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2> {{{#fff '''서강왕(徐康王)[br]{{{+1 李元禮 | 이원례}}}'''}}} || || '''{{{#fff 작호}}}''' ||정왕^^(鄭王)^^ → 서왕^^(徐王)^^ || || '''{{{#fff 시호}}}''' ||강^^(康)^^ || || '''{{{#fff 성씨}}}''' ||이([[李]]) || || '''{{{#fff 이름}}}''' ||원례([[元]][[禮]]) || || '''{{{#fff 부친}}}''' ||[[고조(당)|고조]](高祖) || || '''{{{#fff 출생}}}''' ||619년 ~ 67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의 황족으로 초대 황제인 [[고조(당)|고조]]의 10남이다. 모친은 첩여 장씨. == 생애 == 619년에 태어난 이원례는 공손하고 겸양하는 성품을 지녔으며,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 하였다. 621년에 정왕(鄭王)으로 책봉되었고, 632년에 실봉 70호를 하사받았으며 정주(鄭州) 자사로 제수되었다. 곧이어 작위가 서왕(徐王)으로 바뀌었고 서주 도독으로 전임되었다. 643년에는 강주(絳州) 자사로 임명되면서 선정을 펼쳐서 [[태종(당)|태종]]이 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649년에는 실봉 1000호를 받았고, 653년에 사도로 임명되어 삼공의 지위에 올랐으며 노주(潞州) 자사도 함께 겸임하였다가, 672년에 사망하였다. 이원례는 태위, 기주 대도독으로 추증되었다. == 둘러보기 == ||<-5> '''[[당나라|{{{#yellow 당}}}]]''' '''[[사도|{{{#yellow 사도}}}]]''' || || 전임 [[이원경(당나라)|이원경]] || ← || {{{#yellow '''이원경''' [br] 653년 ~ 672년}}} [br] {{{#yellow }}} || → || 후임 [[이원궤]] || [[분류:수당시대/황족]][[분류:619년 출생]][[분류:67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