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광주광역시장)] || {{{#ffffff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후보)] ---- [include(틀:한국상하수도협회 회장)] ---- [include(틀:행정안전부장관)] ---- [include(틀:국토교통부장관)]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400, #FFD400 50%);" [[민주통합당|[[파일:민주통합당 녹색 아이콘.svg|width=45]]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height=15]]]] [[민주통합당|{{{#3AB34A '''정책위원회 의장'''}}}]]}}} || || 제2대[br][[주승용]]·[br][[홍종학]] || → || '''제3대[br]이용섭''' || → || 제4대[br][[변재일]]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광주광역시|{{{#cfa547 광주}}}]] [[광산구 을|{{{#cfa547 광산구 을}}}]])'''}}} || || ''선거구 분리''[br][[김동철]][* [[광산구(선거구)|광산구]]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8-19대[br]이용섭'''[* [[광주광역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 || → || 제19-20대[br][[권은희]] || ---- ||<-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db9e00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ffc224,#db9e00 '''혁신관리수석비서관'''}}}]]}}} || ||<-5> [[참여정부|{{{#000000 '''참여정부'''}}}]] || || 개편[* 참여혁신수석비서관에서 혁신관리수석비서관으로 개편. 전임은 [[박주현(1963)|박주현]].] || → || ''' 초대[br]이용섭''' || → || 2대[br][[차의환]] || ---- [include(틀:역대 국세청장)] ---- ||<-5> {{{+1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1949-2016).svg|width=40]]]] [[대한민국|{{{#043762,#9dd0fb '''대한민국'''}}}]] [[관세청장|{{{#043762,#9dd0fb '''관세청장'''}}}]]}}} || ||<-3> [[국민의 정부|{{{#ffffff '''국민의 정부'''}}}]] ||<-2> [[참여정부|{{{#000000 '''참여정부'''}}}]] || || 18대[br][[윤진식]] || → || '''19대[br]이용섭''' || → || 20대[br][[김용덕(공무원)|김용덕]]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행정안전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8대 행정자치부장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340B, #E8340B, #E8340B, #E8340B)" '''[[광주광역시장|{{{#ffffff 제13대 광주광역시장}}}]][br]{{{#ffffff {{{+1 이용섭}}}[br]李庸燮 | Lee Yong-seo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용섭 광주시장.jpg|width=100%]]}}} || ||<|2> '''출생''' ||[[1951년]] [[8월 11일]] ([age(1951-08-11)]세)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541|#]]. [[함평 이씨]] 집성촌이다.] || || '''거주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원래 서구 금호동 아델리움&로제비앙아파트에 거주했으나 퇴임 후 전세 기간이 끝나 이사했다.][br][[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서울)|가락동]] 프라자아파트[* 이용섭 전 시장이 소유 중인 아파트로 장관 시절 거주했을 것으로 보이며, 시장 재임 중에 살았던 광주 집은 전셋집이다. 광주에 집이 없는 것을 두고 몇몇 사람들에게 광주사람이 아닌 서울사람이란 식으로 까이고 있다.] || || '''본관''' ||[[함평 이씨]][* 항렬자를 쓰지 않았으나, 본래는 현감공(縣監公) 손무(孫茂)파 31세 건(建)자 항렬이다. 그래서 함평이씨대동보 권13 1801쪽에는 족보명(譜名)이 건민(建敏)이라고 적혀있다. [[:파일:이용섭 족보 1.png|#1]], [[:파일:이용섭 족보 2.png|#2]]] || ||<|14> '''재임기간''' ||제19대 [[관세청장]] || ||[[2002년]] [[2월 5일]] ~ [[2003년]] [[3월 3일]] || ||제14대 [[국세청장]] || ||[[2003년]] [[3월 24일]] ~ [[2005년]] [[3월 14일]] || ||[[참여정부]] 초대 혁신관리수석비서관 || ||[[2005년]] [[4월 26일]] ~ [[2006년]] [[3월 27일]] || ||제8대 [[행정안전부 장관|행정자치부 장관]] || ||[[2006년]] [[3월 27일]] ~ [[2006년]] [[12월 4일]] || ||제14대 [[국토교통부 장관|건설교통부 장관]] || ||[[2006년]] [[12월 11일]] ~ [[2008년]] [[2월 29일]] || ||초대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2 (장관급)}}} || ||[[2017년]] [[5월 16일]] ~ [[2018년]] [[2월 7일]] || ||제13대 [[광주광역시장]]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링크''' ||[[https://www.gwangju.go.kr/gjmayor/#firstPag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2yongsup|[[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2yongsu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ongsuplee, 크기=20)] | [[https://youtube.com/c/yongsup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ivyuncle|[[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pf.kakao.com/_ghZpxl|[[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맹순, 어머니 [[광주 정씨]] || || '''배우자''' ||신영옥[* 辛榮玉. 1954년 7월 2일생. [[영산 신씨|영월 신씨]](寧越 辛氏) 신인근(辛寅根)의 딸이다.] || || '''자녀''' ||아들 이현철[* 李泫澈. 1980년 10월 31일생.], 딸 이은송[* 李垠松. 1982년 6월 10일생.] || || '''학력''' ||[[함평학다리고등학교]] {{{-2 ([[졸업]] / 18회)}}}[br][[전남대학교/학부 및 대학원/경영대학|전남대학교 상과대학]] {{{-2 ([[무역학과|무역학]] / [[학사]])}}}[br][[미시간 대학교|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br][[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재정금융 전공]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8429684|外國人(외국인) 投資(투자)에 대한 租稅支援效果(조세지원효과)에 관한 硏究(연구)]](1999. 2).])}}}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일병]]([[방위병]]) 복무만료[*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03032061858|#]]] || || '''신체''' ||171cm || || '''종교''' ||[[개신교]]([[예장고신]])[* 첨단은광교회의 서리집사이다.]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 || '''경력''' ||제14회 [[행정고시]] 합격[br][[기획재정부|재정경제부]] 국세심판원장[br]제20대 [[관세청장]] {{{-2 ([[국민의 정부]])}}}[br]제14대 [[국세청장]] {{{-2 ([[참여정부]])}}}[br][[대통령비서실]] 혁신관리수석비서관 {{{-2 (참여정부)}}}[br]제8대 [[행정안전부 장관|행정자치부 장관]] {{{-2 (참여정부)}}}[br]제14대 [[국토교통부 장관|건설교통부 장관]] {{{-2 (참여정부)}}}[br][[제18대 국회의원]] {{{-2 ([[광산구 을|광주 광산구 을]]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br][[민주당(2008년)|민주당]] 대변인[br][[민주당(2008년)|민주당]] 제4정책조정위원장[br][[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의장[br][[제19대 국회의원]] {{{-2 (광주 광산구 을 / [[민주통합당]])}}}[br]한반도미래연구원 원장[br]한반도미래연구원 고문[br][[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br][[건국대학교]] 석좌교수[br][[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2 ([[문재인 정부]])}}}[br][[대통령비서실]] 정책특보 {{{-2 (문재인 정부)}}}[br]제13대 [[광주광역시장]] {{{-2 (민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기 / [[더불어민주당]])}}}[br][[광주 FC]] 구단주[br]제11대 [[한국상하수도협회]] 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생도 역사도 만남이다'''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정치인]]. == 생애 == [[1951년]] [[8월 11일]]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에서 아버지 송정(松亭) 이맹순(李孟淳, 1919.9.11. ~ 1979.9.20.)[* 자는 정숙(珽淑).]과 어머니 [[광주 정씨]](1925.11.29. ~ )[* 정우석(鄭友錫)의 딸이다.] 사이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함평학다리고등학교]](18회)와 [[전남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미시간 대학교|미시간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1999년 2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재정금융 전공으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전남대학교 2학년 때 [[행정고시]] 공부를 시작하여 졸업 직전 제14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였다. 이후 재경직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병역은 [[대한민국 육군|육군]] [[방위병]]으로 복무해 [[일병]] 때 복무만료되었다.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부]] 말기인 2002년 2월 5일부터 2003년 3월 3일까지 [[https://www.customs.go.kr/kcs/cm/cntnts/cntntsView.do?mi=3157&cntntsId=2006|제20대]] [[관세청장]]을 역임하였다.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2003년 3월 24일부터 2005년 3월 14일까지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6756&cntntsId=8155|제14대]] [[국세청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혁신관리[[수석비서관]] 등을 지냈고, 2006년 3월 27일부터 2006년 12월 4일까지 [[https://www.mois.go.kr/mns/sub/a02/MinistryofGovAffairsHomeAffairs/screen.do|제8대]] [[행정자치부장관]], 2006년 12월 11일부터 2008년 1월 31일까지 [[http://www.molit.go.kr/USR/history/m_36374/lst.jsp?DTL=G|제14대]] [[국토교통부장관|건설교통부장관]]을 지냈다. === 정치 활동 ===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 제4정책조정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민주당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보통 정치 신인들이 대변인을 맡는 관례를 깨는 파격적인 인사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1월부터 12월까지 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광주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려 하였다. 그런데 당이 [[안철수]]계인 [[윤장현]]을 전략공천하려고 하자 이에 반발하여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였다. 그리고 의원직을 사퇴하고, [[무소속]]으로 광주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다가 고등학교, 행정고시 선배이자 현직 시장인 [[강운태]]와 무소속 후보 단일화 경선을 하여 강운태로 단일화되자 승복하고 사퇴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한반도미래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였고, 한반도미래연구원 상임고문도 맡았다. 2016년 새정치민주연합의 후신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자신의 지역구였던 광주광역시 광산구 을에 출마했으나 초반 여론조사상의 우위를 지키지 못하고 [[권은희(1974)|권은희]]에 패해 낙선했다.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캠프의 비상경제단장을 역임했고,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뒤 이런저런 경제부처 하마평이 나오다가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장관급이며, 대통령이 위원장이기 때문에 사실상의 위원장.] 겸 대통령비서실 정책특보에 임명되었다. 비록 장관급이지만 이 위원회의 당연직 위원 중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일자리 관련 부처 장관들이 포함되며, 일자리정책이 문재인 정부의 최고 핵심 공약이기 때문에 요직 중의 요직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용섭 급의 경력이면 청와대 수석은 너무 낮고, 내각에 들어가려면 최소 부총리급은 되어야 하는데, 이낙연 전 총리가 전남 출신인데다, 사회부총리 교육부장관인 김상곤 전 부총리가 광주광역시 출신이기 때문에 같은 권역인 전남 출신의 이용섭까지 경제부총리에 임명되면 광주-전남 정권이라는 정치적 공세에 시달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난처한 상황에서 적절한 자리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임된지 얼마 되지도 않은 시점에 꾸준히 민주당에서 광주광역시장 후보로 거론되었다. 2018년 2월 7일에는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자리를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72485|사임하고]] 광주광역시장 출마를 사실상 공식화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07/0200000000AKR20180207073551001.HTML?input=1195m|#]] 2018년 2월 13일, 광주경제고용진흥원서 기자회견을 통해 광주광역시장 출마를 공식화했다. 이 부위원장은 "풍요로운 광주 건설과 고향분들의 은혜에 결초보은 하겠다"며 출마의 뜻을 밝히며 예비 후보 등록을 하였다.[[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1&uid=485557|이용섭 13일 광주광역시장 출마 기자회견]] 2018년 4월 20일, 광주광역시장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선출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0038447&isYeonhapFlash=Y&rc=N|#]] 2018년 6월 13일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광주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 [[광주광역시장]] === ==== 2018년 ==== 6월 13일, 7회 지방선거에 출마한 광역자치단체장 중 가장 높은 '''84.07%'''라는 어마어마한 득표율을 자랑하며 광주광역시장에 당선되었다. 2위인 [[정의당]] [[나경채]] 후보의 득표율(5.99%)의 약 14배. 이미 선거 이전의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혼자서 60% 이상의 지지율을 얻고 있었고, 제대로 된 경쟁 후보도 없는 상태였다. 8월 16일, 직무 시작 이후 첫 월간 [[리얼미터]] 광역자치단체장 평가에서 10위(44.1%)를 차지했다. 가장 높은 득표율로 당선된 것을 생각하면 살짝 아쉬운 수치. 하지만 본격적인 집무 시작 이후 집계된 8월 조사에선 9위(47.6%)를 기록하였고,[[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91009170184452|*]] 9월 조사에선 5위(55.8%)를 기록하였다. [[http://news.donga.com/home/3/all/20181008/92302449/1|*]] 10월 조사에선 8위(52.4%)를 기록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8902482|*]]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긍정평가가 50% 이내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아 서서히 시민들의 마음을 얻고 있다는것을 증명하고 있다. 11월 평가에서도 8위였지만, 이번엔 약 3% 떨어진 47%의 긍정평가가 나왔다. [[http://m.newspim.com/news/view/20181211000121|#]] ==== 2019년 ==== 신년 평가에서는 두 계단 상승한 6위를 차지했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098|#]] [[자유한국당]]에서 5.18 관련 망언 사태가 벌어지자 광주광역시장으로서 강력 규탄했다. 또 이 사건에 대해 자유한국당 소속 [[권영진]] 전 [[대구광역시장]]이 사죄의 문자를 보냈다고 한다.[* 광주와 대구는 [[달빛동맹]]을 맺은 이후 서로 교류가 활발해진 도시로 지자체장들간의 사이는 좋은 편이다. 대구시가 광주시에 마스크를 기증하자 광주시도 보답하듯이 대구시에 마스크를 기증하는 훈훈함을 보였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대구시 피해가 심해지자 광주시는 대구시의 코로나 확진자도 수용했다.] 한국전력의 본사가 [[나주시]]로 이전하자, 남자 배구 팀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의 연고지를 [[https://sports.news.naver.com/volleyball/news/read.nhn?oid=421&aid=0003917226|광주광역시로 옮기려고]] 시도하고 있다.[* 사실 이것은 전임 [[윤장현]] 전 시장 시절부터 추진하던 일이다.] 이전 건을 성사시키는 순간, 홈 구장은 [[광주여자대학교]]의 [[http://kwuug.kwu.ac.kr/index.sko?contentsSid=4851|시립 유니버시아드 체육관]]이 될 예정이다. 실제로 이곳에서 [[http://www.igj.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92|배구 대회]]를 연 전례가 있다. 그러나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이 [[수원시]]와 3년 더 계약을 하면서 성사시키지 못했다. 5월 10일, 리얼미터 시도지사 지지율 조사에서 [[김영록]] [[전라남도지사|전남지사]]가 9개월 동안 수성했던 1위자리를 탈환했다. 그런데, 6월 11일 리얼미터 시도지사 직무수행 평가에선 다시 김영록 전남지사가 1위를 차지하면서 다시 2위로 밀려났다.[[https://m.news.nate.com/view/20190611n22847|*]] 시장에 재임한 이후 중요한 관문이었던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행사를 지휘했으나, 여러가지 논란과 사건사고를 일으키는 바람에 사실상 실패작으로 끝나면서 주민들의 평판이 이때부터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했다. 2019년 8월 광주형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법인회사 광주글로벌모터스를 설립하고 [[박광태]] 전 [[광주광역시장|광주시장]]을 사장에 임명했다. 시민단체 출신의 [[윤장현]] 전 시장이 임기때 착공한다는 내용의 대시민 선언을 해놓고, 자신의 소속이자 자신을 뽑아준 시민단체들의 건설반대 압박으로 인해서, 4년의 허송세월을 보내버리고, 결국 기공식조차 못했던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사업을, 2019년 9월 후임 이용섭 시장 때 기공식을 치뤘고 10월 21일부터 본격적으로 2호선 공사가 시작됐다. ==== 2020년 ==== 2020년 1월 10일에 공개된 2019년 12월 기준 리얼미터 시도지사 직무수행 평가조사에서 57.1%의 지지율을 유지하며 3위를 기록했다. 특별시·광역시 시장 중에서는 유일하게 50%를 넘는 1위를 기록 중이다.[[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110_0000884979&cID=10301&pID=10300|1]] 최근 광주 민간공원 특례사업에 대한 검찰 조사 등 악재가 이어지고 있지만 갤럽 조사에서는 아예 시도지사 중 1위를 차지하는 등 여러모로 선방하고 있는 상황.[[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010616528047975|2]] 현재는 [[이재명]]에게 밀려 1위를 빼앗겼다. ==== 2021년 ==== 2021년 4월 27일 [[페퍼저축은행]]의 "장매튜 대표와 가장 맛깔스러운 남도음식으로 점심을 함께 하며 (페퍼저축은행 광주 유치라는)우리 시민들의 뜨거운 열망을 다시 한번 전달했다"고 전하며, [[이병훈(정치인)|이병훈]] 의원과 함께 [[광주 페퍼저축은행 배구단]]의 연고지를 광주광역시로 이끌었다.[[http://www.mdilbo.com/detail/zqkReJ/646172|#]] [[2010년]] [[K리그1]] [[광주 FC]] 창단 이후 11년만에 성사된 프로스포츠 구단의 광주 유치. 6월 8일, 자신의 수행비서들의 비위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와 관련,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면서 시민들에게 거듭 고개를 숙였다. 경찰에는 엄정한 수사를 요청하고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가 이뤄지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입장도 전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608052700054|#]] 6월 9일,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동구 학동에서 건물 붕괴사고]]가 발생하자 사고 현장에 방문해 상황 수습에 나섰다.[[https://www.chosun.com/national/incident/2021/06/09/6K4XZXH5MBGZ5ONJI26EQ4D26A|1]] 하루 뒤 광주시청에서 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면서 "희생자분들께 깊은 애도를 표하고, 광주시가 책임지고 사고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610064300054|2]] 이틀 뒤인 13일에는 향후 2주간(6.14.~6.27.)을 안전 점검 특별주간으로 선포하고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건축물 및 구조물 해체공사 현장, 건설공사 현장, 장마철 토사유출·붕괴 우려 지역, 수해 우려 지역, 하천 등 익사 사고 위험 시설, 기타 재난취약시설 전반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613038600054|#]] 8월 23일, 광주 지역의 뜨거운 이슈 중 하나인 [[광주광역시 복합쇼핑몰 유치 논란|복합쇼핑몰 입점]]과 관련해 입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자영업자,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찬반 논란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그 시점을 미뤘다.[[https://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1082314334635510|#]] 9월 30일 오후, [[광주광역시청]] 대강당에서 있었던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의 창단식에 내빈으로서 참여해 축사를 전했다. 페퍼저축은행에 보답하기 위해 본인은 페퍼저축은행 광주지점을 찾아 [[https://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1093016324393198|거래 계좌를 개설했음]]을 밝혔다. 창단식 후 광주공연마루에서 장매튜 대표와 광주국악상설공연을 함께 관람했다. 10월 19일 광주 AI 페퍼스의 개막전에 내빈으로 참여하여 환영사를 전했다. 11월 3일 오후에 광주시청 접견실에서 가수 [[김연자]]에게 관광기념품 '''민주의 종'''을 [[https://www.yna.co.kr/view/AKR20211103152200054?input=1195m|선물했다]]. 11월 22일 광주 대전환준비 TF팀을 이달 발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가문화산업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점에 대해 인정했고 임기 절반을 코로나와 싸우느라 제대로 추진하지 못했던 '펀(Fun)시티' 구상안을 만들어내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형 복합 쇼핑몰 유치와 관련해서도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8월 23일에 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자영업자,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입점 찬반 논란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http://www.mdilbo.com/detail/0kIA7d/658586|#]] ==== 2022년 ==== 2022년 1월 11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시정의 가장 큰 고비가 찾아왔다. [[2월 4일]] 현재까지 수습되지 못한 붕괴 현장을 지키고 있다. [[2월 8일]], 붕괴 현장에서 모든 실종자들이 사망 상태로 구조된 후 시청에 약 한 달 만에 복귀했다. 과연 [[강기정|당 내 도전]]을 극복하고 재선에 성공할지…[* 시정운영 긍정 평가는 높지만 재선 지지율은 그리 높지 않다. 이로 인해 [[박광태]] 빼고 역대 민선 광주시장은 재선에 실패했다.] 2월 21일,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광주광역시 복합쇼핑몰 유치 논란]]에 대해 광주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이준석]] 대표가 광주에 와서 복합쇼핑몰 논의를 하겠다는 것은 표만을 의식한 정치적 행위. 지자체가 하면 될 것을 왜 이렇게 하는지 모르겠다"라며 "지자체가 할 일을 들고와서 [[이준석|제1야당 대표]]가 한가하게 광주에서 토론한다고 한다니, 한다면 하라고 해야죠. 오겠다시는 건 표가 된다고 생각해서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221141600054|#]]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며칠 후인 3월 14일에 기자들과 만나서 복합쇼핑몰 논의와 관련해 '''"실제 2개 업체와 접촉했고, 해당 업체들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11061168|#]] 3월 29일, [[광주광역시장]]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재선 도전 선언을 했다.[[https://kjmbc.co.kr/article/N8X0qDXvJvJ6NR3ds1jR|#]] 민주당 공관위에서 [[강기정]] 전 정무수석과의 경선을 확정함에 따라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4일간 경선 일정에 들어간다. 4년 전 지방선거 당시에도 두 후보가 맞붙었었는데 당시에는 이용섭 전 시장이 승리한 바 있다. 두 후보는 세차례에 걸쳐 TV 토론까지 진행하면서 격한 공방을 주고 받았다.[[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20423/113037487/1|#]] 이 후보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중단없는 광주발전을 통해 '더 크고 더 강한 광주'를 만들어서 5년 후 [[정권교체]]의 주역이 되고 새로운 미래 100년을 대비하고자 한다"며 "인공지능 산업을 선점해 대한민국 100년을 이끌 성장동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강성 이미지로 기업과 투자가들이 기피하던 광주는 이제 옛 이야기"라고 주장했다. [[http://omn.kr/1ye6s|인터뷰 기사]] 하지만 [[4월 26일]] 발표된 경선 결과 42.86% 득표에 그치면서 경선 상대였던 [[강기정]] 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57.14%)에게 패해, 재선 도전에 나서지 못하게 됐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9791|#]] 사실상 퇴임이 확정된 이후 함께 퇴임을 앞둔 [[권영진]] 전 [[대구광역시장|대구시장]]과 함께 서로 [[달빛동맹]]의 성공적인 추진으로 동서화합과 시정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상대 광역시의 명예시민증을 주고받았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756593|#]] == 퇴임 이후 == 공천에서 패배함에 따라 다음 지선에서 [[광주광역시장]]에 다시 도전할지, [[검수완박]] 조기 의결을 위한 [[민형배]] 의원의 탈당으로 무소속이 되고, 예전 자신의 지역구인 [[광산 을]]에 다시 도전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광주광역시장]] 도전을 위해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고도 뱃지를 던진 이력이 있고 이미 의원 및 장관 등의 중앙직위는 많이 거친만큼 [[광주광역시장]] 재도전 이외에는 굳이 정계 일선에 나서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나이가 70이 넘어서 아예 정계 은퇴를 할 수도 있다. 아마 광산 을에 도전하거나 다음 지방 선거의 광주광역시장에 다시 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본인의 임기에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구단을 지원을 약속했지만, 차기 시장 [[강기정]] 대에서 이 약속은 백지화되었다. == 여담 == * 제13대 [[광주광역시장]].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최초로 80% 이상의 지지를 받아 당선된 광역자치단체장이다.[br][[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32519|[Who Is ?] 이용섭 전 광주시장]] * 현재 [age(1951-08-11)]세이며 문재인 전 대통령보다 2년 연상이다. * [[손수익]]이 그의 손윗동서이다. * 2014년 탈당 당시 "[[김한길]]과 [[안철수]]가 물러나면 복당할 용의가 소재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런데 정말로 두 사람이 당을 떠난 후 복당했으니 한 입으로 두 말하진 않은 셈.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110480|#]] [[https://ppss.kr/archives/166063|#]]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8 || 정계 입문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2016 || 탈당[* 지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 - 현재 || 복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 [[광산구 을|광주 광산 을]]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6,540 (73.15%)''' ||<|2> '''당선 (1위)''' || '''초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53,154 (74.67%)''' || '''재선'''[* 2014.5.3. 탈당 (공천불복), 2014.5.15. 의원직 사퇴 (지방선거 출마).]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광주광역시장]] || [include(틀:무소속)] ||<-2> 후보 사퇴 || [* [[무소속]] [[강운태]] 후보와 단일화로 인한 후보 사퇴.]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광산구 을|광주 광산 을]]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3,749 (43.25%) || 낙선 (2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광주광역시장]] || '''573,995 (84.07%)''' || '''당선 (1위)''' || '''초선'''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용섭 18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용섭 19총.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8대 총선}}}]] [[광산구 을|{{{#000000,#fff (광주 광산구 을)}}}]]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9대 총선}}}]] [[광산구 을|{{{#000000,#fff (광주 광산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용섭 20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용섭 7지.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광산구 을|{{{#000000,#fff (광주 광산구 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7회 지선}}}]] [[광주광역시장|{{{#000000,#fff (광주광역시장)}}}]] ||}}}}}}}}} || == 둘러보기 == [include(틀:참여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민선 7기))] ---- [include(틀:민선 7기 광역단체장/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광주광역시)] ---- [include(틀: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1951년 출생]][[분류:함평 이씨]][[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광주광역시장]][[분류:관세청장]][[분류:수석비서관]][[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국세청장]][[분류:행정자치부 장관]][[분류:건설교통부 장관]][[분류: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분류:함평학다리고등학교 출신]][[분류:전남대학교 출신]][[분류: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14회]][[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한국상하수도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