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이화명나방}}}(희새(충청도 방언))[br]Asiatic rice bor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ilo suppressalis.jpg|width=100%]][br][[http://new.russellipm-agriculture.com/insect.php?insect_id=170&lang=en|출처]]}}} || || [[학명|{{{#000 '''학명'''}}}]] || ''' ''Chilo suppressalis'' '''[br]Walker, 1863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나비목(Lepid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포충나방과(Cramb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이화명나방속(''Chilo'')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이화명나방(''C. suppressalis'')''' || [[파일:이화명나방.jpg|width=450]] [목차] == 개요 == 나비목 포충나방과에 속하는 나방. 이름은 곤충이 2번 나타나는 성질인 "이화성"에서 왔다, 한국 이외에도 중국,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흔히 명나방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명나방과가 아닌 포충나방과에 속한다. [[쌀벌레]] 중 하나로 [[벼]]에 피해를 주는 곡식 해충이다. 하얀색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는 갈색이다. 여느 나방목 곤충처럼 알-애벌레-번데기-성충의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를 한다. 애벌레는 주로 벼가 많은 곳에서 생활하며 1년에 2번 발생한다. 성충의 수명은 5~7일 정도 되며 주로 초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의 기간에 나타난다. 벼의 잎, 벼 이삭 등이 이화명나방에게 피해를 받는다. 일부 벼는 쭉정이가 되기도 하며 심하면 벼가 죽는 경우도 있다. 1970년대까지는 중요한 곡식 해충이었으나 요즘은 많이 사라진 편이다. 그리고 도시의 쌀벌레 포지션을 그 [[화랑곡나방]]이 잇고 있다. == 방제 == 1년에 두 번 나타나는 성질인 "이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번 방제해야 한다. 첫 번째 발생은 6월 중순 경이며 두 번째 발생은 8월 중순 경이다. [[분류:포충나방과]][[분류: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