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이중톈/080401123zc_3.jpg|width=500]] 이중톈(易中天). 한국 한자음으로는 이중천. ||출생일:[[1947년]] [[2월 8일]] 출생지:[[중화민국]][* 당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이었다.] [[후난성]] 창샤 블로그:[[http://blog.sina.com.cn/yizhongtian|이중톈 블로그]] ([[중국어]])|| [목차] == 소개 == [[중국]]의 [[역사학자]]이자 저술가. 우한대학에서 중국 고대문학을 전공하였으며, 1981년 졸업하여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샤먼대학(廈門大學, 하문대학) 중문과 교수이다.[* 문학 뿐만 아니라 예술, 미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글을 쓰고 강연을 하고 있다.] 중국 국영방송인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에서 방송된 백가강단(百家講壇)에서 [[2005년]]에 [[초한지]], [[2006년]]에 [[삼국지]] 강의를 하면서 스타로 부상했다. 특히 삼국지 강의 후 폭발적인 인기를 얻는데, 강의 내용을 2권의 책[* 원제는 '品三國'(품삼국)이며 한국에도 '삼국지강의'라는 제목으로 [[김영사]]에서 번역 출판했다.]으로 내서 600만부 가까이 팔렸다. 이 때문에 중국 내에서 ''''이중톈 현상''''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명성을 얻고, 이후 그의 책이 번역되면서 삼국지 등이 인기가 많은 한국 내에서도 그의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 꽤 될 정도의 유명인사가 되는데 성공한다. 이후 내는 책마다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2006년 인세수입만 2000만 [[위안]](약20억원)에 달할 정도라 한다.[* 출처: 김진우 (2008년 5월 14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5141740435&code=960100|국제도서전 中 이중톈]], 경향신문.][* 포브스 선정 중국 갑부 47위에 선정--책만 팔아서 이정도라니--] 국내에서는 [[CHING]]에서 삼국지강의를 방송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인지도와 달리 삼국지와 관련된 식견은 사실 이문열, 김운회와 다를 바가 없다며 삼국지 커뮤니티에서 까이는 일이 대다수다. == 저서 == 국내에 번역된 저서들 순서로 작성함. * 2007년 * 삼국지강의 1, 2 (김영사) * 초한지 강의 (에버리치홀딩스) * 제국의 슬픔 (에버리치홀딩스) * 품인록 (에버리치홀딩스) * 2008년 * 이중톈 교수의 중국 남녀 엿보기 (에버리치홀딩스) * 이중톈, 중국인을 말하다 (은행나무) * 이중톈 제국을 말하다 (에버리치홀딩스) * 2009년 * 이중톈의 미학강의 (김영사) * 2010년 * 백가쟁명 (에버리치홀딩스) * 독성기 (에버리치홀딩스) * 2013년 * 이중톈 사람을 말하다 (중앙북스) * 이중톈 정치를 말하다 (중앙북스) * 이중톈 중국사 1, 2, 3 (글항아리) * 2014년 * 이중톈 중국사 4-청춘지 (글항아리) * 2015년 * 이중톈 중국사 5-춘추에서 전국까지 (글항아리) * 이중톈 중국사 6-백가쟁명 (글항아리) * 이중톈 중국사 7-진시황의 천하 (글항아리) * 2016년 * 이중톈 중국사 8-한무와 제국 (글항아리) * 2017년 * 이중톈 중국사 9-두 한나라와 두 로마 (글항아리) * 2018년 * 이중톈 중국사 10-삼국시대 (글항아리) * 2020년 * 이중톈 중국사 11-위진풍도 (글항아리) * 이중톈 중국사 12-남조와 북조 (글항아리) * 2021년 * 이중톈 중국사 13-수당의 정국 (글항아리) * 이중톈 중국사 14-선종의 흥기 (글항아리) * 2022년 * 이중톈 중국사 15-무측천의 정치 (글항아리) [[분류:중국의 역사학자]][[분류:중국 남성 작가]][[분류:1947년 출생]][[분류:창사시 출신 인물]][[분류:문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