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집트의 역사)] [include(틀:고대 이집트의 역사)] [include(틀:고대 이집트 관련 문서)] ---- ||<-3> {{{#A0522D {{{+2 '''이집트 제22왕조'''}}}[br]'''Twenty-second Dynasty of Egypt'''}}} || ||<-3> '''{{{#A0522D 기원전 943년 ~ 기원전 716년}}}''' || || {{{#A0522D '''위치'''}}} ||<-2>[[이집트]] || || '''[[수도(행정구역)|{{{#A0522D 수도}}}]]''' ||<-2>[[부바스티스]], [[타니스]] || || {{{#A0522D '''정치 체제'''}}} ||<-2>[[전제군주제]], [[제정일치]] || || {{{#A0522D '''국가 원수'''}}} ||<-2>[[파라오]] || || {{{#A0522D '''파라오'''}}} ||<-2>[[셰숑크 1세]][br][[오소르콘 1세]][br][[셰숑크 2세]][br][[타켈로트 1세]][br][[오소르콘 2세]][br][[셰숑크 3세]][br][[셰숑크 4세]][br][[파미(파라오)|파미]][br][[셰숑크 5세]][br][[오소르콘 4세]] || || '''[[언어|{{{#A0522D 언어}}}]]''' ||<-2>[[고대 이집트어]]|| || '''[[종교|{{{#A0522D 종교}}}]]''' ||<-2>[[이집트 신화|고대 이집트 종교]] || || {{{#A0522D '''주요 사건'''}}} ||<-2>기원전 943년 [[셰숑크 1세]]에 의해 제22왕조 창건[br]기원전 837년 [[타켈로트 2세]]의 반란으로 [[이집트 제23왕조]]가 세워짐[br]기원전 716년 [[누비아]]인의 침입으로 멸망 || || {{{#A0522D '''성립 이전'''}}} ||<-2>[[이집트 제21왕조]] || || {{{#A0522D '''이후'''}}} ||<-2>[[이집트 제23왕조]][br][[이집트 제24왕조]][br][[이집트 제25왕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원전 943년부터 기원전 716년까지 지속된 [[고대 이집트]]의 [[왕조]]이다. [[이집트 제3중간기]]에 해당한다. == 특징 == 제3중간기의 두 번째 왕조, '''[[리비아]] 왕조'''. 혹은 수도를 [[부바스티스]]로 옮겨 '''부바스티스 왕조'''로도 부른다. [[리비아인]] [[셰숑크 1세]]가 왕조의 시조로, [[힉소스]]가 세운 [[이집트 제15왕조]]에 이어 오랜만에 이집트가 이민족의 지배 아래 놓였으나, 힉소스가 정복전쟁으로 이집트를 지배한 [[정복왕조]]인 것과 다르게 22~24왕조의 리비아인들은 이집트의 문화를 받아들인 상태에서 정당한 신분 상승을 통해 [[이집트 제21왕조]]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21왕조가 단절되자 정당하게 왕위를 물려받아 집권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집트 제23왕조]]는 제22왕조와 같은 핏줄을 공유하지만 상이집트에서 따로 독립해 나갔다. == 역사 == === 통일 왕국 시기 === [[이집트 신왕국]]이 끝난 이후 이집트를 불안정하게 통치하던 [[이집트 제21왕조]]가 [[프수센네스 2세]]의 사망으로 단절되자, 사위이자 리비아 메시웨시족의 대추장이었던 '''[[셰숑크 1세]]'''가 기원전 943년 [[파라오]]로 즉위하며 제22왕조가 개창되었다. 그가 즉위한 이후 분열된 이집트는 다시 통일되었고 파라오의 권위는 잠시나마 강해졌다. 기원전 925년에는 [[유다 왕국]]을 침략해 [[예루살렘]]의 왕궁을 [[약탈]]했다. 기원전 922년 셰숑크 1세가 사망하자 '''[[오소르콘 1세]]'''가 2대 파라오로 즉위했다. 오소르콘 1세의 통치 기간은 22왕조 시대 및 이집트 제3중간기 중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시기로, 35년 간 많은 사원들이 건축되었다. 기원전 887년 '''[[셰숑크 2세]]'''가 3대 파라오로 즉위했으나 2년 만에 사망하고, 기원전 885년 즉위한 4대 파라오 '''[[타켈로트 1세]]''' 때는 다시금 영향권이 [[하이집트]] 일대로 축소되었다. 기원전 872년 '''[[오소르콘 2세]]'''가 5대 파라오로 즉위했을 때는 중동 일대의 패권을 [[아시리아]]가 쥐고 있었다. [[하르시에세 A]]의 반란으로 많이 혼란스러웠고, 결국 기원전 837년 오소르콘 2세가 사망한 뒤 이집트는 둘로 분열되었다. === 분열 이후 === 기원전 837년 22왕조에서 '''[[셰숑크 3세]]'''가 파라오로 즉위했으나, 이에 반발한 [[타켈로트 2세]]가 [[상이집트]]의 [[룩소르|테베]]에서 [[이집트 제23왕조]]를 따로 세워 떨어져나감으로서 상하 이집트로 나뉘게 되었다. 기원전 798년 즉위한 7대 '''[[셰숑크 4세]]'''와 기원전 785년 즉위한 8대 '''[[파미(파라오)|파미]]'''에 대한 것은 알려진 것이 많지 않으며, 기원전 767년 9대 파라오 '''[[셰숑크 5세]]'''가 즉위했을 때쯤에는 수많은 지역들이 독립해서 나갔고, [[타니스]]와 [[부바스티스]]에만 22왕조의 통치권이 닿아 지방정권으로 전락했다. 기원전 732년에는 [[테프나크트]]가 [[이집트 제24왕조]]를 세워 떨어져나갔다. 기원전 730년에는 마지막 파라오 '''[[오소르콘 4세]]'''가 즉위했다. 이 시기에는 이집트화된 [[누비아인]]들의 [[쿠시 왕국]]이 부강해져 이집트의 여러 지방정권을 격파했다. 기원전 716년 쿠시 왕국의 침입을 받아 [[멸망]]했고, [[누비아]]의 [[이집트 제25왕조]]로 이어지게 된다. [[분류:국가(기원전)]][[분류:고대 이집트]][[분류:기원전 8세기 멸망]][[분류:이집트-리비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