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집트의 역사)] [include(틀:고대 이집트의 역사)] [include(틀:고대 이집트 관련 문서)] ---- ||<-3> {{{#A0522D {{{+2 '''이집트 제29왕조'''}}}[br]'''Twenty-ninth Dynasty of Egypt'''}}} || ||<-3> '''{{{#A0522D 기원전 398년 ~ 기원전 380년}}}''' || || {{{#A0522D '''위치'''}}} ||<-2>[[이집트]] || || '''[[수도(행정구역)|{{{#A0522D 수도}}}]]''' ||<-2>[[멘데스]] || || {{{#A0522D '''정치 체제'''}}} ||<-2>[[전제군주제]], [[제정일치]] || || {{{#A0522D '''국가 원수'''}}} ||<-2>[[파라오]] || || {{{#A0522D '''파라오'''}}} ||<-2>[[네파루드 1세]][br][[하코르]][br][[프삼무테스]][br][[네파루드 2세]] || || '''[[언어|{{{#A0522D 언어}}}]]''' ||<-2>[[고대 이집트어]] || || '''[[종교|{{{#A0522D 종교}}}]]''' ||<-2>[[이집트 신화|고대 이집트 종교]] || || {{{#A0522D '''주요 사건'''}}} ||<-2>[[기원전 398년]] [[네파루드 1세]]가 제29왕조 창건[br][[기원전 393년]] [[프삼무테스]]의 왕위 찬탈, [[하코르]]가 프삼무테스를 몰아내고 복위[br][[기원전 380년]] [[넥타네보 1세]]의 반란으로 멸망 || || {{{#A0522D '''성립 이전'''}}} ||<-2>[[이집트 제28왕조]] || || {{{#A0522D '''멸망 이후'''}}} ||<-2>[[이집트 제30왕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원전 398년]]부터 [[기원전 380년]]까지 존속한 [[고대 이집트]]의 왕조이다. [[이집트 말기 왕조]]에 해당한다. == 특징 == 말기 왕조의 네 번째 왕조로, 페르시아로부터의 독립 이후 두 번째 왕조이다. 존속 기간은 18년으로 32개의 [[고대 이집트]] 왕조 중에서 세 번째로 단명했다.[* 가장 단명한 왕조는 바로 이전의 [[이집트 제28왕조]]로 6년 만에 사라졌으며, 2위는 2차 페르시아 지배기인 [[이집트 제31왕조]]로 11년 갔다.] 네 명의 파라오를 배출했으나 실질적으로 제 역할을 한 인물은 [[네파루드 1세]]와 [[하코르]]뿐이었다. == 역사 == 제29왕조를 세운 인물은 '''[[네파루드 1세]]'''이다.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 기간에 태어난 그는 멘데스라는 도시의 권력자였다. [[기원전 404년]] [[아미르타이오스]]가 [[이집트 제28왕조]]를 세우며 이집트를 독립시키자, 6년 후인 [[기원전 398년]]에 아미르타이오스에게 반기를 들어 멘데스에서 제29왕조를 세우고 아미르타이오스를 [[멤피스]]에서 처형했다. 이후 5년 간 건축 사업을 진행하다 사망했다. [[기원전 393년]] '''[[하코르]]'''가 파라오로 즉위했다. '''[[프삼무테스]]'''에게 잠시 찬탈당했으나 바로 왕위를 되찾고, 페르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을 지원했다. [[기원전 385년]] 페르시아가 침입해왔으나 막아냈다. [[기원전 380년]]에는 마지막 파라오 '''[[네파루드 2세]]'''가 즉위했으나, [[넥타네보 1세]]가 반란을 일으켜 네파루드 2세를 제거하고 [[이집트 제30왕조]]를 수립했다. [[분류:국가(기원전)]][[분류:고대 이집트]][[분류:기원전 4세기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