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브라질 대통령)] [include(틀:역대 브라질 부통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0c300 0%, #ffdf00 20%, #ffdf00 80%, #e0c300);" '''[[브라질 부통령|{{{#002776 브라질 연방 공화국 제21대 부통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541, #00a651 20%, #00a651 80%, #008541)" '''[[브라질 대통령|{{{#fff200 브라질 연방 공화국 제33대 대통령}}}]][br]{{{+1 이타마르 아우구스투 카우치에루 프랑쿠}}}[br]Itamar Augusto Cautiero Franco'''}}}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타마르_프랑쿠.jpg|width=100%]]}}}|| ||<|2> '''출생''' ||[[1930년]] [[6월 28일]] || ||[[바르가스 시대|브라질 합중 공화국]] [[사우바도르]]행 선상 || ||<|2> '''사망''' ||[[2011년]] [[7월 2일]] (향년 81세) || ||[[브라질]] [[상파울루]]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병원|| ||<|2> '''재임기간''' ||제33대 대통령 || ||[[1992년]] [[12월 29일]] ~ [[1994년]] [[12월 31일]] || || '''최종 당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008c; font-size: .9em" [[시민권(정당)|{{{#FFF '''대중사회당'''}}}]]}}} || || '''경력''' ||주이스지포라 시장 ,,,(1967~1971, 1973~1974),,,[br][[미나스제라이스]]주 연방 상원의원 ,,,(1975~1990, 2011),,,[br]브라질 제21대 부통령 ,,,(1990-1992),,,[br]'''브라질 제33대 대통령 ,,,(1992~1994),,,'''[br][[미나스제라이스]]주 주지사 ,,,(1999-2003),,,||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 제33대 대통령. == 생애 == === 어린시절 === 1930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사우바도르]]로 향하는 선상에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독일계, 어머니는 이탈리아계 혈통이었다. 이후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주이스지포라에 정착했으며 1955년 주이스지포라 연방 대학 공과대학을 졸업했다. === 정계입문 === 1950년대 중반에 정계에 입문하여 주이스지포라 시의원과 부시장을 거쳐 1967년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1974년 시장직을 사임하고 [[미나스제라이스]]주 연방 상원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브라질 민주운동]](MDB)의 소속으로 1976년과 1977년에는 당의 부대표를 지냈다. 상원의원 임기 동안 [[직접 선거 #s-2.3|대통령 직선제]]를 위한 노력을 펼쳤다. === 부통령 시절 === 1989년 국가재건당으로 당직을 옮기고 [[페르난두 콜로르]]의 러닝메이트로 1990년 대선에서 승리하며 브라질 제21대 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취임 후 특히 민영화에 관한 대통령의 정책들 중 일부에 반대하며 공개적으로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 여러 차례 사임하겠다고 위협했다. 콜로르 정부에서 개각을 통해 옛 군사정권의 부역자들을 장관으로 입각시키자 반발하면서 국가재건당을 떠나 원래 소속 정당인 [[브라질 민주운동]]에 복당했다. 1992년 9월 29일, 콜로르 대통령이 부패 혐의로 기소되어 연방 하원에 의해 탄핵안이 가결되었다.[* 브라질 헌법에 따르면 탄핵된 대통령의 권한은 180일 동안 정지된다.] 1992년 10월 2일, 콜로르의 직무가 정지되었고 프랑쿠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12월 29일, 연방 상원이 콜로르를 유죄로 판결하고 해임할 것이 확실해지자 콜로르는 사임했고[* 먼저 사임을 선언했으나 연방 상원은 이를 무시하고 탄핵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 시점에서 프랑쿠는 공식적으로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 대통령 시절 === 취임 당시 브라질은 인플레이션이 1,110%에 달했고 1993년에는 거의 2,400%로 치솟는 등 심각한 경제 위기에 처한 상황이었다. 프랑쿠는 재무장관으로 [[페르난두 카르도주]]를 임명하며 상황을 타개하고자 했다.[* 카르도주는 1994년 [[헤알|헤알 계획]]을 실시하여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킨다.] 1993년 4월, 브라질은 정치 체제([[공화정]]과 [[군주정]])와 정부 형태([[대통령제]] 또는 [[내각제]])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공화정과 대통령제가 승리하며 체제가 유지되었다.[* 프랑쿠는 내각제를 선호하는 입장이었다.] 프랑쿠 정부는 떨어진 정부의 청렴성과 안정을 회복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프랑쿠 역시 개인적으로 정직하다는 평판을 유지했다. 1993년 말, 프랑쿠는 조기 총선을 실시하기 위해 사임을 제안했지만 의회는 이를 거절했다. 임기 말 그의 지지율은 90% 전후를 유지했다. 임기 동안 남미 전체를 포괄하는 자유무역지대를 발족시켰다. 또한 브라질의 핵 비확산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 대통령 퇴임 후 === 브라질 대통령은 4년 중임제이지만 만약 부통령이 대통령 권한대행[* 프랑쿠의 경우 1992.10.02.~1992.12.29.]을 한다면 첫 번째 임기를 수행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프랑쿠의 대통령 정식 재임[* 1992.12.29.~1994.12.31.]은 두 번째 임기로 취급되어 당시 3선 제한 법률에 의거, 1994년 대선 출마가 금지되었다. 이후 1995년 주포르투갈 브라질 대사와 1996년 [[미주 기구]] 브라질 대사를 역임했다. 1998년 [[미나스제라이스]] 주지사에 당선되어 재직했다. 그러나 1999년 [[페르난두 카르도주]] 정부에게 중앙정부 부채 185억 헤알(150억 달러)에 대해 상환을 90일간 유예한다고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며 전면도전을 했다. 브라질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가진 지방 정부와 중앙 정부의 재정 갈등은 결국 90년대 후반 브라질의 경제 위기를 악화시키고 말았다. 이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가 당선되는 계기가 된다. 프랑쿠가 카르도주에게 도전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자신의 부하였던 카르도주가 자신을 밀어내고 브라질의 인플레이션을 멈추게 한 업적인 [[헤알]] 플랜에 대한 공로를 독차지하는 것에 대한 불만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2002년 대선에서는 [[룰라 다 시우바]]를 지지했었다. 이후 룰라 대통령에 의해 주[[이탈리아]] 브라질 대사를 역임했다. 그리고 4년 뒤에는 [[제라우두 아우키민]]을 지지했다. 2011년 미나스제라이스 주에서 상원의원으로 다시 당선되었다. === 사망 === 상원의원으로 다시 당선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2011년 5월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 상태는 점점 악화되었고 폐렴까지 걸리자 중환자실로 옮겨져 인공 호흡기를 달았다. 2011년 7월 2일 아침에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향년 81세.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7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 == 소속 정당 == || '''{{{#FFC224 소속}}}''' || '''{{{#ffd700 기간}}}''' || '''{{{#ffd700 비고}}}'''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 '''브라질 노동당'''}}}}}} || 1955 - 1965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65 - 1966 || 해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em" {{{#FFF '''브라질 민주운동'''}}}}}} || 1966 - 1986 || 입당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5a; font-size: .9em" {{{#FFF '''자유당'''}}}}}} || 1986 - 1989 || 입당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339f; font-size: .9em" {{{#FFF '''국가재건당'''}}}}}} || 1989 - 1992 || 입당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em" [[브라질 민주운동|{{{#FFF '''브라질 민주운동'''}}}]]}}} || 1992 - 2009 || 복당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008c; font-size: .9em" [[시민권(정당)|{{{#FFF '''대중사회당'''}}}]]}}} || 2009 - 2011 || 입당[br]사망 || == 여담 == *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된 뒤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대다수는 프랑쿠가 누구인지 몰랐다고 한다. 어찌됐든 지금은 능력으로나 청렴함으로나 전임자보다 낫다는 평. * 원래 인지도가 낮았던만큼 재임 시절 인기가 별로였지만 각종 기행 때문에 웃음거리로 소비되는 일이 많았다. 예를 들어 [[노팬티|팬티를 입지 않은]] 모델과 춤을 추는 모습이나 광대 차림을 하고 [[리우 카니발]]에 참가한 모습이 주로 애용됐다고. 특히 전자의 경우 구글에 이타마르 프랑쿠를 알파벳으로 검색해보면 금방 나온다(...). * 1968년 안나 엘리사 수레루스와 결혼해 두 딸을 두었으나 1978년 이혼했다. 이후에도 재혼하지 않아 그가 재임하는 동안 브라질의 대통령 배우자 자리는 공석이었다. 하지만 정치 인생 내내 화려한 여성 편력으로 유명했고, 프랑쿠의 사생활은 대중에게 큰 관심거리였다. * 직접 쓴 단편 소설이 있다고 한다. [각주] [[분류:1930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브라질의 남성 정치인]][[분류:브라질 대통령]][[분류:브라질 부통령]][[분류:독일계 브라질인]] [[분류:이탈리아계 브라질인]][[분류:사우바도르 출신 인물]][[분류:백혈병으로 죽은 인물]][[분류:뇌졸중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