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집트의 역사)] [include(틀:고대 이집트의 역사)] [include(틀:고대 이집트 관련 문서)] ---- ||<-2> {{{+2 '''이집트 제31왕조'''}}}[br]'''𐎸𐎭𐎼𐎠𐎹[br]Thirty-first Dynasty of Egypt''' || ||<-3> '''{{{#ffd700 기원전 343년 ~ 기원전 332년}}}''' || || '''위치''' ||[[이집트]] || ||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 '''국가 원수''' ||[[파라오]] || || '''파라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br][[아르세스]][br][[카바쉬]][* 비 아케메네스 파라오, 독립 시도][br][[다리우스 3세]] || || '''[[언어|{{{#ffd700 언어}}}]]''' ||[[고전 이집트어]], [[아람어]], 고대 [[페르시아어]] || || '''[[종교|{{{#ffd700 종교}}}]]''' ||[[조로아스터교]] || || '''민족''' ||[[고대 이집트]]인, [[페르시아인]], [[유대인]] 등 || || '''통화''' ||다릭(아케메네스 왕조 [[금화]])[br]시글로스(아케메네스 왕조 [[은화]])|| || '''성립 이전''' ||[[이집트 제30왕조]] || || '''멸망 이후''' ||[[헬레니즘 제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원전 343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고대 이집트]]를 다스린 [[아케메네스 왕조]]의 2차 지배기를 일컫는 명칭이다. [[이집트 말기 왕조]]에 해당한다. == 특징 == 말기 왕조 시대의 마지막 왕조로, '''[[아케메네스 왕조]]'''를 일컫는 명칭이지만, [[카바쉬]]와 같이 아케메네스 왕조에 대항해 이집트를 잠시 장악한 독립 세력도 제31왕조에 포함한다. 아케메네스 왕조라는 표현이 페르시아 제국 전역을 일컫는 표현이라면, 제31왕조는 이집트 내에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부터 [[다리우스 3세]]까지의 4명의 페르시아 [[샤한샤]]가 이집트의 [[파라오]]를 겸직한 2차 지배기를 일컫는다. 32개의 고대 이집트 왕조 중 지속기간이 11년으로 두 번째로 짧다.[* 가장 짧은 것은 [[이집트 제28왕조]]로 6년을 존속했다.] 1차 지배기인 [[이집트 제27왕조]] 때는 페르시아에서 이집트에게 관용을 베풀었으나 2차 지배기 때는 60년 간 페르시아에 대항한 대가로 11년 간 철저한 응징이 이루어졌다. == 역사 == 이집트는 이미 [[이집트 제27왕조|페르시아의 1차 지배]]를 받은 바 있으나 [[아미르타이오스]]가 [[이집트 제28왕조]]를 세우며 독립한 이래로 61년 간 페르시아와 대립했다. 하지만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가 [[기원전 343년]]에 [[이집트 제30왕조]]를 정복하며 다시 페르시아의 품에 돌아왔다. 이집트와 고전했던 페르시아는 이집트를 철저히 응징하며 약탈, 학살, 방화를 벌였다. [[기원전 340년]]경 [[넥타네보 2세]]의 세력은 완전히 진압당했다. [[기원전 338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가 [[바고아스]]에게 암살당하고 '''[[아르세스]]'''가 옹립되었다. 이 틈을 타 [[넥타네보 2세]]와 연합한 '''[[카바쉬]]'''가 반란을 일으켜 이집트를 장악했다. 아르세스는 [[기원전 336년]] 바고아스에게 살해당하고, 그는 '''[[다리우스 3세]]'''를 옹립했다. 처음에는 바고아스의 꼭두각시였으나 함정을 파서 바고아스를 제거한 다음 페르시아 전역을 장악했다. [[기원전 335년]]에 카바쉬의 반란은 진압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시작했으며, [[기원전 333년]] [[이소스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3세에게 패배해 시리아 지역을 내줬고, [[기원전 332년]] 이집트까지 빼앗기면서 11년간의 페르시아 지배기는 종식되었고, 이집트는 [[헬레니즘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분류:국가(기원전)]][[분류:고대 이집트]][[분류:아케메네스 왕조]][[분류:기원전 4세기 멸망]][[분류:이집트-이란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