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ffffff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인물}}}]]'''[br]'''{{{#fff {{{+1 이터니티}}}[br]Eternity}}}''' || ||<-2><#fff,#19191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터니티 프로필.jpg|width=100%]]}}} || || '''본명''' ||이터니티[br]Eternity || || '''이명''' ||'''영원의 신[br]God of Eternity[br]우주의 살아있는 감각[br]The Living Sentience of the Cosmos[br][[아담 카드몬|아담 퀴드몬]][br]Adam Quadmon''' || || '''종족''' ||[[우주적 존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우주적 존재]] || || '''등장 영화''' ||〈[[토르: 러브 앤 썬더]]〉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터니티 2.gif|width=100%]]}}} || >'''Eternity came into being at the beginning of time along with his son Entropy. Eternity's purpose is creation: this drive pits him in a constant struggle with Entropy whose goal is destruction. Together they keep the cycles of creation and destruction in balance.''' >이터니티는 태초 이전에 그의 아들 [[엔트로피(마블 코믹스)|엔트로피]]와 함께 존재해왔다. 이터니티의 목적은 [[창조]]이며 이 충동은 언제나 '''[[파괴]]를 목적으로 하는''' 그의 아들 엔트로피와 대립하게 만들었다. 그들은 서로 창조와 파괴를 반복하며 우주의 균형을 유지한다.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아트북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이터니티(마블 코믹스)|이터니티]]. [[빅뱅]] 이전부터 존재해온 [[우주적 존재]] 중 하나로, 또다른 우주적 존재 [[인피니티(마블 코믹스)|인피니티]]와 남매이며 파괴를 목적으로 하는 자신의 아들, [[엔트로피#s-4|엔트로피]]와는 다르게 여동생 인피니티와 함께 '''전 [[우주]]의 창조'''를 주도하고 있으며 [[인피니티 스톤]]의 창조주 중 하나이기도 하다. 공식 설정집에 따르면 엔트로피와 언제나 대립하며 우주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고 한다. == 작중 행적 ==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smic_Entities-BTS.png|width=100%]]}}} || [[콜렉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콜렉터]]의 수집품 보관소에서 다른 [[코즈믹 컴퍼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코즈믹 컴퍼스]]들과 함께 홀로그램 영상으로 잠시동안 비춰진다. 이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아트북에서 공식 설정이 공개되었다.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r Lord Sees Eternity.gif|width=100%]]}}} || 에고가 스타로드의 이마에 손을 대자 스타로드의 눈이 변하며 '이터니티'가 보인다고 언급했다.[* 한국어 자막으로는 그냥 '보여요, 영생이!'라고만 나왔다.] 눈을 잘 보면 코믹스에서 주로 이터니티를 표현하는 우주의 모습이 눈에 비춰진다. === [[토르: 러브 앤 썬더]] === [[고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고르]]가 찾는 신이 이터니티이며, '''영원의 신(God of Eternity)'''이라 언급된다. 이터니티라는 이름이 처음 나온 것은 영화 초반부로, 네크로소드가 고르에게 바이프로스트를 열어 이터니티에게로 가라는 말을 할때 처음 언급된다. 이후, [[전능의 도시]]에서 [[제우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제우스]]가 고르는 절대로 이터니티를 만나지 못할 것이라는 말을 하자, 발키리는 이터니티가 우주의 중심에 있는 매우 강력한 존재이며, 처음 도달한 상대에게는 어떤 소원이든 한 가지를 들어준다는 언급을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터니티 1.gif|width=100%]]}}} || 결국 [[스톰브레이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톰브레이커]]로 포탈을 연 고르 앞에서 [[명경지수|소금사막과도 같은 공간에서]] [[석가여래|불상처럼 가부좌를 튼 채 등장한다.]][* 원작의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왔다. 초월적 존재라 그런지 고르와 토르가 논쟁을 벌이는 와중에도 반응을 하지 않으며 고르가 소원을 결심한 것만으로 이를 이뤄주는 모습을 보인다.][* 소울 스톤의 세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코스믹 컴퍼스 중 최초로 모습이 직접 등장하였다. 고르는 그에게 모든 신들을 없애달라 빌려고 하지만 토르는 고르의 진심은 사랑을 추구한다며 설득하고 이에 마음을 바꾼 고르는 딸을 살려달라 빌고,[* 해당시점에서 네크로소드의 지배에서 벗어난 상태이기에 가능한 것이기도 했다.] 이터니티가 이를 수락하여 [[러브(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고르의 딸]]이 이터니티가 깃든 듯한 모습으로 부활하게 된다. 참고로 최종전의 장소가 이터니티의 신전이라 그런지 몰라도 리빙 트리뷰널의 동상보다 이터니티의 동상이 더 크게 묘사됐다.[* 실제로 작가 엘 유잉은 이터니티가 리빙 트리뷰널을 내적 기관으로 포함한다는 설정을 공식으로 밀고 있다. 다만 다른 작가들은 이 설정을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도 리빙 트리뷰널>이터니티라는 설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를 보아, 이터니티의 신전을 제외하고도 다른 [[우주적 존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우주적 존재]]들의 신전들 또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터니티의 제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터니티의 제단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터니티의 제단.jpg|width=100%]]}}} || 일명 '''영원의 문(The Gates of Eternity)'''이라고 불리는 이터니티의 개인 차원이다. [[토르: 러브 앤 썬더]]에서는 끝이 보이지 않는 넓은 [[바다]]와 [[하늘]]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묘사되었으나, 마블 스튜디오와 계약한 컨셉 아티스트인 제레미 러브가 컨셉아트를 공개하면서 '''제단'''이라는 명칭에 어울리는 건축물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개발 당시의 명칭은 '''이터니티의 샘(Well of Eternity)'''이었다.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은 단 한가지로, 이터니티의 제단에서 [[스톰브레이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톰브레이커]]에서 발생되는 [[비프로스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바이프로스트]]로 포탈을 뚫어야 한다. 삭제 장면에서는 [[제우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제우스]]가 '''순수한 마음을 지닌 자'''만이 갈 수 있다는 언급을 함으로써 어째서 제우스와 다른 신들이 이터니티의 제단에 들어갈 수 없었는지에 대한 개연성이 생겼다. 고르는 순수한 복수심 덕분에 출입이 가능했던 것이다. == 능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터니티 3.gif|width=100%]]}}} || || {{{#ffffff '''고르의 소원을 들어주는 이터니티'''}}} || >'''Eternity is a very powerful being at the center of the universe. It will grant the desire of the first person who reaches it.''' >'''이터니티는 우주의 중심에 있는 엄청나게 강력한 존재야. 처음으로 자신에게 오는 사람의 소원을 들어주지.''' >---- > - [[발키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발키리]] 인피니티 스톤을 만든 4명의 우주적 존재들 중 한 명으로 우주의 존재하는 모든 시간을 나타내며 '''시간, 공간, 물질을 조작시키는 무한한 힘(Infinite Power)'''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인피니티 스톤]]의 가장 커다란 특징 중 하나가 '''무한한 힘'''이었다.] 인피니티와는 우주에서 가장 필수적인 힘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적어도 죽음이 이터니티와 인피니티를 삼켜버리지 않는 이상 이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고 한다. 이터니티를 처음으로 찾아낸 존재는 어떤 소원이든 하나 이룰 수 있다는 전설이 있는데, 러브 앤 썬더의 결말부에서 이터니티 앞에 처음으로 도달한 [[고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고르]]가 자신의 딸을 살려 달라는 소원을 빌고 그것이 이루어졌다. 이터니티가 이루어줄 수 있는 소원의 한계에 대해서는 작중에서 간접적으로 묘사된 바로 추측할 수밖에 없는데, 중반부에서 고르의 목적이 이터니티를 만나서 모든 신적 존재를 소멸시키는 것으로 추측되었고 발키리, 제우스를 비롯한 작중의 인물들이 이를 우려하였는데[* 발키리가 이터니티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만약 모든 신을 죽여 달라는 소원을 정말로 빌었다면 이터니티는 그것을 충분히 실현시킬 힘이 있다고 믿고 있었다.], 달리 말하면 이터니티는 우주적 존재는 몰라도, 그에 미치지 못하는 소신(god) 수준이라면 전부 소멸시킬 수 있을 정도의 권능이 있다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전능의 도시에 있던 [[제우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제우스]]만 하더라도 고르가 이터니티를 찾아도 열쇠(=[[비프로스트]])가 없으니 소원을 이룰 수 없을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토르가 고르와 싸우는 것은 경계하며 막아세우는 모습을 보였는데, 토르가 비프로스트를 열 수 있는 스톰브레이커를 빼앗기면 고르가 마음대로 소원을 빌 수 있게 되기 때문이었다. 달리 말하면 열쇠가 있으면 고르가 그런 소원을 실제로 이룰 가능성이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이터니티는 신급 존재들의 생명마저 자신의 마음대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러브 앤 썬더 시점에서 영상으로 직접 등장한 존재들[* 리빙 트리뷰널이나 데스 같은 다른 최강자들은 작중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기에 제외.] 중에서는 '''MCU의 최강자'''에 가장 가까운 존재로 보인다. 관건은 다른 [[우주적 존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우주적 존재]]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느냐 정도다. == 기타 == * 코믹스에서의 행적과 닥터와의 관계, 특성을 생각하면 [[닥터 스트레인지(영화)|닥터 스트레인지]]에 등장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결국 닥터 스트레인지에서 등장하진 않았지만 원작에서 곧잘 적대하던 [[도르마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도르마무]]가 등장했으니 밸런스상 추후 등장을 기대해 볼 만하다. 특히 MCU의 도르마무 특성상 더욱 명확한 적대사유가 생겼다. 더불어 원작에서부터 아가모토의 눈은 이터니티에게 이어지는 아이템이었는데 MCU에서는 인피니티 스톤이며 그중에서 타임스톤이라 권능적인 부분에서 큰 관련성이 생겼다. * 루머에 의하면 마블이 현재 진행되는 [[멀티버스 사가]]를 마무리지은 후 이터니티 사가와 타임리스 사가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 이터니티 사가에서는 이터니티가 주인공이 될 가능성도 있어보인다. * [[정복자 캉(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양자세계의 정복자 캉]]이 연설할 때 영원마저도 정복하겠다고 하는데 이때 이터니티라고 말한다. 단순히 모든 타임 라인을 정복해서 영원을 정복한다는 의미일 수 있으나, 그가 이터니티를 알고 우주 그 자체인 이터니티를 정복하겠다는 중의적 의미일 수 있다.[* 원작에서 이터니티가 시간 그 자체를 상징하는 존재였단 걸 생각하면 의미심장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즈믹 컴퍼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version=103, paragraph=2.1, title2=이터니티(마블 코믹스), version2=103, paragraph=2))] [[분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신|이터니티]][[분류:우주적 존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이터니티]][[분류:토르: 러브 앤 썬더/등장인물|이터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