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5><:> [[무안군|[[파일:무안군 CI.svg|width=52]]]] {{{+1 '''[[전라남도|{{{#F47820 전라남도}}}]] [[무안군|{{{#F47820 무안군수}}}]]'''}}}|| ||<:>{{{#FFFFFF '''관선'''}}}|| ||<:>{{{#FFFFFF '''민선1-2기'''}}}|| ||<:>{{{#FFFFFF '''민선3-5기'''}}}|| ||<:>39대[br][[정치환]] ||<:>→||<:>'''40-41대[br]이재현''' ||<:>→||<:>42-44대[br][[서삼석]] || 李裁賢 [[1937년]] [[1월 16일]][* 이는 호적상 생일이고, 실제로는 1935년 11월 14일생이다.] ~ ([age(1937-01-16)]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자 출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함평 이씨|함평]](咸平)[* 현감공(縣監公) 지춘(枝春)파 29세 재(載) 항렬. 함평이씨대동보 권3 507쪽에는 항렬자를 써서 李'''{{{+1 載}}}'''賢으로 등재돼 있으며, 족보에 기록된 일명은 李'''{{{+1 栽}}}'''賢으로 등재돼 있다.], 호는 동암(東岩). == 생애 == 1937년 1월 16일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용산리 604번지에서 아버지 명호(明湖) 이연범(李演範, 1916. 5. 10 ~ 1997. 1. 25)과 어머니 [[나주 나씨]](1914. 6. 15 ~ 2004. 10. 25)[* 나정균(羅釘均)의 딸이다.] 사이에서 2남 4녀 중 장남으로 [[https://library.nec.go.kr/epdata/EP06/ECM2006/01/ECM0120060355/ECM0120060355_0226S.jpg|태어났다]]. 이후 자식이 없던 큰아버지 동포(東圃) 이구범(李具範, 1906. 5. 25 ~ 1937. 2. 1)[* 자는 향삼(向三).]에 입양되었다. 무안 일로북국민학교[* 1996년 3월 1일 일로초등학교로 개칭되었다.], [[문태중학교]], [[인창고등학교(서울)|서울 인창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고 1976년 2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s://library.yonsei.ac.kr/search/detail/CATTOT000000275271?mainLink=/search/tot&briefLink=/search/tot/result?st=KWRD_A_q=%EC%9D%B4%EC%9E%AC%ED%98%84_A_lmtst=OR_A_lmtst=OR_A_lmtst=OR_A_bk_5=%EC%97%B0%EC%84%B8%EB%8C%80%ED%95%99%EA%B5%90+%EA%B5%90%EC%9C%A1%EB%8C%80%ED%95%99%EC%9B%90_A_commandType=advanced_A_bk_0=jttjtjttj_A_si=TOTAL_A_lmtsn=000000000001_A_lmtsn=000000000003_A_lmtsn=000000000006_A_lmt1=TOTAL_A_lmt2=YNLIB%3BGSISL%3BMUSEL%3BOTHER%3BUGSTL%3BYSLIB%3BARCHL%3BBUSIL%3BKORCL%3BIOKSL%3BLAWSL%3BMULTL%3BMATHL%3BMUSIC%3BUML_A_lmt0=TOTAL_A_inc=TOTAL#|白潮(백호)의 文學的(문학적) 性格(성격) 硏究(연구)]](1976. 2).]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 졸업 후 나주중학교, 나주고등학교, 전남여자중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등지에서 15년간 [[중등교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한국금융연수원 교수부장을 거쳐 [[한국주택은행]]에서 7년간 근무하면서 지점장, 조사부장, 영업1부장, 중부지역본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문학가]]로서도 활동하면서 시집 『원(願)』, 수필집 『합창하는 세상』 등을 출간했고, 한국문학협회 무안군지부 고문, 무안문학상 운영위원장, [[연변대학]] [[겸임교수]] 등을 지냈다. 이후 [[민주당(1991년)|민주당]]에 입당한 뒤 지방자치발전협의회 무안군지역 회장에 취임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무안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전라남도 무안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무안군·신안군]] 지구당 위원장 [[직무대행]],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한민족역사문화연구원 이사장, [[초당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지냈다. [[한화갑]]의 뇌물수수죄로 치러진 [[2007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전라남도 무안군·신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2005년)|민주당]] [[김홍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전라남도 무안군수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425표 (49.53%)''' ||<|2> '''당선 (1위)''' || '''초선'''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include(틀:무소속)] || '''21,359표 (56.95%)''' || '''재선''' || || 2007 || [[2007년 재보궐선거]]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 전남 [[무안군·신안군]] || 14,681표 (30.30%) || 낙선 (2위) || || [[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문학인]][[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무안군수]][[분류:함평 이씨]][[분류:무안군 출신 인물]][[분류:1937년 출생]][[분류:인창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