJXI)] 퇴임 후 기고도 하고 유튜브 등에도 나오고 있다. 자위대의 낮은 인기를 해소하기 위해, 정년 연장, 청년에게 교부금 지급, 영내 거주 의무 완화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 둘러보기 == |||||||||| [[육상자위대]]의 [[육상막료장]] || || 32대 [[기미쓰카 에이지]] || → || 33대 이와타 기요후미 || → || 34대 [[오카베 도시야]] || [[분류:일본의 자위관]][[분류:방위대학교 출신 인물]][[분류:1957년 출생]][[분류:도쿠시마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