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축구 선수, rd1=이종열(축구선수))] [include(틀:KBO 리그 단장)] ||
'''{{{#ffffff 이종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 이종열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30]] [[삼성 라이온즈#역대 단장|'''{{{#FFFFFF 삼성 라이온즈 역대 단장}}}''']] || || [[홍준학]][br](2016~2023) || {{{+1 →}}} || '''이종열[br](2023~)''' || {{{+1 →}}} || 현역 || ---- ||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코치)}}}''' || || '''[[선동열호/2018년|{{{#ffffff 2018}}}]]''' || ---- ||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width=auto&height=70]][br]'''2019 프리미어 12[br]{{{#8c8c8c 은메달}}}''' || || '''[[김경문호/2019년|{{{#FFFFFF 2019}}}]]''' || ---- ||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코치)}}}'''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FFFFFF 2022}}}]]''' || ---- ||
[[파일:Twins_champion_v2.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94년 한국시리즈|{{{#ffffff 1994}}}]]''' || ---- [include(틀:LG 트윈스 주장)] }}} || ---- ||
'''{{{#fff 이종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5번}}}''' || || 박성훈[br](1989~1990) || {{{+1 →}}} || '''이종열[br](1991~2009)''' || {{{+1 →}}} || [[정주현]][br](2010~2013)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78번}}}''' || || [[윤덕규]][br](2007~2009) || {{{+1 →}}} || '''이종열[br](2010~2011)''' || {{{+1 →}}} || [[이희성(1988)|이희성]][br](2012~201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종열 삼성.jpg|width=100%]]}}}|| ||<-2> '''삼성 라이온즈 단장''' || ||<-2> '''{{{+2 이종열}}}[br]李鍾烈 | Lee Jong-Yeol'''[* [[세계야구소프트볼 총연맹|WBSC]] 공식 등록명] || ||<|2> '''출생''' ||[[1973년]] [[1월 28일]] ([age(1973-01-28)]세)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서울)|창동]][* 아버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출신이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길동초등학교|길동초]] - 장충중 -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 || ||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내야 유틸리티]][* 주 포지션은 2루수와 3루수로 유격수도 소화 가능한 내야 유틸리티였다. 아주 가끔 경기 후반 좌익수로 이동하기도 했으며 실제로 99년과 07년 좌익수 출장 기록도 남아있다.] || || '''투타''' ||[[스위치 히터|우투양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1년/신인드래프트#s-5.1.7|1991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LG 트윈스|LG]]) || || '''소속팀''' ||'''[[LG 트윈스]] (1991~2009)''' || || '''지도자''' ||[[LG 트윈스]] 육성군 코치 (2010)[* ~8월 2일][br][[LG 트윈스]] 1군 보조코치 (2010)[* 8월 3일~][br][[LG 트윈스]] 재활군 코치 (2011)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비코치 (2019~2021 / 2023)''' || || '''프런트''' ||[[삼성 라이온즈]] 단장 (2023~)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전력분석원 (2015~2018) || || '''해설위원''' ||[[SBS Sports]] 야구 해설위원 (2015~2023) || || '''경력''' ||[[한국야구위원회|KBO]] 육성위원 (2015~2018)[br][[한국야구위원회|KBO]] 재능기부위원 (2023) [br][[한국야구위원회|KBO]] 전력강화위원 (2023)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기술위원 (2019~2023) || || '''응원가''' ||[[https://youtu.be/oTS74Ijs4CM|동요 - 훌랄라 폴카]][* 이종열 안타! 이종열 안타! 이종열 안타! 타! 타! 타!][* 훗날 [[박지규]]가 이 응원가를 물려받는다.] || || '''종교''' ||[[불교]][* [[https://sports.chosun.com/news2/sports/20001220/0ct03002.htm|기사]]][* 여담으로 아내도 [[불교]]신자 라고 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해설자]]. 現 [[삼성 라이온즈]]의 [[단장#s-1.3|단장]]. == [[이종열/선수 경력|선수 경력]] == [[파일:이종열 선수 시절.jpg]] [include(틀: 상세 내용, 문서명=이종열/선수 경력)] == 지도자 경력 == 2009 시즌을 마치고 은퇴 후 곧바로 LG 육성군 코치로 임명되어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2010년 시즌 중에는 팀 훈련 지원을 위해 잠시 1군 코치로 올라오기도 했다. 2011 시즌 후 [[김기태(1969)|김기태]]로 감독이 바뀌면서 [[김영직]], [[최계훈]], [[허문회]] 등의 코치들과 같이 해임되고 2년간 미국 대학야구로 유학을 가기로 결정되었다. 2013년부터 미국의 고교 야구 팀에서 코치를 맡게 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0&article_id=0000036366|오하이오 주 블링그린 하이스쿨 야구 팀 타격코치 이종열]]] 2015년 한국으로 돌아와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프리미어12 전력분석관으로 참여함과 동시에 대만에서 열렸던 조별예선 잔여경기와 8강전까지 [[최원호]] 해설위원과 함께 [[SBS]] 중계를 맡았다. 이후 국제대회 전력분석관 팀장으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까지 역임했다. 2019년 [[김경문호/2019년|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수비코치로 합류해 [[2019 WBSC 프리미어 12|프리미어 12]]와 [[2020 도쿄 올림픽/야구|도쿄 올림픽]]을 치렀다. 2022년 WBC 기술위원회 기술위원으로 활동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19&aid=0002659345|기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833725992778.jpg|width=100%]]}}}|| 2023년 [[류중일호/2023년|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수비코치로 합류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치렀다. 여담이지만 첫 경기인 홍콩전에서 라인업 발표를 하며 그라운드로 나올때 코칭스탭이 먼저 호명되는데 본인의 이름은 불리지 않아 나가려다 막혔고, 후보 선수들이 단체로 나올때 다시 나와서 자연스럽게 코치위치로 들어가는 해프닝이 있었다. == [[이종열/프런트 경력|프런트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00990050_001_20231016102102371.jpg|width=100%]]}}} || || '''{{{#ffffff 이종열 신임 단장}}}'''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종열/프런트 경력)] || 2023년 10월 16일 삼성 라이온즈의 14대 단장으로 취임하였다. == 해설자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 이종열 해설위원.jpg|width=100%]]}}}|| 2015년부터 [[SBS Sports]] 해설을 맡고 있다. 초창기에는 [[최원호]]와 파트너를 이뤄 3인 중계를 자주 했다. [[이순철]]과 함께 해설하며 중계를 한 적도 있는데, 참고로 이종열-최원호는 이순철이 LG 감독일 때 선수생활을 한 적이 있다. 한 때 3명이 한솥밥을 먹었다는 뜻.[* [[주간야구]]에서 이종열과 최원호는 선수 시절에 대해 얘기하다가 '그때 (이순철 위원님을 가리키며) 우리 감독님이었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해설 도중 '''최원호와 싸우는 듯한 상황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팬들은 재밌다고 하는 쪽도 있고 무섭다고 하는 쪽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것들이 전혀 '''연출이나 짜고 치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백퍼센트 본인들 마음에서 우러나와서 하는 언쟁이라고 한다. 정말 두 사람이 야구를 보는 눈과 분석 성향이 다른 부분이 많다고 한다. 게다가 둘 다 선수 출신치고도 이론 공부를 많이 하고 해설자가 된 경우라 더더욱 깊이 있는 충돌이 많다. 심지어 두 사람은 LG 트윈스 시절 무려 10년이나 같은 팀에서 함께한 1년 차이[* 사실 동갑이지만, 이종열이 1월생이라 야구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빠른 나이를 인정하는 한국 스포츠계 규율 상 1년 선배이며 이종열도 최원호에 대해 얘기할 때 '그래도 (내가) 형인데'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다.] 팀 선후배 사이임에도 친하기는커녕 오히려 껄끄러운 느낌이다.[* 물론 어떤 팀이건 원래 투수조와 야수조 사이는 같은 팀인 것에도 불구하고, 미묘하게 성향이 다른 부분이 많다.] 이종열의 말로는 선수 시절 자신이 주장일 때도 선수 모임 때 주장으로서 본인이 이야기하는 상황이 올 때마다 최원호의 (항의성) 질문이 많았다고 하고, 게다가 집에 가서 부인에게도 최원호 때문에 답답하다고 하소연을 하다가 "내가 최원호만 설득할 수 있으면 이 세상 사람 다 설득할 수 있을 거다"라고 말한 적도 있다고 한다. 이는 영원히 맞닿을 수 없는 평행선 같은 관계인 듯. 대신 최대한 논리 싸움으로만 가려고 하고 감정 싸움이나 주먹 싸움으로는 안 가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이종열 말로는, 자기가 아무리 화나도 최원호한테 폭력으로 가려고 하지는 않는다는데, 그 이유는 진짜 주먹으로 붙으려고 했다간 자기가 일방적으로 더 맞을 거 같다고 최원호가 실제로 체격이 조금 더 크긴 하다.] 사실 LG에서만 선수 생활을 하다가 은퇴했음에도 불구하고, LG에서 코치로 부르지 않는 이유가 이종열이 구단 측과 좋지 않게 헤어져서라는 설도 있긴 하다.[* 그러나 [[류지현(야구)|류지현]]이 감독에 부임하고 [[조인성(야구)|조인성]]이 코치로 돌아온 것을 보면 예전 구단과의 관계는 모두 종결된 것으로 보인다.] 2018 시즌 시작 전 [[최원호]] 위원과 함께 [[한화 이글스]]를 4강권 바깥으로 분류했는데 한화가 정규시즌 전반기를 2위로 마감하자 초등학생 한화팬이 [[스브스뉴스]]의 초대로 [[주간야구(SBS Sports)|주간야구]] 촬영장을 찾았고 이종열 위원은 4강이 아닌 5강으로 뽑았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TaCFYiUea3E|해명(?)했다.]] 2023년 10월 16일, [[삼성 라이온즈]] 단장에 부임하여 SBS 해설 마이크를 내려놓았다. [[https://www.spo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8019|#]]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1 ||<|19> [[LG 트윈스|LG]] || 24 || .238 || 5 || 0 || 0 || 0 || 1 || 2 || 1 || 1 || 0 || 2 || .273 || .238 || .511 || || 1992 || 54 || .208 || 21 || 2 || 0 || 1 || 10 || 14 || 3 || 10 || 2 || 9 || .292 || .257 || .550 || || 1993 || 95 || .238 || 67 || 6 || 2 || 3 || 29 || 24 || 21 || 21 || 3 || 44 || .296 || .306 || .603 || || 1994 || 117 || .211 || 60 || 8 || 1 || 1 || 25 || 33 || 11 || 22 || 0 || 35 || .267 || .257 || .524 || || 1995 || 113 || .234 || 64 || 4 || 4 || 1 || 20 || 30 || 11 || 20 || 4 || 23 || .294 || .289 || .584 || || 1996 || 91 || .242 || 44 || 6 || 4 || 0 || 11 || 18 || 12 || 12 || 0 || 15 || .286 || .319 || .604 || || 1997 ||<-15> 1군 기록 없음 || || 1998 || 126 || .215 || 83 || 9 || 3 || 4 || 29 || 38 || 8 || 32 || 7 || 60 || .286 || .285 || .571 || || 1999 || 128 || .291 || 136 || 23 || 7 || 9 || 55 || 82 || 18 || 53 || 13 || 83 || .378 || .427 || .805 || || 2000 || 131 || .250 || 105 || 19 || 4 || 6 || 35 || 65 || 9 || 41 || 7 || 60 || .326 || .357 || .683 || || 2001 || 79 || .225 || 48 || 7 || 1 || 2 || 15 || 27 || 4 || 23 || 1 || 27 || .301 || .296 || .597 || || 2002 || 95 || .267 || 93 || 16 || 3 || 7 || 44 || 51 || 16 || 28 || 10 || 50 || .339 || .391 || .729 || || 2003 || 100 || .233 || 61 || 11 || 1 || 3 || 13 || 36 || 5 || 29 || 5 || 24 || .320 || .317 || .637 || || 2004 || 106 || .254 || 77 || 9 || 2 || 1 || 22 || 34 || 2 || 34 || 5 || 45 || .339 || .307 || .646 || || 2005 || 85 || .253 || 68 || 7 || 2 || 6 || 29 || 37 || 5 || 21 || 4 || 37 || .314 || .361 || .675 || || 2006 || 96 || .252 || 66 || 11 || 2 || 3 || 31 || 25 || 0 || 18 || 2 || 36 || .303 || .344 || .646 || || 2007 || 121 || .285 || 111 || 13 || 2 || 4 || 53 || 46 || 5 || 46 || 1 || 39 || .359 || .360 || .719 || || 2008 || 81 || .232 || 63 || 7 || 3 || 1 || 26 || 24 || 0 || 17 || 5 || 29 || .284 || .292 || .576 || || 2009 || 12 || .200 || 3 || 0 || 0 || 0 || 0 || 2 || 0 || 1 || 0 || 3 || .250 || .200 || .450 || ||<-2> '''[[KBO 리그|KBO]] 통산''' [br] (18시즌) || 1654 || .247 || 1175 || 158 || 41 || 52 || 448 || 588 || 131 || 429 || 69 || 621 || .317 || .331 || .648 || == 관련 언사 == > "LG에 단 한 명 프랜차이즈 선수가 있다면 이종열이다."[* 원조 프랜차이즈는 잠실의 노송 [[김용수]]지만, 이종열이 있던 시기에는 다른 팀으로 이적한 선수들도 많았고 [[이병규(1974)|이병규]]처럼 해외에 진출했다가 돌아온 케이스 등이 있어 100% 순수 프랜차이즈는 이종열 하나라 할 만했지만, 지금은 다른 팀으로의 이적이나 해외진출도 하지 않고 2002년부터 2020년까지 쭉 LG에서만 뛴 [[박용택]]이 40대까지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은퇴했기 때문에 상황이 변하긴 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LG에서만 뛴 [[이동현(1983)|이동현]]이 있다. 2020년 이후로도 [[오지환]]이 LG와 6년 124억의 종신 계약을 32세라는 나이에 맺으면서 종신 LG를 선언해 이종열만이 유일한 프랜차이즈라고 보기에는 어렵게 된 상황이다.]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논란 == 2015년 5월 1일 롯데 VS 한화 전 [[SBS Sports]] 중계 해설을 하는 동안 롯데의 타자들의 아웃이나 한화 타자들의 세이프 등의 상황 즉, 롯데에게 불리한 상황이 연출되었을 때 지속적으로 한숨을 내쉬는 모습들이 편파 논란을 일으켜 '''[[네이버]] 실시간 검색 1위'''에 등재되었다. 당시 중계 방송을 본 KBO 팬들은 이종열 해설에 대해 "편파왕 이종열", "이졸렬" 등의 비난과 항의를 했고 결국 캐스터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이 중계방송을 마치며 "이종열 해설이 탄식을 내뱉는 건 이전부터 있어왔는데 이번 경기의 중요도 때문에 부각되는 것 같다며 양해 바란다"라는 멘트를 남겼다.[* 그런데 이종열을 나름 커버쳐준다고 한 이 멘트(타자 출신인 이종열에게는 타자 중심의, 투수 출신인 최원호에게는 투수 중심의 분업 형태 해설이라고 해명했다.)가 이종열이 그 전부터 편파해설을 해왔는데 하필 오늘 부각되어서 사과하는 뉘앙스라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는 평가도 있었다.] == 여담 == * 대표적인 별명은 '단추'였다고 한다. 눈이 단추구멍만큼 작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다. 또한 포지션을 가리지 않고 맡아가며 묵묵히 활약하는 모습으로 아래에서도 소개될 변신괴물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 2018년 10월부터 [[유튜브]]에 [[https://www.youtube.com/channel/UCN4GOeYGQKr82sgA_KJY9cQ|DC 베이스볼]]이라는 채널을 개설해서 야구 관련 영상들을 올리고 있다. DC는 현역시절의 별명이었던 단추로부터 나온 것이다. * 2023년 10월 11일 삼성 단장으로 내정되었다는 보도들이 나온 이후 상기한 본인의 유튜브 채널 영상들을 모두 비공개 처리하고 채널명을 'tkatjddntmd dkanrjtehahffkdy'로 바꿨는데, 이를 한글 키보드로 쳐보면 ''''삼성우승 아무것도몰라요''''이다. 몇 시간 뒤 채널명을 다시 '이종열'로 바꿨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73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도봉구 출신 인물]][[분류:서울길동초등학교 출신]][[분류:장충중학교 출신]][[분류:장충고등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역대 단장]][[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야구 해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