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362년 출생]][[분류:1431년 사망]][[분류:성주 이씨]][[분류:고려의 인물]][[분류:조선 개국공신]][[분류:조선 좌명공신]][[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태조-연산군))] || '''{{{#f0ad73 이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태조-연산군))] ---- [include(틀:조선 개국공신)] ---- [include(틀:조선 좌명공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부사}}}]][br]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문경공(文景公)[br]{{{+1 이직}}}[br]李稷'''}}} || || '''출생''' ||[[1362년]]([[공민왕]] 11)|| || '''사망''' ||[[1431년]] [[9월 22일]][* [[율리우스력]] [[9월 13일]].] (향년 68 ~ 69세)[br](음력 [[세종(조선)|세종]] 13년 8월 7일)|| ||<|2> '''재임기간''' ||제19대 영의정부사|| ||[[1424년]] [[10월 8일]][* [[율리우스력]] [[9월 29일]].] - [[1426년]] [[6월 27일]][* [[율리우스력]] [[6월 18일]].][br]{{{-2 (음력 [[세종(조선)|세종]] 6년 9월 7일 - 세종 8년 5월 13일)}}}|| || '''[[봉호|{{{#fff 봉호}}}]]'''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 '''[[시호|{{{#fff 시호}}}]]''' ||문경(文景)|| || '''[[본관|{{{#fff 본관}}}]]''' ||[[성주 이씨]]|| || '''[[자(이름)|{{{#fff 자}}}]]''' ||우정(虞庭)|| || '''[[아호|{{{#fff 호}}}]]''' ||형재(亨齋)|| || '''부모''' ||부친 - 이인민(李仁敏, {{{-3 1330 ~ 1392}}})|| || '''부인''' ||[[양천 허씨]] 허시(許時)의 딸|| || '''자녀''' ||{{{-3 장남}}} - 이사후(李師厚)[br]{{{-3 차남}}} - 이사원(李師元)[br]{{{-3 3남}}} - 이사순(李師純)[br]{{{-3 장녀}}} - [[신순궁주]][* [[태종(조선)|태종]]의 후궁.][br]{{{-3 차녀}}} - [[민무휼]]의 처|| [목차] [clearfix] == 개요 ==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정승]]이다. == 생애 == [[고려]] 말의 유명한 [[권문세족]] 출신으로 증조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이포(李褒)며 아버지는 이인민(李仁敏)이다. 그의 큰아버지는 [[공민왕]] 연간(1351 ~ 1374)의 명신이었던 [[이인복#s-1]]과 [[우왕]] 연간(1374 ~ 1388)의 권신이었던 [[이인임]]이다.[* 이인복은 생전 두 동생인 이인임과 이직의 아버지인 이인민을 향해 나라와 집안을 거덜낼 놈들이라고 디스한 적이 있다.] [[하륜]]은 그의 사촌누나의 남편, 곧 종자형(從姉兄)이다. 8촌 형은 야은 길재 대신 3은으로 불리는 도은 [[이숭인]]이다. 그의 장녀는 [[태종(조선)|태종]]의 후궁인 신순궁주(愼順宮主) 이씨이고 다른 딸은 태종의 처남인 [[민무휼]]에게 시집갔다.[* 그리고 민무휼은 심온과도 사돈을 맺었는데 따라서 심온과도 인척으로 연결된다.] [[1377년]](우왕 3) 16세에 문과에 급제했다. [[1388년]] [[무진피화]] 당시 권신 [[이인임]]의 조카였던 탓에 전주로 유배된 적이 있다.[* 아버지 이인민 역시 이 때 계림(현 경상북도 경주시)으로 유배를 갔다.]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과 [[태조(조선)|태조]] 추대에 참여해 개국공신 3등이 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이인임이 이성계에 의해 축출당했으니 한 집안에서 전혀 다른 길을 걸었다.[* 이직의 8촌 형인 도은 [[이숭인]]도 조선건국에 반대해 결국 숙청되었다.] [[1398년]](태조 7)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정도전]], [[남은]], [[심효생]], 장지화(張至和) 등과 함께 모임을 가지고 있다가 [[태종(조선)|정안군 이방원]]이 이끄는 정변군의 습격을 받았다. 정도전, 심효생, 장지화 등은 그 자리에서 살해되었고 남은은 도망치는데 성공했지만 다시 되돌아와 죽었다. 이때 이직은 급히 하인의 복색으로 갈아입고 도주해 목숨을 건졌고 이후 정안군에게 용서받아 다시 관직 생활을 할 수 있었다. [[1415년]](태종 15) 태종 때 [[황희(조선)|황희]]와 함께 [[세종(조선)|충녕대군]]의 세자 책봉을 반대하다 성주에 [[유형#s-2|안치]]되었고 민무휼의 장인이었기 때문에 민무휼과 민무회(閔無悔) 옥사에도 연루되어 대간들의 탄핵을 받아 [[고신|직첩]]이 회수되었다. 또한 황희와 함께 양녕대군 폐위에 반발했던 것이 화근이 되어 유배되었고, 또한 심온의 옥사에도 연루될 뻔했다.[* 심온과 민무휼은 사돈 간이고, 이직은 민무휼의 장인이므로 심온과 이직은 서로 민무휼을 통해서 인척으로 엮어져 있었다.] 이후 귀양지에서 책만 읽으며 조용히 지내다 [[1422년]](세종 4) 풀려나 [[1424년]](세종 6) [[영의정]]이 되었으며 [[명나라]]에 사은사(謝恩使)로 다녀오기도 하면서 [[1426년]](세종 8) [[정승#s-2.2|좌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사직한 뒤 [[1431년]](세종 13)에 죽었다. 다음과 같은 [[시조(문학)|시조]]가 유명하다. 조선 건국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까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 소냐. 겉 희고 속 검은 이는 너뿐인가 하노라.|| == 대중매체 == 〈[[용의 눈물]]〉에서는 이직의 이름이 정안군이 만든 살생부에 올라 있어서 1차 왕자의 난 때 궁문을 들어서다 정안군이 매복시킨 장사들이 휘두르는 철퇴에 맞아 사망하자 정안군이 그의 죽음을 확인하고 그의 이름에 사선을 그었다. 그런데 제작진이 이게 뒤늦게 역사왜곡임을 알고 이직을 되살렸고 배우도 이우석으로 바꾸었다. 다행히 인물의 인지도가 높지 않았고 사망하는 장면 외에는 출연이 없었기에 큰 어색함 없이 극에 녹아 들었다. 등장인물이 죽었다 살아난 한국 사극 역사상 초유의 해프닝이었다. 이후에는 그냥 그럭저럭 등장하는 조정 관료 정도의 역할로 나온다. 태종 이방원의 명을 받아서 함흥차사로 태조 이성계를 환궁시키려고 했지만 실패하기도 했다. 정승까지 올랐지만 실제 역사대로 사위인 민무휼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위가 국문을 받는 현장에서 민무휼을 소극적으로 변호해주려다 일을 키운 장본인인 대사헌(大司憲) [[유정현]]에게 죄인의 장인되는 사람은 말하지 말라는 폭언을 듣고 태종에게 삭탈관직되어 귀양길에 올랐다. 이후 세종 즉위 후 관직을 돌려받고 [[한양]]으로 돌아와 영의정이 되었다고 나레이션으로 나온다.[* 10여년 후에 방영된 [[대왕 세종]]에서는 이직의 사위 민무휼의 동생인 민무회 역으로 나온다. --시대 역행--] [[조영무]]가 태종의 궁녀를 취해버린 사건에 간접적으로 한 건했다. 오랜만에 조정이 좀 조용해진 와중에 하륜, 이직, [[조영무]] 삼정승이 기방에 들러서 술 한잔 하는데 조영무가 나이먹고 너무 무료하다고 하자 같이 술을 마시던 우의정 이직이 "그럼 첩을 한명 들여보는건 어떠시오?"라고 첩장가를 제안한 것. 문제는 그 제안을 수락한 조영무가 고른 사람이 하필 모종의 이유로 궁밖에 잠시 나와 있던 태종의 궁녀였던것. 결국 조영무는 태종이 비상 소집 훈련 후에 삼정승들과 모여 얘기 하던 중 태종에게 불호령을 들어야했다.[* 극중에는 조영무가 '그냥 배째십시오'라며 뻗대자 이방원이 웃으며 넘어가줬다면 사료에서는 이방원이 처음부터 승정원 관리까지 보내서 처벌안할거라고 전하며 그냥 넘어가줌에도 조영무가 눈치를 보며 빌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직, version=41,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