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제74대 용산경찰서장[br]{{{+1 이임재}}}[br]Lee Imjae'''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2019011516482113371_l.jpg|width=100%]]}}} || ||<|2> '''출생''' ||[[1970년]] ([age(1970-12-31)]~[age(1970-01-01)]세)|| ||[[전라남도]] [[함평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경찰대학]] {{{-1 (9기 / [[학사]])}}}|| || '''경력''' ||[[서울수서경찰서]] 경비과장[br][[서울강서경찰서]] 보안과장[br]서울지방경찰청 위기관리센터장[br]전남구례경찰서장 {{{-2 (72대)}}}[br][[서울지방경찰청]] 제4기동대장[br][[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인터폴국제공조과장[br]서울용산경찰서장 {{{-2 (74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문재인 정부]] 말기인 [[2022년]] [[1월 17일]], 제74대 [[서울용산경찰서|용산경찰서]]장에 임명되었다. [[2022년]] [[10월 29일]] 22시경 발생한 [[할로윈]] [[이태원 압사 사고]] 관련 대응을 부실하게 한 혐의를 받아 [[11월 2일]] [[보직해임|대기발령]]되었다. == [[이태원 압사 사고]] 논란 == [[2022년]] [[10월 29일]]에 발생한 [[이태원 압사 사고]]를 대응하는 과정에 있어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사람이다. 10월 29일 토요일 당시 오전과 늦은 오후까지 삼각지 및 남대문, 광화문광장 등에 민주노총 노동자 대회 및 촛불대행진 등 각종 진보/보수 단체의 집회가 있었기에 당시 용산서장은 삼각지 주변에서 집회관리 근무를 하던 중, 집회가 해산한 시각인 21시 경 현장을 빠져나와 늦은 저녁 식사를 했다고 한다. 이태원 당시 상황을 보고 받은 후, 차량 이동을 고집하여 차 안에서 1시간을 허비한데다, 사고 현장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이태원 파출소 옥상에 올라가서 현장지휘를 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20369?sid=100|#]] 또한 사고 당일 자신의 구체적인 동선을 말해주지 않았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64483?sid=100|#]] [[SBS]]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참사 당일 소방청 상황실로부터 사고 발생 사실을 보고받은 뒤, 현장 확인을 위해 이임재에게 전화를 걸었으나, 이임재는 [[하극상|용산 대통령실의 전화를 받지 않고 다시 연락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11299?sid=1000|#]] 추가보도에 의하면 이임재 용산서장과 정보과장, 경비과장 총 3명이 윤석열 퇴진운동과 퇴진운동 맞불성 시위대 양측이 오후 9시에 집회가 끝난 뒤 후속 대응을 지시한 후 용산서 인근 설렁탕집에서 늦은 저녁 식사하던 도중 이태원 압사 관련 현장 보고가 들어왔음에도 20분간 느긋하게 천천히 식사하는 모습이 녹화된 식당 CCTV를 통해 공개되면서 또 한 번 공분을 사게 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701341?sid=102|#]] [[11월 16일]] 국정감사에 출석하여 의문을 밝혀내야 했지만, 갑자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대립으로 의문을 밝혀내지 못하였다. 같은 날 국회 현안질의 증인에 출석하여 야당 의원의 질의 중 "서울청에게 할로윈 안전관련 기동대 요청한 거 사실이냐?" 질문에 대해서 두 번 정도 기동대 요청했는데 용산 시위집회 때문에 서울청에서 거부를 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한다. [[11월 18일]], 특수수사본부는 이임재 前 서장의 주장과 달리 '''용산경찰서에서 서울경찰청에 경비기동대 증원 요청을 한 기록이나 그런 요청을 한 직원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85281?sid=102|#]][[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8/0000383274?sid=102|#]][[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44571?sid=102|#]] 특별수사본부는 이임재를 소환 조사 하였고, 2022년 12월 23일 구속되었고 2023년 1월 검찰에 의해 기소되었다. 혐의는 업무상과실치사상 및 허위공문서작성 및 동행사이다. 2023년 7월 6일 보석으로 풀려났다. 법원은 1심 구속 기한이 1주일 여 앞으로 다가온 점과 주요 증인들에 대한 심문이 끝났다는 점을 들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17149|#]] [[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1970년 출생]][[분류:경찰대학 출신]][[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