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은하영웅전설의 세력)] [목차] || [[파일:attachment/free_planets_iserepublic.jpg]] || || 이제르론 혁명군 마크 || == 개요 == 일본의 SF소설 [[은하영웅전설]]에 등장하는 국가 [[이제르론 공화정부]]의 군사조직. == 상세 == 이전 역사에 대해서는 [[엘 파실 혁명군]], [[양 웬리 함대]] 문서 참조. [[양 웬리 암살사건]] 이후 구심점을 잃은 [[엘 파실 독립정부]] 및 엘 파실 혁명군이 해체되면서 수많은 이탈자가 생겨났다. 그러나 엘 파실 혁명군의 주축을 이루던 구 [[자유행성동맹군]] 13함대 출신 지휘관들은 양의 사후에도 민주공화정의 존속을 위하여 양의 부인인 [[프레데리카 그린힐]]을 정치지도자로, 양자 [[율리안 민츠]]를 군 사령관으로 추대하면서 [[이제르론 공화정부]]를 창립한다. 이제르론 혁명군은 이 이제르론 공화정부의 군사조직으로, [[알렉스 카젤느]]를 군사국장으로, [[율리안 민츠]]를 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조직을 갖추었다. 하지만 이 이제르론 혁명군의 규모는 전신인 [[엘 파실 혁명군]]에 비해서 크게 쪼그라들었다. [[회랑 전투]] 이전 28,840척, 장병 254만 7,400명에 이르는 구 동맹군으로 따져도 2개 함대 규모의 군대를 가지던 엘 파실 혁명군에 비해 이제르론 혁명군은 함선 9,800척 이상, 장병 66만 명 정도로 구 동맹군 1개 정규함대보다도 못한 전력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장병이 적어서 순항함 하나 운용하는데 겨우 52명이 달라붙고, 그마저도 없어서 무인함도 많았다.[* 참고로 양 웬리 함대가 처음 창설되었을 때 전력은 함선 6,400척에 장병 70만 명이다. 창설 때 보다 함선은 많은데 장병은 적으니 인력이 부족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렇기에 공화정부 초기에는 제국과의 마찰을 빚으려 하지 않았으며, 제국군이 [[오스카 폰 로이엔탈]] 원수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이제르론 회랑]]을 통과하는 것도 허용하였다. 하지만 [[아드리안 루빈스키]]의 모략으로 구 동맹령이 혼란에 빠지고 민주공화주의 세력이 이제르론 공화정부가 제국과 결탁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이제르론 혁명군 내부에서는 주전론이 대두되었고, 그 의견이 수용되어 혁명군은 제국군을 선제 공격한다. 그리고 제국령 방면에 있던 [[바겐자일]] 대장의 함대를 [[토르 하머]] 사거리 내로 끌여들여 격퇴하고, 구 동맹령 방면에서 진입한 [[아우구스트 자무엘 바렌]] 상급대장의 함대 또한 [[토르 하머]]를 이용해 격퇴하였다. 이후 [[시바 성역 회전]]에서 제국군과 격돌하여 강화와 민주공화주의 존속을 보장받았으나, 그 과정에서 20만 명의 전사자와 [[빌리바르트 요아힘 폰 메르카츠]] 제독, [[발터 폰 쇤코프]] 등 다수의 인재를 잃어버리면서 전력이 더욱 약화되었다. 강화 이후 사령관 [[율리안 민츠]]가 카이저 라인하르트와 함께 제도 [[페잔(은하영웅전설)|페잔]]으로 가버리면서 [[마리노(은하영웅전설)|마리노]] 준장이 혁명군을 관리했으며, 카스퍼 린츠, 순 수울, 라오가 보좌하여 혁명군의 해체를 준비했다. 이후의 역사는 알려진 바 없다. == 전력 == * [[이제르론 요새]] - [[토르 하머]] * 우주함정 : 최소 9,800척 이상 * 기함 : [[율리시스(은하영웅전설)|율리시스]] * 장병 : 약 66만 명 * 육전부대 [[로젠리터]] 연대 : 병력 1,000여 명 == 소속 인물 == * [[알렉스 카젤느]] - 군사국장 * [[율리안 민츠]] - 사령관 * [[더스티 아텐보로]] - 함대 사령관 * [[빌리바르트 요아힘 폰 메르카츠]] - 함대 사령관 * [[베른하르트 폰 슈나이더]] * [[발터 폰 쇤코프]] * [[카스퍼 린츠]] * [[올리비에 포플랭]] * [[카테로제 폰 크로이처]] * [[루이 마솅고]] * [[라오(은하영웅전설)|라오]] * [[마리노(은하영웅전설)|마리노]] * [[닐슨(은하영웅전설)|닐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제르론 공화정부, version=66, paragraph=3.3)] [[분류:은하영웅전설/세력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