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파일:external/file2.nocutnews.co.kr/20151030095947295944.jpg]] 李泰鎭 [[1943년]] [[10월 14일]] ~ ([age(1943-10-14)]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前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기간(2010.09.27~ 2013.09.2)에 11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임하였다. == 상세 == 1943년 10월 14일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7647|태어나]], [[8.15 광복]] 후에 본적지인 [[영일군]] [[청하면(포항)|청하면]] 월포리(現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청하면(포항)|청하면]] 월포3리)[* [[김정행]] 전 [[대한체육회]] 회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5384&sc_serial_code=SRN204|#]]]로 이주했다. 월포국민학교와 포항중학교, [[성동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6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사]] 전공으로 [[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석사 학위 취득 후 1973년부터 1977년까지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전임강사로 재직했고, 1977년에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국사학과]] 전임강사에 임용되었다가 197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조교수]]에 임용되었다. 당시 이태진 교수의 세대에서는 석사학위만 받고 교수 임용이 가능했고, 특정 분야에서는 학사 출신 교수들도 적지 않았다. 이 당시는 한국사학계의 태동기로, 교수진은 매우 많이 필요했지만 학위 소지자는 적은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태진 교수와 동시기에 활동했던 역사학자의 경우 최승희, 최병헌, 이기동, 김두진, 정만조 교수 등이 박사학위 없이 정년퇴임을 했다. 이후 2005년 2월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를 받기 시작하고 학자로서 활동하기 시작하는, 정확히는 교수 채용시 박사학위가 필수가 되는(음악, 미술계 등은 제외) 경향은 보다 뒷세대에서 나타난다. 원래 조선시대 정치사·사회사 전공이었으나 [[한국사]] 전체에 포괄적으로 관심이 넓은 편으로, 학술대회에 참여하거나 [[논문]]을 내는 것 역시 시대를 가리지 않는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리실장을 맡은 것이 계기가 되어 1988년부터 근대사를 연구하기 시작한다. 1992년에 [[규장각]] 장서 속에 포함된 [[대한제국]] 시기 정부 문서들을 영인해 보급하는 사업을 진행하다 고종·순종 두 황제의 명령서인 조칙, 칙령 묶음에서 순종 황제의 이름자 서명이 위조된 문건 수십 점을 발견한다. 이 문건은 일본의 [[한국통감부]]가 [[정미조약]](1907)을 강제하면서 제정한 법령들인데 최종 결재 과정에서 황제 서명을 위조한 것이다. 이때부터 대한제국 시기를 비롯한 일제의 침략사 전반을 다시 연구하였다고 한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1993054|#]] 2000년에 낸 책 <고종시대의 재조명>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반박과 재반박이 이어지고 토론회가 열리면서 크게 주목받았다.[[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63|#]] 그는 [[고종(대한제국)|고종]]과 [[대한제국]]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개화파]]와 [[독립협회]]의 시각으로만 이뤄져왔으며 당대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점을 지적하였다.[* 80년대까지만 해도 반정부운동과 민중운동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당시 한국사학계도 이 같은 맥락을 같이하여 [[갑신정변]], [[독립협회]], [[동학농민운동]] 등의 연구에 집중하였고 고종과 대한제국에 대한 연구는 복벽론이나 왕조사관으로 몰리기 쉬웠다. 정치권에서도 좌우 전부 조선 말기 및 대한제국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가 팽배하였고, 그러다보니 고종과 대한제국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채 일제강점기 때의 연구에 머물러 기존의 통설이 반복되었다.] 이는 [[대한제국]]과 [[광무개혁]]을 폄하해왔던 기존의 통설을 깨는 학설이었다. 그의 학설은 다른 한국사학자들 및 여러 분야에서 대한제국을 연구하는 교수들의 학설에 힘입어[* [[https://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424|#]] [[https://news.joins.com/article/21815906|#]] [[https://news.joins.com/article/21839130|#]]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345796|#]] ] 대한제국 건국 120주년인 2017년에 [[중앙일보]]에서 연속 특집으로 대한제국 기고를 실었고 현재도 꾸준히 연구 중이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200340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839161|#]] 2004년 정년퇴임 직전까지는 대표적으로 광무개혁 재평가나, [[소빙하기]] 등의 조선사 관련 학설을 제기하였으며,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국사교과서 국정화 사태]]에 대해 [[비판]]하였다. 2005년 을미사변의 정황을 기록한 '우치다 보고서'를 [[일본 외무성]] 부설 외교사료관에서 찾았다. 이에 따르면 [[명성황후]]는 기존에 알려진 옥호루 실내가 아닌 건천궁 내의 뜰에서 살해당하였고 [[메이지 덴노]]에게도 보고되었다는 내용으로 언론에 보도되었다.[[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50113000130|#]]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3&oid=005&aid=0000204452|#]] 이 기사가 일본에 보도되며 일본인들이 '우치다 보고서는 대학 도서관에도 찾아볼 수 있을만큼 공개되어 있다' 등의 내용으로 [[인조이재팬]]에 이태진 교수에게 공개질의를 하고 서울대에 답신을 바라는 메일을 보낸 사건이 있었는데 이에 이태진 교수가 답변하였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총독부라고 불렀던 일본인들은 이태진 교수가 일본인의 번역물을 이용한 점을 지적하였고 대학 도서관에 공개된 점을 들어 현대 일본 정부가 은폐한 것은 아님을 밝혔다. 일부 자신이 최초 발견자라고 주장한 질의에 대해선 자신은 그렇게 말한 적이 없다고 답변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관리실장이던 당시 [[박병선]] 박사와 함께 [[조선왕조의궤]] 등 [[외규장각]] 도서가 프랑스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후 외규장각 도서를 국내로 반환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2006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장에 취임했고, 2007년 7월 13일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3분과 회원에 선출되었다. [[분류:한국사학자]][[분류:한국의 역사학자]][[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성주군 출신 인물]][[분류:1943년 출생]][[분류:성동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