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엘리멘틀 히어로)] [목차] == 설명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원작 === || 한글판 명칭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 일어판 명칭 ||'''[ruby(異次元, ruby=いじげん)]トンネル-ミラーゲート-'''|| || 영어판 명칭 ||'''Mirror Gate'''|| ||<-2> 일반 함정 || ||<-2>몬스터끼리의 전투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가 컨트롤하는 공격 몬스터와 대상이 된 자신이 컨트롤하는 몬스터의 컨트롤을 서로 맞바꾸어 전투를 속행시킨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만죠메 쥰]]과의 1차전 듀얼 중 사용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이 [[헬 폴리머]]로 컨트롤을 빼앗긴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공격을 받는 순간 발동해 컨트롤을 빼앗았다. 하지만 이렇게 일시적으로 컨트롤을 되찾은 프레임 윙맨도 [[헬 블래스트]]에 파괴되어 버렸다. [[모테기 모케오]]와의 듀얼 중에는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버블 일루전|버블 일루전]]의 효과로 기습적으로 패에서 발동되어 공격력 3000이 된 모케오의 [[모케모케]]와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의 컨트롤을 맞바꾸며 전투를 속행해서 승리했다. 그밖에도 1학년 시절에는 몇 번 더 사용되었으나, 공격 반응형 함정의 숙명인지 세트된 채 파괴되거나 대처당하는 경우가 많아 [[히어로 베리어]]보다도 활약이 많지 않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에서는 [[미스터 T(유희왕)|미스터 T]]의 모습으로 왜곡된 [[요한 안데르센]]과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OCG 효과로 등장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130424_1.jpg]] || 한글판 명칭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 일어판 명칭 ||'''[ruby(異次元, ruby=いじげん)]トンネル-ミラーゲート-'''|| || 영어판 명칭 ||'''Mirror Gate'''|| ||<-2> 일반 함정 || ||<-2>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한,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공격 몬스터와 공격 대상이 된 자신 몬스터의 컨트롤을 맞바꾸고 데미지 계산을 실행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컨트롤을 맞바꾼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원작과는 달리 [[엘리멘틀 히어로]] 전용 서포트 카드가 되었다. 기본적으로 메리트를 얻기는 힘들다. 어차피 자신의 몬스터는 파괴되고 전투 대미지를 상대가 받는다 해도 디멘션 월이나 매직 실린더가 우월하다. 애니메이션 등장 카드지만 OCG화에 걸린 시간은 무려 2년 반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엘리멘틀 히어로, version=634)]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