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제동/개인리그)] [목차] == 개요 == [[이제동]]의 개인리그 기록 중 2009년 내용이다. == 역사 == === [[로스트사가 MSL 2009]] === [[로스트사가 MSL 2009]] 32강 F조 패자전에서 자신에게 걸림돌이 되었던 [[이성은]]을 완벽한 경기력에 이은 해처리 러쉬로 [[관광#s-2.1]] 태웠으나, 최종전에서 [[라이벌#s-1]] 이영호에게 패배하여 탈락하고 말았다. === [[곰TV클래식|곰TV 클래식 스페셜 매치]] === 2009년 3월 1일, [[곰TV클래식|곰TV 클래식 스페셜 매치]]에서 [[김택용]]을 3:2로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 [[택뱅리쌍]] 중 누구도 먼저 앞으로 치고 나갈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한다. === [[BATOO 스타리그 2008]] === 8강에서 [[송병구]]에게 2:1로 역전승을 거두고 4강에 진출. 4강에서는 상대인 [[조일장]]을 3:0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해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과 맞붙었다. 결승전에서 [[이제동]]은 [[스타리그]] 결승전 사상 두 번째 [[리버스 스윕/e스포츠|리버스 스윕]]을 달성하며,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3:2로 누르고 그를 [[콩라인]]으로 만들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골든 마우스#s-2]]까지 하나의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을 남겨두었고, 아울러 양대리그 통산 3회 우승을 달성하였다. 당시 4월 4일, 결승전은 8년만의 [[롯데 자이언츠]] 홈경기 개막전이라 흥행은 불투명한 상태였으나, 롯데도 이겼고, 관중도 꽉 들이찼으며, 0대2에서 3대2로 역전 우승하면서 나름대로 흥행에 성공했다는 호평이 많다. 특히 관중 동원은 다른 스타리그 결승과 비교해도 근 3년 내의 결승 중에서 최고였다. 현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집요한 빌드 싸움이 벌어진 결승 중 하나였지만, 아쉬운 점이라면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저전]]을 가장 흥행 있는 대전으로 만든 순수 [[바이오닉 테란]] 운영이 단 한 경기도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 [[아발론 MSL 2009]] === 4월 23일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김동주(프로게이머)|김동주]]와의 경기에서는 [[발리오닉]] 병력에 압도 당하며 패자전으로 가게 되었다. 4월 말 현재 이제동도 [[화승 오즈|팀]]도 모두 부진의 나락으로 빠져들고 말았다[* 이제동은 데뷔 이후부터 유독 [[4월]]에 부진하다는 [[징크스]]가 있는데, [[역사는 반복된다]]더니 이 해에도 기어이 그 징크스가 반복되었다.]. 다행히도 5월 14일, 자신을 패자전으로 내려보낸 [[김동주(프로게이머)|김동주]]와 최종전에서 다시 만나서 복수하며 결국 [[아발론 MSL 2009]] 32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6월 18일, [[진영화]]에게 패배를 맞았다. 진영화의 초반 드라군 올인에 허를 찔리고 완패해 버린 것. 이로써 [[MSL]]은 코북뱅이 모두 패자조로 가게 되면서 [[완불엠]]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야 말았다. 다만 이번에는 [[온게임넷|옆동네]]에서 열린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에서도 이제동 밖에 살아남질 않아서 [[MBC GAME]]만 불쌍한 상황은 아니었다. [[이제동]]은 [[아발론 MSL 2009]] 32강 패자조에서 [[신상문]]을 최종전에서는 [[진영화]]에게 복수를 성공하며 [[Clubday Online MSL 2008]] 이후 두 시즌만에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16강전에서는 [[김구현]]을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제압하고 8강에 진출하였는데, 그 상대는 [[고인규]]. [[아발론 MSL 2009]] 8강 1세트에서 [[고인규]]에게 패하긴 했으나, 결국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 [[Arena MSL 2008]] 이후 세 시즌만에 4강에 진출했다. 근데 4강에서 [[김윤환(1989)|김윤환]]에게 1:3로 패하며 대회를 마감하였다.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 [[아발론 MSL 2009]] 16강을 힘들게 진출했던 것과는 달리,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에서는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와 [[리쌍록]]에서 승리를 거두며 손쉽게 8강 진출하였다. 8강에서도 [[김명운]]을 만나 2승으로 가볍게 4강에 진출했다. 4강 상대는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8월 14일 [[이제동]]이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에게 엿새 전의 [[광삼패]]의 복수를 하며 3:1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이제동 스코어'''라고 부르는 '''패승승승'''을 기록하며 승리를 거두었다. 1, 2세트는 장기 운영식으로 흘러갔으나 3세트에서 [[이제동]]은 4드론을 통해 저글링으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의 본진을 급습했다. 하지만 정명훈의 본진에 벙커가 지어지고 심시티도 잘 되어 막는 분위기였으나, 이제동의 놀라운 컨트롤로 일꾼을 테러하는 척 하며 벙커를 감싼 후 깨뜨리고 결국 승리하게 되었다. 여세를 몰아 4세트도 저글링으로 정명훈을 끝내버리며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결승전의 복수를 성공하게 되었다. 8월 22일, ~~[[박명수(1987)|박명수]]~~와의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 결승전에서 상대를 압도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로써 [[임요환]] 이후 두 번째이자, 저그 최초의 [[온게임넷 스타리그]] 2연속 우승자가 되며 '''역대 최단 기간 [[골든 마우스#s-2]] 획득'''과 함께 [[박성준(1986)|박성준]], [[이윤열]]도 달성하지 못한 '''세 종족 [[트레블]]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그리고 세 번의 우승에서 모든 스코어[* 3:2 [[BATOO 스타리그 08~09]] vs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3:1 [[EVER 스타리그 2007]] vs [[송병구]], 3:0 [[박카스 스타리그 2009]] vs ~~[[박명수(1987)|박명수]]~~]로 우승을 경험하는 진기록도 세우게 되었다. === [[WCG]] 2009 === 2009년 8월 29일, [[WCG]] 2009 한국대표 선발전 4강에서 최근 [[저막]]으로 취급받던 [[송병구]]에게 0:2로 패하며 [[3위 결정전]]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후 [[박찬수]]를 2:1를 이기고 GF 진출에 성공한다. 11월 12일, [[WCG]] 스타크래프트 부분 예선 풀리그를 전승으로 통과, 8강에 안착했다. 4강에서 [[김택용]]을 2:0으로 이기며 결승에서 [[송병구]]랑 [[금메달]]을 놓고 다투게 되었다. 그리고 [[WCG]] 2009 그랜드 파이널 결승에서 2:1로 승리하며 4강과 결승에서 택뱅을 잡아내며 [[우승]]하면서 2009년을 오롯이 자신의 해로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 [[EVER 스타리그 2009]]과 [[NATE MSL]] === 11월 25일 [[EVER 스타리그 2009]] 16강 개막전에서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를 상대로 원게이트에 전혀 대비하지 않아 [[마패관광|해처리를 박지호의 앞마당에 짓는 실수]]를 한 덕분에(?) 이겨서 개막전에서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12월 2일에는 [[EVER 스타리그 2009]] 16강 두 번째 경기에서 ~~[[김창희(1989)|김창희]]~~를 이기면서 2승으로 8강이 유력해 졌고, 다음날인 12월 3일에 열린 [[NATE MSL]] 32강에서는 [[임정현(프로게이머)|임정현]]과 [[김대엽]]을 꺾고 2연승으로 가볍게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16강 상대는 [[김재춘(프로게이머)|거침없이 김재춘]]. 2009년 12월 9일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진영화]]를 잡고 16강에서 처음으로 3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 상대는 추첨 결과 [[이영호]]로 결정되었다. 12월 17일 [[NATE MSL]] 16강 1세트에서 [[김재춘(프로게이머)|거침없이 김재춘]]을 거침없이 잡아냈다. 12월 18일 [[이영호]]와의 [[EVER 스타리그 2009]] 1차전에서 패하였다. 12월 24일 [[NATE MSL]] 16강 2세트에서 [[김재춘(프로게이머)|김재춘]]을 거침없이 6분만에 잡아내고 8강에 진출했다. 상대는 당시 [[로얄로더]] 후보였던 ~~윌리~~ [[김대엽]].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용산 e-Sports 스타디움]]은 [[리쌍록]] 2차전을 보기 위한 사람들로 미어터졌으나, 피튀기는 혈전을 기대하던 사람들의 눈앞에 펼쳐진 것은 [[이영호|꼼딩]]의 [[벙커링]]. 사람들의 절규 아래 [[이제동]]은 0:2로 [[EVER 스타리그 2009]] 8강에서 탈락하였다. 그래도 2009년 마지막 날인 12월 31일 [[NATE MSL]] 8강 1세트에서 [[김대엽]]을 잡아내며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연승을 9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각주] [[분류:이제동/개인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