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O 퓨처스리그 홈구장)] ||<-2>
[[kt wiz|{{{+2 {{{#FFFFFF '''kt wiz'''}}}}}}]] || ||<-2> '''{{{+2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br]Iksan Korea National Baseball Team Training Stadium''' || || '''개장''' ||[[2011년]] [[6월 13일]][* 공교롭게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도 동해 [[8월 8일]]날 개장했다.] || ||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무왕로 1397 (부송동) || || '''크기''' ||좌우 99m [br] 중앙 122m || || '''잔디''' ||인조잔디 || || '''홈구단''' ||[[kt wiz/2군|kt wiz 2군]] (2016~) || || '''관중석''' ||740석 || ||<-2> [include(틀:지도,장소=익산 야구장,너비=100%,높이=225px)]|| [include(틀:kt wiz 홈구장)] [목차] [clearfix] == 소개 ==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1061308320005500_P2.jpg]] [[파일:external/dalmong.com/201106131550771987_1.jpg]] [[익산시]]에 위치한 [[익산종합운동장]]에 속한 야구장으로 정식 명칭은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이다.[* [[카카오맵]]에서는 익산종합운동장 야구장으로 뜬다.] [[고양시]]에 위치한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과 더불어 대한민국에 둘뿐인 야구국가대표 훈련장. 다만 국제대회가 많지 않은 야구의 특성상 국가대표팀 훈련보다는 [[한국여자야구대회]]를 비롯한 여자야구 대회들이 열리고 있으며 지역 사회인 야구팀에게 대여해 운영중이다. == 시설 == [[파일:external/www.sotongsinmun.com/1_copy.jpg]][* 현재는 보조경기장에도 인조잔디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사이에 리틀야구장이 배치되어 있다. 실내연습장은 계획 당시 조감도에는 포함이 되었으나 실제 착공을 실시하지는 않았고 시간이 흐른 2020년에 착공, 2021년 6월 준공되었다.] [youtube(f5J-WlzYzH0)] 정식 규격의 인조잔디구장 1면과 동일한 넓이의 보조경기장 1면[* 개장 당시에는 모래 구장이었으나 2019년에 인조잔디 구장으로 변경되었다.] , 리틀 야구장 1면, 야간조명시설, 전광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야에는 500석 규모의 좌석도 구비되어 있어서 정규리그도 치를수 있다. 그러나 1군 프로팀은 입주해 있지 않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여자야구와 사회인 야구대회가 주로 열리고 있다. 2020년 2월 익산시 측에서 국비 9억 원과 시비 21억 원 등 총 30억 원을 투입해 부지면적 2100㎡, 연면적 2000㎡ 규모의 실내야구연습장을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2020년 9월에 익산시 측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39억 원으로 비용이 증가했으며 2020년 10월에 착공하여 2021년 6월 22일에 실내연습장이 야구회관과 함께 완공되었다. 또한 그라운드 2면에 인조잔디를 교체하는데 20억 원, 야간경기를 위한 조명의 질을 높이는 데 11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역사 == 익산시에 야구장 건설이 필요하다는 야구인들의 의견과 함께 국가대표팀 훈련장으로써 활용하자는 의견이 합쳐져 총 사업비 85억 원을 투자해 2009년 7월부터 착공되어 2013년 6월 13일 준공식이 열렸다.[[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214&aid=0000181003|야구대표팀 전용훈련장 생겼다 外]] 2018년 kt 위즈 측의 투자로 덕아웃, 식당, 샤워실 등 익산 야구장의 시설을 대대적으로 개선하였다. 2019년 익산시의 지원으로 주경기장 그라운드 내 우익수 측 잔디의 지반이 푹 꺼져있었던 부분을 정비했으며 기존 흙바닥이었던 보조구장에 인조잔디를 설치했다. 또한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의 외, 내야 펜스를 전체적으로 교체했다. 2020 시즌 종료 후 실내야구연습장과 [[kt wiz 2군]] 숙소가 2021년 6월에 경기장 근처에 신축되었다. 실내연습장 및 숙소는 주경기장 뒤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선수단의 훈련장 외에도 연습장 1층에 익산시 리틀 야구단을 위한 약 22평 규모의 휴식 공간을 구성했다. kt wiz 2군 선수단 숙소는 총 2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숙소 건립 비용은 KT측이 부담하게 되며 추후 익산시에 기부채납된다. 2021년 6월 22일 실내연습장 및 야구회관(생활관)의 준공식을 개최했다. 2021년 11월 10일 익산야구장 조명탑 교체 설치 기념 행사를 진행했다. 2023년 3월 야구장의 전광판을 최신식 LED 전광판으로 교체하였으며 스피커 또한 최신형으로 교체했다. 이외에 관중석 방수, 노후 보도블럭을 교체하고 그늘막을 설치했다. === 프로팀 입주 === [[2015년]] [[kt wiz 2군]]은 홈구장 없이 수원시에 위치한 성균관대학교 부속 야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뤘는데, 밥 먹을 장소도 없어서 땅바닥에서 [[한솥도시락]]을 까먹는가 하면 탈의할 장소도 없어서 화장실 신세를 지는 열악한 상황이라 전용홈구장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kt wiz]] 창단때 [[KT]]가 내세운 2군 전용구장인 여주 베이스볼 파크는 자금사정등으로 무기한 연기되었고, 그러자 구단측은 [[고양 다이노스]]나 [[화성 히어로즈]]처럼 2군 구장을 임대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눈여겨 보게 되었다. 대여 가능한 경기장을 물색하다 국내에서 수준급 경기장을 보유한 익산 야구장에 관심을 보이게 되었고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5503|KT 위즈 2군 야구단, 익산 연고지 입질]] 2016시즌 부터 2018시즌까지 3년간 [[kt wiz 2군]]의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5092316072046018&ca=|kt wiz 2군, 익산에서 새 출발..23일 익산시와 협약 체결]] 2016년 4월 8일 kt wiz 2군 홈 개막전을 통해 구장 개장 이래 첫 프로 경기를 치렀다. [[카더라 통신]]이지만, [[창원 야구장]]이 건설되면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을 홈으로 쓰고 있는 [[고양 다이노스]]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으로 쓰게 되는데, 이때가 딱 2018년이기에[* 창원 야구장이 2018년에 완공되기 때문에 2018시즌이 종료된후 [[NC 다이노스]]는 신구장을, [[고양 다이노스]]는 마산으로 [[연고지 이전]]을 하게 된다.] 2018년 까지 계약한 것은 이후에 [[고양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쓰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고양시의 경우 야구단 지원에 적극적인 지자체이기도 하고, [[수원시]]를 비롯한 경기권을 홈구장으로 쓰고 있는 [[kt wiz]] 입장에서도 1,2군 간 거리가 먼 것보다 가까운 것이 구단 운영에 좀더 효율적이기 때문.[*일본사례 일본 최북단을 연고로 하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는 830km 떨어진 [[치바]]현에 있는 [[카마가야 파이터즈 스타디움]]을 2군 구장으로 쓰고 있다. 1,2군간의 선수 교체(2군 콜업이나 1군선수를 2군에 보내는 등)가 필요하면 수도권 원정 때 한다.] 다만 2018년 4월 덕아웃, 식당, 샤워실 등 익산 야구장의 시설을 대대적으로 개선한 것을 보면 계약 연장으로 당분간 익산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고양으로 옮기려고 시도는 여러 차례 했었지만, 2018년 리모델링 당시 익산시의 지원을 받았다는 설이 있기도 했고 리모델링을 한 시점에서 익산에 더 머무를 것은 기정사실이었을 듯. 결국 2019년 시즌부터 [[화성 히어로즈]]가 고양으로 2군 구장을 옮긴 이후 2019시즌부터 2023시즌까지 익산시와의 계약 연장도 발표되면서 5년은 더 머무르게 되었다. 수원에서 익산이 멀다고는 하지만 넥센(서울-강진)이나 NC(창원-고양)처럼 자동차로 4시간 넘게 걸리는 수준은 아니고 2시간 남짓이면 이동할 수 있으니 지자체 지원까지 더해지면 그럭저럭 유지할만도 하다.[* 대부분 구단들이 1시간 정도 거리에 2군 구장을 두고 있긴 하나, [[서산전용연습구장]]처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1군 구장]]과 2시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2군 구장도 잘 돌아가고 있긴 하다.] 또 [[지제연결선]]이 완공되어 수원~익산 KTX가 개통되면 이동시간이 한화보다도 더 줄어들기도 하고. == 교통 == 시 외곽에 위치해 있어서 교통편은 썩 좋지 못하다. 익산 시내에서 익산 공설운동장 까지 가는 버스는 다음과 같다. * [[익산 버스 103|103번]], [[익산 버스 55|55번, 56번]], [[익산 버스 58|58번]], [[익산 버스 59|59번]], [[익산 버스 60|60번]], [[익산 버스 65|65번]], [[익산 버스 222|222번(좌석)]], [[익산 버스 555|555번(좌석)]], [[익산 버스 2100|2100번(간선)]], [[익산 버스 2200|2200번, 2300(간선)]] [[https://www.iksan.go.kr/synap/skin/doc_mobile.xhtml?fn=167229797251769.xls&rs=/upload_data/Synap/CONTENTS_FILE/&cpath= |‘시간표’]] 위의 시간표에서 참고하면 된다. 사실상 2100번, 2200번, 2300번만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익산터미널에서 2100번을 익산역(파리바게트 앞 정류장) 에서는 2100번, 2200번, 2300번을 타면 된다. 근처에 [[익산IC]]가 있기 때문에 자가용을 타고 오는 타지인들은 방문하기 쉬운편. 만약 고속버스를 타고 익산 야구장을 방문한다면 중간 정류소인 익산팔봉에서 내려서 택시타면 5분안에 도착한다. 근처에 택시가 많지 않으니 카카오 T 어플을 쓰거나 서동콜 063-855-1000 보석콜 063-857-1000을 부르면 된다. 익산역에서 택시타고 가면 20분 ~ 25분 정도 소요된다. 구장 주변엔 사먹을 곳이 많지 않으니 꼭 음식을 사서 가도록 하자. 공설운동장 입구에 위치한 GS25 편의점 단 한곳뿐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kt wiz)] == 여담 == * 시 외곽으로 빠져서 조금만 가면 [[미륵사지]]가 위치해 있다. [[분류:익산시의 건축물]][[분류:전라북도의 야구장]][[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분류:kt wiz]][[분류:2011년 건설]]