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伊東 竜二''' [br] Ryuji Ito [br] Ruko-Chan || || 본명 || 伊東 竜二 || || 생년월일 || [[1976년]] [[4월 8일]] || || 출신지 || [[일본]] [[이와테현]] [[타키자와시]] || || 신장 || 182cm || || 체중 || 95kg || || 링네임 || '''デスマッチドラゴン'''[* 데스매치 드래곤]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드코어|하드코어]]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주요 커리어 || BJW 데스매치 헤비웨이트 챔피언 7회 [br] BJW 태그팀 챔피언 2회 [br] 요코하마 쇼핑 스트리트 6인 태그팀 챔피언 5회 [br] WEW 하드코어 태그팀 챔피언 1회 [br] 하야부사 컵 우승 (2002년) [br] 일기당천 데스매치 서바이버 우승 (2013년) [br] KO-D 태그팀 챔피언 1회 [br] CZW 트라이앵글 오브 바이올런스 우승 (2011년) [br] wXw 메신저스 오브 데스 우승 (2011년) || || [[피니쉬 무브]] || '''드래곤 스플래쉬''' [br] '''드래곤 키커''' [br] '''드래곤 수플렉스''' [br] '''드래곤파이어버드 스플래쉬''' [br] 저먼 수플렉스 [br] 미치노쿠 드라이버 II [br] 노던 라이츠 수플렉스 [br] 문설트 [br] 타란튤라 || || 테마곡 || THE THEME OF MORTAL KOMBAT [br] '''Dragon Road ~龍の道~'''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 == 커리어 == [[대일본 프로레슬링]](BJW)의 에이스로, 하드코어 매치나 데스매치 룰 경기에서는 대학시절 공대에 재학했던 경력을 살려 많은 오리지널 아이템과 형광등을 이용한 오브제를 고안해 들여와 사용하고 있다. 대학교를 중퇴하고 [[대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하면서 프로레슬러의 길을 걷게되고, 1999년에 대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카사이 쥰]]과의 경기를 통해 데뷔한다. 활동하며 태그팀 경기를 통해 데뷔하지만 패하고 싱글 데뷔경기를 가지면서 [[세키모토 다이스케]]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본격적으로 싱글에서 선수들을 차례로 꺾어나가다가 멕시코 출신의 판타스티크에게 패하며 싱글 연승도 오래 못가고, 그 후로 같은 일본 선수들을 상대로 꺾어나가나 태그팀 경기에선 취약점이 많아 패하는 하루하루로 달려가고 있었다. 대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며 서양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지는데, 타단체 출연도 하기 시작하면서 JWP, 미치노쿠 프로, 모비어스, Battlarts에도 출연하고, 활동 중 시련의 7번 승부 시리즈를 진행하면서 각 선수들을 상대하지만 7경기 모두 패배하였다. 2002년에 하야부사 컵 대회에 참가해 마키타 사토루에게는 패하다가 이노우에 카츠마사, 카미조 유지, 시모다 다이사쿠를 차례로 꺾고 결승전애서 마키타 사토루를 꺾으며 하야부사 컵에서 우승한다. 그 후로는 평범한 싱글 및 태그팀 경기를 가지는 나닐을 보내며 승패와 왔다갔다하는 일이 벌어지다가 본격적인 이토 류지의 전성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하드코어 매치를 가지기 시작하고, 도중에 벌어진 이토 류지 & 시모다 다이사쿠의 시련의 7번 승부 시리즈 4번째 경기로 벌어진 WEW 하드코어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압둘라 코바야시 & 벤케이 다이코쿠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WEW 하드코어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함과 동시에 처음으로 챔피언 벨트를 만져보게 된다. 챔피언 등극도 얼마못가 WEW에서 방어전이 벌어지면서 요시야 & 히도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하드코어 매치 외에도 데스매치까지 가지며 점점 거듭나게되고, 대일본 프로레슬링의 위기를 구하고 활황을 보이는 근년으로 역사를 연결했다. [[DDT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기 시작하고, 2004년에 [[타카기 산시로]]와 같이 겐타로 & [[사사키 타카시]]를 꺾고 KO-D 태그팀 챔피언에도 등극하고, 해외진출도 시작하면서 IWA-MS에서 서양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지며 꺾는다. 단체를 오가며 활동하며 대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스매치 전문으로 활동하며 고통을 극복하고 근성넘치는 모습을 보이며 단체의 톱으로 계속 활동하지만 잠시 부상으로 인한 공백기를 가지며 활동할 수 없는 위기를 맞이했으나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다시 몸을 사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데스매치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여러번 하게 되고, 태그팀 경력까지도 늘려나갔다. 2008년에는 미국의 CHIKARA에 등장하면서 [[에디 킹스턴]], 마이크 퀘큰부시와도 경기를 가지며 좋은 경기를 펼쳤다. 2011년에도 미국에서 경기를 가지며 대일본 프로레슬링 못지않게 하드코어 단체로 유명한 [[CZW]]에도 출연하고, 마사다를 상대로 울트라 바이올런트 언더그라운드 챔피언 & BJW 데스매치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동시에 걸린 경기에서 로프없는 바브드와이어 래더매치를 가지나 패한다. 몇달 후 독일에서 진행된 대일본 프로레슬링 & CZW & wXw가 합동으로 개최한 무대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wXw 메신저스 오브 데스 토너먼트에서 [[지미 해벅]], [[미야모토 유코]]를 각각 꺾고 결승전에서 대니 해벅, 마사다를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며 토너먼트에서 우승한다. 대일본 프로레슬링에 활동하면서도 DDT 프로레슬링에도 가끔씩 출연하고 2017년에 처음으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출연해 세키모토 다이스케와 팀을 이뤄 [[오오모리 타카오]] & [[아키야마 쥰]]을 상대로 AJP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가지나 패한다. ZERO1과 합동으로 벌인 무대에도 출연하다가 2019년에 미국단체인 GCW가 일본에서 벌어질때도 참가해 여기서도 전문분야인 데스매치를 가지며 [[맷 트레몬트]]를 꺾고, [[드류 파커]] & [[사쿠다 토시유키]]와 같이 [[지미 로이드]] & [[매튜 저스티스]] & 오린 베이닷을 꺾는다. 2022년에는 압둘라 코바야시와 같이 [[맨스 워너]] & [[콜 래드릭]]을 상대로도 승리를 거둔다. 2020년 이후로는 챔피언 경력을 만들지 못하고 있지만 여전히 단체내에선 강자에 해당되는 이토 류지는 싱글 및 태그팀 경기에서 높은 승률을 유지하고 다녔고, 데스매치를 주로 전문으로 벌이며 각종 무기 및 도구를 이용한 경기를 펼쳐나갔다. == 기타 == * 고등학교 시절에 권투를 배운 경험이 있으며 실제 프로레슬링 스타일 일부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 시력이 나빠서 일상생활에서는 안경을 착용하지만 경기 중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다. * [[전일본 프로레슬링]] 레귤러 레퍼리로 활동중인 한국 출신 레퍼리, 이일한 레퍼리와 결혼했다. 프로레슬러와 심판 커플로 화제를 모았고, 예능 프로그램인 키스만 하면 안돼!(『キスだけじゃイヤッ!)에도 출연했다. * 2019년에 데스매치 드래곤은 죽지 않는다(デスマッチ・ドラゴンは死なない)라는 제목의 자서전을 냈다. == 둘러보기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2|{{{#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연간 최고 시합상 (베스트 바웃)}}}]]'''}}}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09년''' [br] 11월 20일 || [[대일본 프로레슬링]] [br] || 면도날 보드 데스매치 [br] '''이토 류지''' vs ___[[카사이 쥰]]___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76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타키자와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