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이주형}}}[br]李周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주형(정치인).jpg|width=100%]]}}} || ||<|2> '''출생''' ||[[1906년]] [[1월 6일]] ||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 || || '''사망''' ||[[1951년]] [[8월]] 하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직 교육자이자 [[정치인]]이다. == 생애 == 1906년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에서 태어났다. 경성부 [[휘문고등학교|휘문고등보통학교]], [[경성제국대학]] 예과 및 법문학부 사학과 조선사학전공을 졸업하였다. 이후 교육자로 활동하여 서울 보성중학교 [[교사]], 목포고등여학교 [[교장]], 마산중학교 교장, 밀양중학교 교장 등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남도 밀양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경상남도]] 밀양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청년단|대한청년당]] [[최성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http://www.kwafu.org/korean/bbs/board_view.php?bbs_code=bbsIdx8&num=14356|1962년 4월 26일 동아일보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세월 27회]]에 의하면, 그는 1951년 8월 하순하면 평양의 어느 농가에서 병으로 별세하였다고 한다. == [[제헌국회]] 활동 == * 1948년 9월 23일 [[삼남]] 수해 조사단 구성에 대한 건의를 올렸으나 부결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주형, version=14)] [[분류:밀양시 출신 인물]][[분류:1906년 출생]][[분류:1951년 사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대한독립촉성국민회 국회의원]][[분류:납북자]][[분류:실종된 인물]][[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