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초대 주탄자니아 이스라엘 대사[br]{{{+1 이츠하크 푼다크}}}[br]יצחק פונדק'''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itzhak_Pundak.jpg|width=100%]]}}} || ||<|2> '''출생''' ||[[1913년]] [[6월 13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라쿠프]] || ||<|2> '''사망''' ||[[2017년]] [[8월 27일]] (향년 104세) || ||[[이스라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 '''학력''' ||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 ||<|2> '''경력''' ||주탄자니아 이스라엘 대사 || ||[[1965년]] [[11월]] ~ [[년]] [[월 일]] || || '''참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br][[제1차 중동전쟁]][br][[수에즈 위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스라엘]]의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초대 주탄자니아 이스라엘 대사를 역임했다. == 생애 == 1913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 [[크라쿠프]]에서 태어났다. 1933년 팔레스타인 지방으로 이주하자마자 [[하가나]]에 들어갔다. 1947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과 이어지는 [[제1차 중동전쟁]]에 참전했다. 전쟁 당시 [[기바티 여단]] 내에 제53대대를 창설하고 나할 부대를 창설해 초대 사령관으로 지휘했으나 [[니츠아님 전투]]에서의 작전 실패로 [[이집트군]]에 항복했다. 이후 1949년 3월 이스라엘로 돌아왔다. 1952년 [[프랑스]]에서 유학한뒤 귀국하여 육군 기갑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푼다크는 [[이스라엘 육군]] 내 기갑부대와 차량화부대를 통합해 제병협동 교리를 도입했다.그러나 1956년 상부의 압력으로 기갑대 사령관 임기를 [[하임 라스코프]]에게 물려주었다. 1959년 [[모셰 다얀]] 총참모장으로부터 준장에서 소장으로의 진급을 약속받았으나, 직후 취임한 [[핀하스 라본]] 국방장관은 푼다크를 진급시키지 않았다. 2013년이 되어서야 [[베니 간츠]] 총참모장이 계급장을 달아주면서 ''' 약속한지 54년만에 100세의 나이로''' 소장으로 진급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undak_General.jpg|width=100%]]}}} || ||<#fff> '''{{{#0038b8 푼다크 소장에게 소장 계급장을 달아주는 간츠 총참모장}}}''' || 1962년 군에서 퇴역하여 [[아라드]] 지역 행정관과 아라드 지역의회 의장을 역임했고, 1965년 초대 주탄자니아 이스라엘 대사를 맡게 되었다. 이후 [[엘살바도르]]와 [[과테말라]] 주재 대사직을 전진했으며 1970년 주아르헨티나 유대인 기구 대표단장을 역임했다. 1971년 [[모셰 다얀]] 국방장관이 [[시나이 반도]] 및 [[가자 지구]] 지사직을 제안해 군에 복귀했다. 그러나 남부사령부 사령관 [[아리엘 샤론]]과의 불화로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다시 퇴역했다. == 참고 문헌 == * [[https://www.timesofisrael.com/israels-newest-general-100-years-old-finally-heals-his-wounds/|타임스오브이스라엘 - 이스라엘군의 새로운 100세 장성이 상처를 치료하다]] * [[https://www.timesofisrael.com/yitzhak-pundak-made-a-general-at-100-dies-at-104/|타임스오브이스라엘 - 100세에 도달한 장성 이츠하크 푼다크가 104세에 사망하다]] [[분류:1913년 출생]][[분류:2017년 사망]][[분류:크라쿠프 출신 인물]][[분류:이스라엘의 군인]][[분류:이스라엘의 외교관]][[분류:이스라엘의 정치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