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경상북도)] ||<-2> '''{{{#ffffff 제3대 국회의원 [br] {{{+1 이우줄}}} [br] 李雨茁[* 창씨명은 岩本光平(이와모토 코헤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okps.or.kr/503.jpg|width=100%]]}}}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white 본관}}} ||[[경주 이씨]][* 38세 우(雨) 항렬.] || ||<|2> {{{#white 출생}}} ||[[1915년]][* 1913년생이라는 [[http://db.history.go.kr/id/im_108_21611|기록도 있다]].] [[9월 27일]] || ||[[경상북도]] [[영일군]] [[동해면(포항)|동해면]] 석동[br](現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동해면(포항)|동해면]] 석리) || ||<|2> {{{#white 사망}}} ||[[1976년]] [[1월 4일]] (향년 60세)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남구(대구)|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 자택 || || {{{#white 학력}}} ||[[니혼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2 ([[법학과|법과]] / [[졸업]])}}} || || {{{#white 가족}}} ||증조부 이억형(李億馨)[br]증조모 김왕이(金王伊)[br]조부 이규준(李圭晙)[br]진외조부 김성범(金成範)[br]진외조모 문덕영(文德英)[br]조모 김칠전(金七田)[br]부친 이돈종(李敦鍾)[br]외증조부 임씨(林氏)[br]외증조모 불명[br]외조부 임치윤(林致允)[br]외외조부 박씨(朴氏)[br]외외조모 불명[br]외조모 박도동(朴島洞)[br]모친 임차순(林且順)[br] [[배우자]] 오귀란(吳貴蘭)[* 창씨명은 岩本典子(이와모토 노리코) 또는 혼전씨명 井上典子(이노우에 노리코)][br] [[여동생]] 이소란, 이순란, 이복란, 이희자[br] [[남동생]] 이광민[br] 슬하 5남 2녀 || || {{{#white 의원 선수}}} ||'''1''' || || {{{#white 의원 대수}}} ||'''[[제3대 국회의원|3]], ~~[[제4대 국회의원|4]]~~[* 당선무효]'''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 생애 == 1915년 9월 27일 [[경상북도]] [[영일군]] [[동해면(포항)|동해면]] 석동(現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동해면(포항)|동해면]] 석리)에서 아버지 이돈종(李敦鐘)과 어머니 임차순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돈종은 조부 이규준(李圭晙, 1855 ~ 1923)의 유지를 이어받아 1957년 제7회 한의사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대구시 장관동[* 당시 한의원이 있었던 [[http://naver.me/GgeYAZpQ|장관동 53번지]]에는 공교롭게도 현재도 '수민당인삼사'라는 한약재 상점이 운영되고 있다.]에서 송은당한의원(松隱堂漢醫院)을 운영하였다.[[https://www.medhist.or.kr/journal/Table.php?xn=kjmh-23-1-57.xml&id=|#]] [[일본]] [[니혼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법학과|법과]]를 졸업했다. [[8.15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23일 추달수(秋達洙), 이종우 등과 함께 [[http://aks.ai/GC40001534|영남보안대]](嶺南保安隊)를 결성하고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을 중심으로 이재민의 치안 원조를 명목으로 우익 [[정치깡패]] 노릇을 했다. 그 밖에 경상북도 민족자결투쟁본부 총사령, 이재민동포 경상북도 자치회장을 지내고 덕화공민학원을 설립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재민동포자치회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국민주당]] [[백남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갑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지방선거]]에서 경상북도 대구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대구시의회 문교분과위원회 위원장, 대한상이군인회 경상북도지부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자유당]] 이갑성 후보에 설욕하고 당선되었다.[* 이때 [[국군기무사령부|육군 특무부대]]에서 [[상사(계급)|1등상사]]로 갓 전역해 [[조직폭력배]]가 되었던 [[신상사]]가 이우줄의 선거운동원으로 일했는데, 선거유세장에서 마이크를 밀어 쓰러뜨리고 소동을 일으킬려고 하다가 경찰에 구속된 바 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405200023910203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5-20&officeId=00023&pageNo=2&printNo=9693&publishType=00010|1954년 5월 20일 조선일보 기사]]에 의하면, 이는 자유당 이갑성 후보측에서 꾸민 소동인 것처럼 사람들이 인식하게끔 꾸며낸 수작이었다고 한다.] 임기 중이던 1954년 12월 황봉갑(黃鳳甲) 전 대구시의원[* 이후 대구시 동산동 127번지에서 [[http://db.history.go.kr/id/hs_003_1956_01_23_1590|정신제재소]](正信製材所)를 경영했다.]과 함께 재단법인 덕화학원을 설립하고 [[청구고등학교|덕화중학교]]를 설립했다. 1956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첫 개표 당시에는 14,355표(40.34%)를 얻어 13,677표(38.44%)를 얻은 [[민주당(1955년)|민주당]] [[임문석]]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고 결과가 나왔으나, 개표 완료 직후 이는 [[부정선거|부정 개표]]에 의한 것이라며[*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8050700329203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8-05-07&officeId=00032&pageNo=3&printNo=3966&publishType=00020|1958년 5월 7일 경향신문 기사]]에 자세한 정황이 나온다. 1958년 5월 5일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의 선거위원 9명이 경질되고 새로 선거위원이 보임되었는데, 당일 새벽 [[민주당(1955년)|민주당]] [[임문석]] 후보측 참관인 조헌수(趙憲秀)를 개표장에서 끌어내어 폭행을 가했던 김학진(金學珍)이라는 [[조직폭력배]]가 선거위원에 끼어 있는가 하면, 경상북도 선거위원 두 명이 참석하자 보임된 선거위원 중 김모씨는 책상을 두드리며 격하게 항의하기도 했다. 또한 자유당 이우줄 후보측 참관인은 민주당 임문석 후보에 돌연 시비를 걸고 임문석 후보측 참관인의 팔을 잡고 강제로 밖으로 끌고 나가려했으며, 괴한들이 전등을 멋대로 끈 뒤 의자를 뒤집고 노골적으로 욕설을 해대 떠들썩하게 하는 등 수 차례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에 당시 선거위원장으로 있던 최상택(崔祥澤, 1923 ~ ?) 판사는 졸도해 위독한 상태에 빠져 의사가 급하게 출동하기도 했다.] 상대 후보인 민주당 임문석 후보로부터 선거소송을 당했다. 이에 1958년 7월 19일 재검표를 통해 실제로는 임문석 후보가 이우줄 후보에 2,800여 표차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8072000329101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8-07-20&officeId=00032&pageNo=1&printNo=4040&publishType=00010|이긴 것이 드러나]] 결국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59년 4월 3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선거 부정 혐의로 징역 4개월형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9040400329103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9-04-04&officeId=00032&pageNo=3&printNo=4298&publishType=00010|선고받아]]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60년 9월 17일에는 대구시 태평로에서 목재상을 경영하는 박수룡(朴洙龍)으로부터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0091800329203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0-09-18&officeId=00032&pageNo=3&printNo=4471&publishType=00020|피소당해]] 사기죄로 기소되었고,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 [[제헌절]] [[특별사면]]으로 석방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에 잠시 몸담았다가 탈당하였다. 1976년 1월 4일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 대명7동 1917-15번지 자택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6010700209207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1-07&officeId=00020&pageNo=7&printNo=16695&publishType=00020|별세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대구부 병[* 제3선거구] || [include(틀:이재민동포자치회)] || 7,493표 (35.21%) ||<|2> 낙선 (2위)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대구시 병[* 제3선거구] ||<|3> [include(틀:무소속)] || 5,141표 (14.39%) || || || 1952 || [[1952년 지방선거]] (경북 대구시의회 의원) || 경북 대구시 제4 || - || '''당선''' || '''초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북 대구시 병[* 제3선거구] || '''26,650표 (51.60%)''' || '''당선 (1위)''' || '''초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자유당)] || - || 낙선 (2위) ||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분류:1915년 출생]][[분류:1976년 사망]][[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남구(포항)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분류:니혼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