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외무대신)] ---- ||<#003366><:>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 [Include(틀:역대 일본 부총리)] ---- [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관방장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정무조사회장)] ---- }}} || ---- ||<-2><#003366> {{{#fff '''[[일본 외무성|{{{#fff '''일본국 제109대 외무대신'''}}}]][br]{{{+1 이토 마사요시}}}[br]伊東正義 | Masayoshi It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토 마사요시.png|width=100%]]}}} || ||<|2> '''출생''' ||[[1913년]] [[12월 15일]] ||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츠시]] || ||<|2> '''사망''' ||[[1994년]] [[5월 20일]] (향년 80세) || ||[[도쿄도]] || ||<:><|6> '''재임기간''' ||제109대 외무대신 || ||[[1980년]] [[7월 17일]] ~ [[1981년]] [[5월 18일]]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68,69대 내각총리대신 [[오히라 마사요시]]의 사망으로 인한 권한대행]|| ||[[1980년]] [[6월 12일]] ~ [[1980년]] [[7월 17일]] || ||제43대 내각관방장관|| ||[[1979년]] [[11월 9일]] ~ [[1980년]] [[7월 1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아이즈 중학교 {{{-2 (졸업)}}}[br]우라와 고등학교 {{{-2 (졸업)}}}[br][[도쿄제국대학]] 법학부 {{{-2 (법학 / 학사)}}} || || '''배우자''' ||이토 데루코 || ||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의원 선수''' ||'''9''' (중) || || '''의원 대수''' ||30, 32, 33, 34, 35, 36, 37, 38, 39 || || '''지역구''' ||[[후쿠시마현 제2구(중선거구)|(구) 후쿠시마현 제2구]] || || '''약력''' ||수산청 장관[br]제109대 외무대신[br]내각총리대신 권한대행[br]제43대 내각관방장관[br]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 || [목차] [clearfix] [[]]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중의원]] (9선),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 권한대행]] 겸 [[내각관방장관]], [[일본 외무성|외무대신]] 등을 역임했다. == 생애 == 할아버지 이토 켄스케는 [[아이즈 번]]의 번사였으며 아버지 이토 히데사부로는 아이즈중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 구제 아이즈중학교를 거쳐 [[사이타마현]]에 이사 와 구제 우라와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농림성 공무원 시절 === [[도쿄제국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한 뒤 농림성 촉탁직으로 입성해 근무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일본 제국]]이 [[중화민국|중국]] 대륙 경제를 장악하기 위해 [[몽강국]] 내각에 조직한 '흥아원'에 파견되어 [[오히라 마사요시]]와 [[사사키 요시타케]]와 동업하며 인연을 쌓게 된다. 전시 중에 위험을 무릅쓰고 귀국하여 농림성 농지국장과 수산청 장관을 역임하고 [[1962년]] 농림성 사무차관을 끝으로 농림성 공무원직에서 퇴직했다. === [[오히라 마사요시]]와의 인연 === [[1963년]] 열린 [[제3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후쿠시마현 제2구(중선거구)|(구) 후쿠시마현 제2구]]에서 첫 당선되었고 당선 후 친한 친구인 [[오히라 마사요시]]가 속해있던 [[이케다 하야토|이케다파]] (굉지회)에 가담했다. 파벌의 대표인 [[이케다 하야토]]에게 "자네는 이케다파라지만 사실은 오히라파로군"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오히라와 친분이 깊었다. 오히라가 [[후쿠다 다케오]]의 뒤를 이어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총재]]에 취임하면서 재무위원장에 임명되었다. 또한 오히라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했을 때는 [[내각관방장관]]으로 오히라의 직무를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80년]] [[오히라 마사요시]]를 둘러싼 여러 문제로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내부 주류 파벌인 [[후쿠다 다케오|후쿠다파]]와 [[미키 다케오|미키파]]의 갈등이 극화되어 결국 두 계파 소속 의원들의 불참과 함께 '오히라 내각 불신임 결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어 일명 '해프닝 해산'과 함께 국회가 해산되어 [[중의원]], [[참의원(일본)|참의원]] 동시 선거가 실시되었고 유세 도중 [[부정맥]]으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였다. 오히라의 입원 중에는 이토가 대신 친구로서 집안일을 맡아주었고 [[1980년]] [[6월 12일]]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가 급사하자 절차상 이토는 [[내각총리대신]] 권한대행에,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총재 대행에 취임했고, 현행 내각을 총사퇴시켜 차기 총리가 선출될 때까지 임시 내각인 '직무 집행 내각'을 구성하여 약 한 달 간 내각을 이끌었다. === 포스트 오히라 === 포스트 오히라를 놓고 당연히 이토의 이름도 거론되었고, [[가토 고이치]][* 1939 ~ 2016, 내각관방장관과 방위대신, 자유민주당 간사장을 역임했으며, 더욱이 일본 정부의 군 위안부 동원 관여 및 강제성을 처음 인정하였다.], 호리우치 미쓰오[* 1930 ~ 2016, 노동대신, 통상산업대신,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을 역임했으며, [[후지급행]]의 前 회장이다]같은 당시 청년 계층이 총리 후계의 흐름을 만들려다 실패하였다. 더욱이 이토가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것과 오히라와 동맹 관계였던 오히라파의 서열 2위 --어둠의 쇼군-- [[다나카 가쿠에이]]가 [[스즈키 젠코]]를 밀었다. --결국 다나카는 스즈키에게 [[니카이도 옹립구상|통수]]맞고 끝나지만-- 자민당내 비주류 인사들도 이러한 후계 구도에 찬성하는 분위기여서 후계자는 암묵적으로 굳어졌고 [[스즈키 젠코]]가 총리에 취임하자 [[일본 외무성|외무대신]]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81년]] 5월 열린 미일정상회담에서 "일미동맹은 당연히 군사동맹의 성격도 있다"는 이토와, "일미동맹은 당연히 군사동맹의 성격은 없다"라는 스즈키와의 대립으로 국회 답변이 늦어졌고 결국 외무대신에서 사퇴하기 이른다. === 포스트 다케시타와 그 후 === 외무대신 퇴임 이후 [[1989년]] [[리크루트 사건]]에 휘말려 [[다케시타 노보루]]가 총리직에서 사퇴하자 당시 당 중역 중 한 명으로 사건에 휘말리지 않은 이토의 이름도 거론됐지만 완강히 거부했고 이후 고토다 마사하루[* 1914 ~ 2005, 경찰청 장관, 내각관방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평화헌법 수호와 반전운동, 아시아외교 중시 등의 목소리를 내며 당시 일본 정치권의 우경화를 견제했고,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의 관방장관 재임 당시 '방위비의 국민총생산 1% 달성 정책', '페르시아만 소해정 파견 표명' 당시 극심하게 반대했던 인물이다.]의 제의로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정치개혁본부장에 취임했으나 [[사가와 규빈 사건]]으로 인한 당내 상황 변화 및 컨디션 악화를 이유로 [[1993년]] 총선 출마를 거부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1994년]] [[5월 20일]], 폐렴이 악화되어 [[도쿄도]] 모처의 자택에서 향년 8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63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 [[후쿠시마현 제2구(중선거구)|구 후쿠시마 2구]] ||<|10>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4,969 (14.3%)''' || '''당선(3위)''' || '''초선''' || || 1967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7,198 (14.9%) || 낙선(6위) || || || 1969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4,966 (26.3%)''' ||<|3> '''당선(1위)''' || '''재선'''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2,052 (16.9%)''' || '''3선''' ||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6,844 (15.5%)''' || '''4선''' || || 1979 || 제35회 일본 즁의원 의원 총선거 || '''74,346 (17.6%)''' || '''당선(3위)''' || '''5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1,135 (25.7%)''' || '''당선(1위)''' || '''6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2,344 (19.7%)''' ||<|2> '''당선(2위)''' || '''7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9,187 (23.0%)''' || '''8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4,475 (22.8%)''' || '''당선(1위)''' || '''9선''' || [[분류:일본 외무대신]][[분류:일본 내각관방장관]][[분류:일본의 부총리]][[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제3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1912년 출생]][[분류:1994년 사망]][[분류:아이즈와카마츠시 출신 인물]][[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폐렴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