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코미디언)] [목차] == 소개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1978년]] [[1월 11일]] 생. 이름만 들으면 남자같지만, 여자 개그우먼이다. == 활동 내역 == 결혼정보회사에서 팀장으로 근무하던 중, 2001년 10월 대학동기인 [[김범용]]과 함께 월드컵을 소재로 SBS 개그 콘테스트에 참가, 장려상을 받으며 SBS 공채 6기로 발탁되어 개그계에 입문했다. 동기로는 김범용, [[최국]], [[김주현(코미디언)|김주현]], [[손명은]], [[박보드레]], [[홍성기(코미디언)|홍성기]], [[박재석(코미디언)|박재석]], [[김진성(코미디언)|김진성]][* 현재 예명 지하철.], [[조세호]], [[김경욱(코미디언)|김경욱]], [[고석준]], [[윤성호(코미디언)|윤성호]], [[엄태경(코미디언)|엄태경]] [[문세윤]][* 콘테스트 참가자 소개 영상에 없는 걸 보면 특채로 편입된 듯.] 등이 있는데 오늘날 인지도가 있는 코미디언들도 꽤 있지만 당시에는 처참했다. '''코미디 쇼 오 해피데이'''[* 2001년 SBS에서 방영된 코미디 프로그램이다. [[이봉원]], [[홍록기]] 등 선배 개그맨들이 메인이고 당시 신인이던 6기 개그맨들이 보조가 되었다.]에 합류해서 김의환[* KBS 공채 3기 개그맨. 이 사람에 대해 검색해보면 안 좋은 이야기만 나온다.]과 함께 바보 부녀를 다룬 '''아빠와 크레파스'''를 진행, 하지만 시청률이 저조한 탓에 10주 만에 폐지되고 SBS 코미디의 길은 2003년 [[코미디타운]]과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 시작되기 전까지 끊어져 버린다. 당시 SBS 코미디가 영 부진한지라 이정필을 비롯한 SBS 6기 신인들이 설 자리는 없었다. [[최국|타]] [[윤성호(코미디언)|방송국으로]] [[엄태경(코미디언)|이적해서]] [[조세호|개그맨 경력을]] [[고석준|이어나가가거나]], [[손명은|리포터 혹은]] [[박보드레|재연배우로 출연하거나]], [[김진성(코미디언)|지하철을 주 무대로 개그를 하기도 하고]], [[김주현(코미디언)|이도 저도 아니라서 배고픈 생활을 하는]] 상황이었다. 이정필은 SBS 전속 코미디언으로 소속되어 있는 동안 [[솔로몬의 선택]], 동물농장, 모닝와이드 잘 먹고 잘 사는 법 등 자사 프로그램에서 재연배우나 [[리포터]] 활동을 했다. 소속 기간이 끝나고 프리가 되자 [[주주클럽(KBS)|주주클럽]] 등 KBS 프로그램에서 세상의아침 등 해외 리포터로 출연한다. 2003년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 신설되자 김범용, 김경욱, 김주현, 박재석, 김한배 등 동기들이 웃찾사에 합류하지만 이정필 본인은 합류하지 않았다.[* 이정필은 기획사 탓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웃찾사에 합류한 동기들은 기획사가 있었다고 말한다. 상기된 동기들은 [[컬투|컬트엔터테인먼트]] 기획사 소속이었다. 개그맨들에게도 소속사가 있어야 활동이 수월하다는 것은 SBS 5기 [[장동국]], KBS 17기 [[김민정(코미디언)|김민정]] 등의 인터뷰를 통해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코미디언이지만 재연배우나 리포터로 활동하며 뜻을 펼치지 못한 처지였던 6기 동기 손명은이 팬카페에 글을 올려 이정필을 위로하기도 했다.[[http://cafe.daum.net/leejungpil/4ARU/73?q=%C8%FB%B5%E9%C1%F6%3F+%C1%A4%C7%CA%C0%CC+%B0%B3%B1%D7%B8%C7|#]]] 동기들이 뒤늦게라도 뜬 와중에 이정필은 계속 리포터 활동을 하다가 현재는 사실상 방송계에서 은퇴했다. 이후 숙명여대 대학원에 진학하여 이미지컨설팅을 전공으로 커뮤니케이션과 펀워크 기업강사로 활동했다고 한다. 공채 입사 당시 동기들도 코미디언보다 다른 일로 더 성공할 것 같다고 얘기했다고 한다. [각주] [[분류:한국 여성 코미디언]][[분류:1978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